View : 715 Download: 0

학령기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온정성 및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령기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온정성 및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hild's Temperament, Maternal warmth, and Child's Academic Competence on the Quality of Child's Peer Relationship.
Authors
임승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Although development of competence and learning new skills are important challenges during academic period, research on the role of child's academic competence in development of peer relationship is rarely f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hway which child characteristics, maternal warmth, and child's academic competence affect quality of child's peer relationship. 291 elementary school-children(Mean Age= 11.4, 51.2% girls) were gathered as su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child's temperament(quality of mood, approach level, attention persistence, distractability), maternal warmth, child's academic competence, peer relationship qualities by childre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athway model of child's temperament, maternal warmth, child's academic competence,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child's temperament showed indirect effect on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through academic competence. In addition, maternal warmth affecte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child's academic competence. Second, there were sex difference in the pathway model of child's temperament, maternal warmth, child's academic competence,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For boys, while effects of child's temperament on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as partially mediated by academic competence, relations between maternal warmth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as fully mediated by academic competence. For girls, child's academic competence fully mediated the effects of variables such as temperament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hereas, child's academic competence play a role as a partial mediator in relations between maternal warmth and child's peer relationship quality. Third, it was found that child's temperament(Quality of mood), academic competence, sex, and maternal warmth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child's peer relationship. Thus, children who showed positive mood, high academic competence, and experienced mothers' warmth displayed high level of peer relationship qua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girls'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ere more positive than boys'. To conclude, child's temperament and maternal warmth effecte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child's academic competence. This study clearly showed connection between child's temperament, maternal warmth, and child's academic competence, and how these significantly affecte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본 연구는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의 온정성 및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로를 밝히고, 아동의 성에 따라 그 영향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또래관계의 질에 아동의 성, 기질의 각 요인, 어머니의 온정성및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2개의 초등학교 5-6학년 아동 291명이며, 모든 자료는 아동의 자기보고에 의해 수집되었다. 아동의 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Windle과 Lerner(1986)가 개정한 기질차원척도(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TS-R)를 김말경(1996)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온정성은 Schaefer(1959)의 MBRI를 기초로 한 윤명주(2002)의 부모 양육태도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아영과 박인영(2002. 2001)이 표준화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래관계의 질은 Parker와 Asher(1993)가 제작한 또래관계의 질에 대한 질문지(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 FQQ)를 번안한 윤미경(1998)의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온정성,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기 위한 공분산구조분석 결과, 아동의 기질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또래관계의 질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온정성은 또래관계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쳐,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온정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 또는 부분매개 하였다. 한편,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온정성 및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또래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성차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남녀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남아집단의 경우, 아동의 기질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질이 또래관계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어머니의 온정적 태도는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또래관계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여아집단의 경우, 아동의 기질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만 또래관계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어머니의 온정성은 또래관계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뿐 아니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둘째, 아동의 성, 기질, 어머니의 온정성 및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아동의 또래관계의 질에 대해 아동의 기질 중 기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 아동의 성 그리고 어머니의 온정성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여아가 남아보다 또래관계의 질이 높았으며, 기분이 긍정적일수록, 새로운 것에 쉽게 접근할수록,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을수록, 또는 어머니가 온정적으로 양육할수록 또래관계의 질이 높았다. 그러나 아동의 기질 중 주의집중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과제난이도선호영역은 또래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기질은 학업적 자효능감을 통해 또래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어머니의 온정성은 또래관계의 질에 직접 또는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러한 경로에서 성차가 나타나 남아집단에서는 아동의 기질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큰 반면에 여아집단에서는 어머니의 온정적 태도가 아동의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컸다. 한편, 아동의 또래관계의 질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볼 때, 아동의 기질 중 긍정적 기분이 또래관계의 질을 가장 중요하게 예측하는 변인이었으며, 다음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 성 그리고 어머니의 온정적 태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기질이 또래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을 확인하고, 아동의 성에 따른 관련변인들의 영향 경로 및 그 상대적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긍정적인 또래관계의 발달에 필요한 양육과 지도의 방향을 제공하였다는데 실용적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