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경희-
dc.creator한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5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3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4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391-
dc.description.abstract근래 우리의 사회일반에 만연되어 있는 서구화의 경향은 실로 대단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경향은 실내장식면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아름답게 꾸미고자 하는 일반생활공간에 이용되고 있는 거의 모든 실내장식의 양식도 전통적인 우리의 것이라기 보다는 서구적인 요소들이 현저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의 전통적인 실내공간에 서구적인 요소가 언제부터,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어떻게 구체화되었는가를 고찰하고 나아가서 그 후의 건축공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었나를 살펴보는데 그 주된 목적을 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구를 함에 있어 그 대상은 궁궐건축으로 제한하고 특히 정전과 내전으로 분리하여 고찰하고자 하는데 이는 구한말에 있어 외국문물과 가장 접촉이 잦았던 계층이 바로 왕궁을 중심으로 한 지배계급이었으며, 또 이런 영향이 먼저 나타나고 가장 잘 보존된 곳이 궁궐건축 특히 정전과 내전이었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나라에 잇Dj 서구문물이 들어오는 시기는 1876년 문호개방 이후의 일로서 시대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시기였던 만큼 서구적인 요소가 지속적이거나 정상적으로 유입될 수능 없었다. 그러나 그러한 속에서도 서구식 요소는 유입이 되었고 또 그 영향력을 나타냈던 바, 그 유입과정은 대개 세가지 방향에서 살펴 볼 수 있다. 곧 한국고관들의 외국왕래로 인한 전래, 내한했던 서구인을 통한 전래, 일본인들을 통한 간접적인 전래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경로를 통하여 궁궐건축들은 점차 서구식으로의 변모를 가져오는데 그 경향은 완전한 서구식 건축물에 서구식 실내장식을 갖춘 것과 전통적인 기존 건축물에 서구식 실내장식 요소가 가미되는 것 두 종류로 나타난다. 전자의 경우는 석조전으로, 그 양식은 18C에서 19C 초에 구라파에서 유행하였고 그 후 19C 초에 미국에서 영국의 영향을 받아 소위 Colonial style로서 번성하였던 신고전주의(n대-classicism) 경향의 유일한 석조건축이다. 또 후자의 경우로는 인정전, 대조전, 희정당, 함녕전 등이 있는데, 이들은 대개 기본적인 건축구조물에는 변함이 없이 다만 전등시설, drapery, Valance, 유리창, 서양벽지, plaster 벽? 천정, 징두리판벽(dado, wainscot), Carpet, 서양가구 등의 실내장식요소들만이 첨가된 것이었다. 그 결과 이러한 요소들은 대부분 전통적인 기본건축물이 역행함이 없이 통일성을 기하면서 변화있게 적용되었으며 이 변화된 면모를 전통적인 궁궐건축 내부공간과 비교해 볼 때 자연적이고 소박하고 다소는 단순하였던 내부공간이 인공적인 요소가 가해 화려해졌으며 또 동서양의 실내장식요소가 서로 복합됨에 따라 일부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궁궐건축이라 해서 지나치게 사치하다거나 화려하지 않는 점은 서구의 궁궐건축과 비교해 볼 때, 서구식실내장식요소가 유입되기 전이나 후 모두의 공통점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Nowadays, a tendency toward westernization makes itself felt in our oriental society. The tendency also appears distinctly in the field of interior decoration. Elements of interior decor in the living space of our daily activities are assimilating more distinctly a western flavor rather than our traditional ones. Thus,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observe and trac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lements analytically; its period, routes and paths and the implications for our traditional architectural and interior design. This research is limited to palace architecture and especially to the areas of official royal chambers and the private inner courts. The subject, of interior decoration in palace architecture was Chosen because, toward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YI period), the Royal family and upper class ruling officials could keep in frequent contact with westerners and western materials, since reflections and reminders of western interior decor could be traced in palaces, especially in the official royal chambers and in the inner private courts. In fact, western materials and fashion were introduced to Korea in her first contact, with foreigners in 1876. During this period, Korea was in an unstable condition and likewise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or civilization to Korea was irregular and unoriginal. However the inflow of western factors, and their influence continued through governmental officials occasionally traveling abroad or foreigner." residing in Korea and indirectly imported western culture via Japanese. Through various channels, western influence on traditional Korean interior, especially in palaces became an important subject. Such reformation could be traced in two parts categorically; one influencing western style buildings and interiors with western decor and, the other, the traditional Korean buildings but, interiors with a western decor. In case of the western example, it is the unique stone building of neo-classic architecture of suk-cho-chun which shows the influence of popular European architecture of 18th and 19th century, and the early American colonial architecture of 19th century. In case of later examples, the traditional building remains unchanged, basically, except interior changes by additional modifications in western taste such as lighting fixtures, draperies, valances, glazing, western wall coverings, plastering walls or ceiling, dado, wainscot, carpeting and western furniture. In summary, as those western factors or elements were applied to traditional buildings with harmony and variety in interior decoration, they became more interesting and glamorous interior spaces, in contrast with the traditional government interiors which were rather natural, simple and monotoneous. By combining western factors in interior elements with traditional oriental (Korean) interiors, a variety and harmony could be achieved. Palace architecture and its interior decorations, neither over luxurious nor ostentatious remains in harmony and retains its dignity and style while being in fashion, regardless of period, before or after the influence of western interior decor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본 연구의 대상 2 C. 본 연구의 방법과 순서 3 II. 시대적인 배경과 서구식요소의 유입과정 4 A. 시대적 배경 4 B. 서구식요소의 유입과정 8 III. 전통적인 궁궐건축의 내부의장 12 A. 개설 12 B. 정전 12 C. 내전 24 IV. 서구식요소 유입 후의 궁궐건축 내부의장 40 A. 개설 40 B. 정전 43 1. 인정전 43 2. 동행각 53 C. 내전 54 1. 함녕전 54 2. 대조전 59 3. 희정당 74 4. 석조전 92 V. 서구식 요소 유입 전후의 내부의장의 비교 104 A. 정전 104 B. 내전 106 VI. 결론 110 참고문헌 113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382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구한말 궁궐건축 내부의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구적 요소의 영향을 중심으로-
dc.format.page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7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