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재온-
dc.creator이재온-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3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3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4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387-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인은 생활의 전달수단으로서 많은 매개체를 사용하고 있는데 간판은 매개체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물체는 모두 각기의 활형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간판은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며 시각디자인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간판은 물론 선전광고를 위한 상업적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 주요목적으로서 시각을 통한 물리적 표현수단이다. 그러나 시각을 통한 전달수단이므로 예술적인 점이 고려되지 않으면 안된다. 현대의 도시가 날로 밀집화, 대형화 함에 따라서 현대인은 마치 고층 빌딩의 숲속에서 살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건물에 부착되어 있는 간판을 대할 때에 간판에 대한 인식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관한 연구와 개선은 현대의도시인들에게는 매우 시급히 요청되는 과제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조형적인 측면에서 서울의 번화가인 명동, 종료, 숙대입구, 이대입구 등의 네 지역을 선택하여 이들 지역의 양복점, 양장점, 양화점, 백화점 등의 네 업종별로 현장의 사진촬영을 통하여 도시 간판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이들을 조형적인 측면(크기, 문자, 색채, 레이아웃)에서 분석하고 도시미관의 형성과 도시인에게 주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요컨대 시각디자인으로서 보다 더 효율적인 간판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상업광고로서의 간판은 소구 - 조형 - 환경과의 적부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간판디자인은 광고디자인의 한 분야이다. 간판이란 옥외에서 다수를 대상으로 하며 무엇보다도 사람의 눈을 멈추게 하고 인상적이어야 한다. 간판의 요소는 건축과 불가분의 연관성을 지니고 있어서 건물의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면서 기업의 성격 전체를 집어 넣어야 하는 것이다. 간판 디자인의 방향은 예술성, 사회성, 경제성 등의 세가지 점에서 개선되어야 하겠다. 유럽의 도시는 역서성과 전통이 새로운 현대의 도시와 잘 융화되고 있어 옛 것과 새 것이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 우리의 간판은 무질서한 건물의 부착물로 어지러우며 시각적인 피로를 주고 있는 현실이다. 8? 15해방이후 서구문물의 홍수 속에서 간판도 외국의 것을 그대로 모방하여 우리의 풍토에 맞지 않는 것이 사남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판디자인도 선전판매를 촉진시키는데 그치지 말고 보는 사람에게 정신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디자인이란 미와 용의 결합을 통해 그 본래의 기능을 다하기 위한 하나의 조형계획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간판디자인도 그 기능을 다하기 위해 크기, 문자, 색채, 레이아웃의 여러 가지 점에서 종합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만 할 것이다. 간판의 크기는 건물과의 관계에서, 문자는 간판자체의 크기와의 비례에서, 색채는 주변환경과의 조화에서, 레이아웃은 간판의 크기, 문자, 공간 등에서 예술적인 기능이 상실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간판의 분석결과 간판의 비는 가로 : 세로의 비가 2:1 이상이 많았다. 오늘의 간판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선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첫째, 도시미관 전체와 조화있게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문자는 우리말로 표기되어야 한다. 셋째, 크기는 건물과 비례하여 만들어져야 한다. 넷째, 각 업종별로 개성있게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색채는 시인도가 높은 색으로 채색되어야 한다. 여섯째, 시각적으로 도시공해를 주지 않으며 생활환경의 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이 갖추어 졌을 때에 도시미관에 어울리는 간판이 만들어 질 것이다.;Modern men use many formative things as a means of living, of which sign-board is one of the artificials. Such a thing has all its own formation. Sign-board is one of communication means and give functions as visual design. It, is, of course, the major aim of sign-board to exercise commercial. But it is apparatus through visual eye, so the artistic point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odern cities grow densely populated and become megalopolis, modern men seem to be impressed in the forests of higher buildings. Whenever we face to the sign-board attached to such a building, there arises more recognition on it,. Accordingly, the research and improvement, of it become urgent task which modern citizens require. Sign-board design is a field of the commercial design, It functions an eye-stopper and appears to be impressive to the citizens. The element of it have many inevitable relation with building and must be in, harmony and insert the whole characteristics of enter prise. I have checked up four kinds of shops (Department store, Tailor's, Shoemakers, Dresser's) in the area of the four main streets of Seoul (Myung Dong, Chong Ro, Sook Myung Women's Univ. Avenue, Ewha Woman's Univ. Avenue) in order to analyze and study the aspect of it. So I try to research more effective sign-boards as Visual Design, W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of it if it give influence to the cities as an ele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I have chosen the four main streets of Seoul in the formation aspects and made research of it. So I have analyzed them in the various formative sides (size, lettering, color and layout) and studied the effects of the citizens given by them. In short, I thought to find a more effective sign-board as Visual Design. The elements of it have individual relations with architecture, so we take it in the whole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 while being in harmony with the image of buildings. The directions of it must be promoted in the points of art, sociality and economy. Most of European cities have history and tradition, because they harmonize with modern cities. But modern Korean sign-boards seem to give visual fatigue to the citizens, for they are attached in chaos to buildings, After the Liberation, we have many westernized sign-boards, of which we are not criticizing those of the foreigner's. The design of sign-boards has to give spiritual pleasure, not only to promote the advertising. Formation has come to give emphasis beauty and utility fox the sake of art and commerce. Accordingly, the formation of it should be harmonized in the points of size, lettering, color and layout synthetically. Sign-board ought to be reconsider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made in harmony with the whole beautiful scene of the city. Second, the lettering should be written in Korean letters. Third, the size should be made in proportion with the building. Fourth, it should be made in appropriate to the kind of enterprise individually. Fifth, the color should be taken in high visibility. Sixth, it should not be urban pollution in visual side and. helps to promote the more higher environment of life. If such a condition be provided, we could have finer sign- boards which become to the beautiful c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목적 1 B. 범위 2 C. 방법 3 II. 간판의 개관 4 A. 간판 디자인의 정의 4 B. 간판의 특성 6 C. 간판의 현황 11 III. 간판 디자인의 분석 16 A. 간판의 조형성 16 B. 간판의 분석 38 C. 간판 디자인의 방향 47 IV. 결론 51 참고문헌 53 ABSTRACT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115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간판디자인의 분석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의 번화가를 중심으로-
dc.format.page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7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