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왕유와 남종화설의 재고구

Title
왕유와 남종화설의 재고구
Authors
김경자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대학원 순수미술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t is generally known that connoisseurs have been giving donfliction discussions as to such painters of moment in T'ang period sepecially as Wang Wei and Nan Tsung Hua and as to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m. This discordance, sven though it is caused from potsntial causes, may be due to deviding the then painters into parts by such painters and connoisseurs as Tung Ch'i Ch'ang and Chen Chi Ju in the latest Myeoun. Shan in Buddhism was davided into the South and The North and simulaneously painting too, Nan Tsung and Pei Tsung. The originator of the Nan Tsung painting style was recognized as Wang Wei, the epitome of each period from T'ang to Wu Tai, Sung, Y□and was denominated and Nan Tsung Hua's art of frawing was discriminatin□ly judged, which gave rise to various problems as follows: 1. Is Wang Wei Taoistic or Buddhistic? 2. Is Wang Wei's idosyncracy poet or painter? 3. Is Wang Wei the originator of, or contributor to, Nan Tsung painting? 4. In which did the idosyucratic location of Nan Tsung painting consists; coloration, India ink painting, the beauty of form or character? 5. That is the corelation between Nan Tsung's painting and Wen Jen Hua's? And so on. Brief description is made of the such problems from synthesizing and summerizing, as follows: 1. Intensively studyin Wan Wei's character, thought and living environment from the standpoint of a natural man rather than a poet or a painter shows his moderateness in character, his versatility in poem, in painting-and-writing and in music, and his synthetic culture obtained from the three religious teachings - Cor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2. Wang Wsi's artistic idiosyncracy and his painting style, of variety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Nan Tsung Hua which were accomplished mainly in Sung Period. 3. Nan Tsung Hua and Nen Jen Hua, □oth of which were originated from their originatox Wang Wei, though v□rient in terminology, is sim□lar in their intention and style. 4. It is clarified that, by examining the origin of the theory of Nan Tsung Hua and its main stream, the origination of what is called Nan Tsung Hua can be accribed to that the literary painters in the latest Myeoug had an intention of protecting and displaying their style and of putting the origin or their style to ths best culrural period of T'and for establishing a desirable tradition. A wide range of and more intensive study is required in this field. According to the discussions mentioned above conclusion is made as follows: 1. It is disired to ameliorate that Wang Wei's thoughts are based on Buddhism and so the whole of his style must be Buddhistic. 2. It should be carefully re-examined that Wang Wei, despite using coloring and mountain-furrows in Pei Tsung style, understood to be distinguishing in Indian ink painting, and that he si recognized to be the originator of Nan Tsung Hua. 3. Some reviews made by cultural historians say that Nan Tsung Hua is a abiogenetic style based on Southern Chiness culture. Therefors Nan Tsung Hua, irrespective of external coloring or mountain-furrows, should be in a position of Southern internal style.;중국당대의 중추적인 화가 왕유 그리고 그와 남송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과 그에 따른 역대 평론가들의 구구한 논란이 있었음은 사학계의 주지 사실이다. 그러한 논란에는 물론 원인과 근인이 아울러 잠재하였음에 있겠지만 그 직접적인 동기는 명말의 화가 겸 화론가인 동기창, 진계유, 막시용 등이 회화의 분종설을 발표한 것이다. 즉 선종불교가 초당대에서 남과 북으로 분종됨에, 때를 같이하여 회화도 남종과 북종으로 나눠졌고, 그 남종적인 화풍의 창시자가 왕유라고 주장하면서 당대로부터 오대 송? 원대에 이르는 계통적인 인물까지 지정하는 한편 남종화의 화법을 편파적으로 단정 지시한데서 여러 가지 문제가 야기되었던 것이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이어오는 문제들을 요약 열거하자면 1. 왕유의 사상은 도교적? 불교적? 2. 왕유의 예술상 지위는 시인? 화가? 3. 왕유는 과연 남송화의 창시자? 공헌자? 4. 남송화의 특성의 소재는 설색과 수묵? 형태와 풍격? 5. 남송화와 문인화의 상관관계? 등등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종합정리를 시도한 본론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왕유를 시인이나 화가로 보기 전에 한 자연인으로서의 자품과 사상과 생활환경 등을 고찰하므로써 비로소 그의 온건한 성격과 시, 서, 화, 음악을 다 통달한 다양적인 재능과 유도불 삼교사상을 겸섭한 종합적인 수양면 등을 파악하였음. 2. 왕유의 다양성 있는 예술사상과 그에 따른 다양한 회화작풍을 고찰하므로써 후일 송대에서 본격적으로 이뤄진 남송화의 특색과는 거리가 있음을 파악하였음. 3. 왕유를 창시자로 한 남송화와 문인화의 내용을 고찰한 결과 그 두가지는 호칭만 상이할 뿐, 그 취지와 풍격에 있어서는 동일함을 파악하였음. 4. 남송화설의 발생사유와 그 화풍의 원류를 고찰하므로써 전대에 없었던 남송화라는 호칭이 새삼스럽게 만들어진 원인은 상기한 명말 무인계화가들이 자기네의 화풍을 추호 과시 내지는 전통 수립을 위하여 발원을 멀리 당대의 문화 전성기에 두었음을 파악하였음. 위의 고찰 파악한 것으로서는 철저한 구명이 되지 못하나 미학의 소신대로 다음과 같이 결미를 보게 되었다. 1. 종뢰 왕유의 사상을 불가적으로만 인식하여 그의 작풍 전부를 그렇게만 해석하는 경향은 지양되어야 한다. 2. 왕유는 북송식의 저색과 준법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묵화의 측면만 지적하여 그것이 남송화의 특성인듯이 간주하는 동시 남송화의 창시자라고 인식하는 경향은 재고되어야 한다. 3. 문화사적 고찰에 의하면 남송화는 중국 남방문화사상의 기저에서 이뤄진 자연발생적인 화풍으로 인식되므로 외적인 기법상의 저색이나 준법에 구애될 것 없이 내적인 풍격에 의한 남방적인 형태가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