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녀-
dc.creator김정녀-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1Z-
dc.date.issued1975-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3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4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305-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thesis I try to investigate the aesthetc elements in “Mokseung" dance (目중춤) the 2nd section of ”Bongsan Talchoom" mask dance (鳳山탈춤). The study of “Bongsan Talchoom" mask dance has positively been done from ethnological, literary, and dramatic standpoints. But "Mokseung" dance has scarcely been studied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it. That is to say, it is qenerally considered to constitute a subsidary part of the mask dance. I am convinced that the dance in "Bongsan Talchoom" is one of the distinguished arts which enables us to imagine the nuance of mask and keeps various respective characteristic expressions. But generally speaking, "Bongsan Talchoom" in which, drama, music, and dance are combined is a kind of composite art, and so it is very difficult for me to study these all together from the dancing point of view. Therefore the writer took up "Mokseung" dance, the 2nd section which is mainly composed of dance, as an object, and examined the peculiarity and value of the dance in the following perspectives. (1) I investigate the origin, source, and social background of mask drama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2) I made clear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Bongsan Talchum" as a mask drama. (3) I made a practical analysis of the form action, movemont, progress,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dance. (4) I tried to examine the aesthetic elements of the dance in relation to above mentioned three items. The purpose of the aesthetic consideration lies in clarifying the meaning of aesthetic experience, the peculiarity of expressional form, and the artistic value of "Bhongsan Talchum." In the beginning, "Bongsan Talchum" was performed at SandeiJaphui in the Court but it has disappeared from the Court since the King Injo's reign in Yi Dynasty (about 1934). Consequently the performers played it in public for people's sake and gradually it became a kind of people's amusement and made a progress as people's popular art. After that, "Talchum" mask dance was progressed to a unique artistic form which combined religious festival elements with the elements of amusement. In the meantime, the play was performed to express people's complications and discontents artistically in the rigid hierachical socicty. The specific roles of the dance were thought much because the physical action and body movement are the dircet and strong forms of expression. The aesthetical experience in this dance was the result of the people's sharp sense of reality. In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 of "Talchum" the element of "Maim"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people found out a peculiar aesthetical form to express their aesthetical experience and emotion through exaggeration, expansion and deformation, etc. In consequence, the action, gesture, and progress of the dance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western style, ballet or modern dance. But it has its own special value that much.;이 논문은 봉산 탈춤중 제2과인 「8목중춤」의 미학적 고찰을 시도한 것이다. 지금까지 봉산탈춤의 민속학적, 문학적 내지 연극학적 연구는 활발히 행해져 왔는데 비해 이 춤에 대해서는 전후 대사나 극 진행의 보조 역할을 하는 정도로 인식되어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봉산 탈춤의 춤은 가면의 뉘앙스를 돋보이게 해주는 여러 사위 등의 모두가 특유한 표현성을 지닌 탁월한 예술의 하나임을 확신한다. 그러나 봉산탈춤 전체를 보면 대사, 연극, 음악, 무용 등이 한데 어울려 이루어진 일종의 종합예술이므로 이 모두를 무용의 입장에서 연구하기는 대단히 어려운 난점이 있다. 때문에 필자는 그 가운데 비교적 춤만으로 되어 있는 제이과장「8목중춤」만을 우선 대상으로 하여 무용으로서의 특성과 가치를 고찰해 보려고 했다. 이에 대한 고찰은 첫째 가면극의 기원과 유래, 사회적 배경 등을 역사적으로 살피고 둘째 봉산 탈춤의 가면극으로서의 의의와 특색을 밝히며 셋째 실증적 입장에서 그 춤의 구체적인 형식과 동작, 움직임의 부위, 그리고 진행 및 전개 과정을 세밀히 분석 고찰하고, 넷째 이것을 토대로 미학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이미학적인 고찰의 내용은 봉산탈춤의 춤에 대한 미학경험으로서의 의의, 표현 형식상의 특성 그리고 그 예술적 가치를 밝혀 내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과 방법을 통해 고찰한 것을 종합한 결론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봉산탈춤은 그것이 처음에는 궁중의 산대잡희에서 행해졌으나 조선 인조(1634년경) 이후 폐지됨에 따라 그 연희자들이 대중을 상대로 공연을 갖게 되면서 점차 민중의 놀이로 받아들여지고 다시 민중예술로서 변모 발전하였다. 따라서 탈춤은 그 후 가면극으로서, 한편 종교적인 제의요소와 민중의 놀이가 복합된 독특한 예술형태로 발전했는데 그 과정에서 그것은 당시 계급사회에 대한 민중들의 갈등과 그 감정을 예술로 형상화하여 표현하게 되었다. 여기서 춤이 지닌 역할이나 비중이 중시되었는데 그 이유는 춤이 나타내는 신체적 동작과 몸짓은 어는 것보다도 직접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 춤의 미적경험은 당시 민중들의 현실적 경험을 미적으로 파악하고 그것을 다시 고양시키는데서 이루어졌던 것이다. 그리고 현실에 대한 이 미적경험은 탈춤에서는 「마임」을 토대로 발전시켰음을 알 수 있다. 탈춤의 표현적 특색은 따라서 일상생활의 동작과 몸짓에 대한 「마임」적 요소가 으뜸이 되며 이를 토대로 그들의 미적 경험과 정서를 나타내기 위해 과장, 확대, 변형 등을 통해 특유한 미적형식을 만들어 내었다. 따라서 탈춤의 동작이나 몸짓 및 전개형식은 서구의 Ballet나 Modern Dance의 그것과는 크게 다르며, 다른 만큼의 특수한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통 무용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탈춤에 대한 인식과 연구가 다각적으로 행해져야 할 줄 믿는다. 탈춤이 서구의 Ballet나 Modern Dance에 비하면 대단히 조잡한 느낌을 주는 것은, 실제로 그것이 조잡하거나 세련되지 못해서가 아니라 그들의 사회적 조건, 미적경험과 감수성 그리고 전개형식이 판이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탈춤은 그대로 특수한 형식과 예술적 가치를 인정해야 마땅하다. 이러한 훌륭한 전통적 예술(무용)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 무용에 대한 인식을 새로히 하고 다각적으로 연구하여야 할 것으로 믿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 2 II. 봉산탈춤의 이론과 배경 3 A. 봉산탈춤의 기원과 유래 3 B. 봉산탈춤의 사회적 배경 6 C. 봉산 탈춤의 구성 9 III. 목중춤의 분석-실증적 입장에서의 고찰 12 A. 제2과장(목중춤)의 내용 12 B. 동작 및 춤사위 12 C. 목중춤의 전개형식 27 D. 움직임의 부위분포 30 IV. 팔목중춤의 미학적 고찰 31 A. 미적 경험 31 B. 표현형식상의 특색 33 C. 예술적 가치 37 V. 결론 40 참고문헌 42 ABSTRACT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228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봉산 탈춤의 미학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목승춤을 중심으로-
dc.format.page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7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