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내용분석 연구

Title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내용분석 연구
Authors
박경희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지리교육의 기본교재로서 학습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리교과서는 중요하다. 이에 새로운 교육과정에 의해서 1974년부터 사회과 교과서가 잠정적인 조치이기는 하지만 단일본으로 나와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일본 중학교 사회Ⅰ 교과서는 앞으로 중학교 사회Ⅰ교과서 편찬의 제 1단계로서 의의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첫째, 현 교과서의 내용이 교육과정이 요구한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정선되었는지, 둘째, 현 교과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셋째, 구 교과서들과 비교하여 쇄신된 점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앞으로 지리교육과정, 교과서 등의 참고자료로서 이 연구를 식도한 것이다. 1974년부터 전국 중학교 1학년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일본인 중학교 사회Ⅰ교과서를 가지고, 내용을 중심으로 개념, 내용구성, 지리용어, 지명, 사진, 도표, 지도 등을 분석, 검토하여 구 교과서와 비교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첫째로, 개념분석에 있어서는 가장 보편적인 개념으로 공간, 지역,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분포의 개념이 유출되었고 반면에 지도, 축척, 지구사회의 개념은 희소하게 나타났다. 앞으로 지리 학습 내용의 구조화를 통해서 의도하는 교육내용의 구성을 이룩해야 할 것이다. 둘째로, 내용구성에 있어서 단원구성은 교육과정이 제시한 지도내용을 따랐다. 이것은 교과서의 저자가 교육과정 단원배열에 찬성하는 것이거나 아니면 단일화 된 검인정 교과서이므로 저자 자신의 견해나 주장을 버렸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신? 구 교과서를 단원 내용별로 그 분량, 내용을 보면 큰 차가 없었다. 다만 현 교과서가 구 교과서보다는 세계보다 우리나라에 더 중점을 두었고 당면 문제 등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지역구분은 대체적으로 자연의 특색과 인간생활과의 관계를 고려한 구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구분된 지역의 수가 너무 많았다. 구 교과서와 비교해 변화한 것이 없이 구 교과서 중에서 가장 잘 되었다고 하는 지역구분이 쓰여지고 있다. 셋째로, 지리용어를 빈도로 계산해 보면 매시간당 지리 용어 수는 12개이다. 1시간에 이와 같은 용어를 학습해야 한다는 것은 너무 과중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용어풀이” 식의 지리 학습이 되지 않을까 염려된다. 구 교과서와 비교하면 거의 비슷한 수이다. 넷째로, 지명에 있어서는 지명의 빈도로 보아 배시간당 29개, 매 page당 11.3개로서 너무 많은 지명이 나열되어 있다. 구 교과서에 비해 한국지명이 외국지명보다 더 많이 수록되어 잇는 것이 상이하며, 지명의 수는 거의 비슷하다. 다섯째로, 사진, 도표, 지도에 있어서는 구 교과서에 비해 그 수가 감소되었다. 그러나 내용면이나 질적인 면에 있어 쇄신된 점은 거의 볼 수가 없다.;This is a content analysis of the new social studies Textbook, Junior High School Social Studies 1, published by the social studies Committee in 1974. This textbook is the only one Junior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 in geography approved by Ministry of Education. Contents a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s, structure of Contents, geographic terms, place names, and illustrations including graphs and maps. Contents are also compared with former geography textbooks used before in Junior High Schools. Result of the analysis are: Firstly, Concepts of spatial, Regional,man-land relationships are major concepts of the contents. Concepts of map, scale and globalism are found also, however, they are dealt with secondary concepts. Secondly, with regard to the structure of Contents, sequence of units is followed the National Curriculum suggested. It means that, authors of the textbook made no attempt to reorganize national curriculum for the textbook writing. Basically there are little difference between old and new textbooks in the volume and contents. However, new textbook gives a much greater emphasis on geography of Korea than world geography, and more emphasis on current social problems. Regions are basically classified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areas rather the physical regions. Thirdly, it, seemed too many geographic terms in the text. About 12 terminologies are found in general for one class hour t It means that students have to spend more time for learning geographic terminologies than studying contceps of geography. Old textbooks have as many terminologies as the new textbooks has. Fourthly, respecting the place names, there are too many names of places in the textbook. Namely place names appear about 10 place names per page. The notable difference here in the new textbook lies in the fact that there are more Korean place names than foreign place names. Fifthly, respecting illustrations including graphs, and maps, there are less illustrations, than the old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