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0 Download: 0

주택거실 실내색채에 관한 연구

Title
주택거실 실내색채에 관한 연구
Authors
송원희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응용미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論文은 우리의 現在 住宅 居室에서 사용된 色彩와 기타 要素들을 調査·分析하므로써 더욱 안락한 住宅內의 居室空間이 形成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겨건들과, 居室에서 사용되는 色에 괸한 것을 알아보려고 한다. 복잡한 社會, 機械化된 現代文明은 이 시대에 살고 있는 인간에게 心理的, 精神的인 부담감을 주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정리된 환경의 쾌적함은 人間 누구나가 원하고 있는 욕구이다. 특히 不調和된 色彩의 혼란은 視覺을 통한 情緖的 不安의 요인이 되어, 人間의 性格 形成이나 生活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色彩는 어떤 物質的인 形態나 크기를 갖는 存在가 아니다. 그러나 色彩의 心理的인 면적은 어떤 數量에 의해서 표시될 수 없을 정도로 큰 것이다. 住宅에 있어서 居室空間은 人間의 內的 욕구 충동이 社會性을 包含하면서 만족되어져야 하는 곳이다. 心理的으로 安定된 분위기 속에서 휴식을 취하고, 社會的 行動과 個人的인 行動을 함께 할 수 있는 복합적인 요구가 쾌적한 居室의 室內環境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第1章 서론에서는 연구의 目的, 範圍, 方法을 말하고, 第2章에서는 環境으로서의 色彩의 중요성과 時代的인 色彩의 사용, 社會的인 色彩의 영향과, 色彩가 갖은 心理的인 感情효과의 側面을 말하고, 第3章에서는 居室 室內空間의 構成에 대한 일반적인 요소를 말한다. 第4章에서는 現 住宅의 實態調査의 결과로서 30個 住宅의 居室에서 나타난 모든 사항을 分析한다. 그 결과 천장의 色에서는 N 9.5 (白)와 Y系의 고명도·중채도가, 바닥에서는 YR_Y의 고명도·중채도, 벽에서는 YR_Y의 중명도·중채도의 色이 사용되고 있다. Carpet이나 Rug의 색선택에서는 Y와 R의 중명도·중채도의 색이 선택되고, Curtain 색은 Y)G에 이르는 고명도·중채도가, Sofa는 R의 고명도·저채도가 선택된다. 第5章은 결론으로 第4章의 調査·分析에 의거한 결론을 내린다. ·住宅에서 居室은 가장 重要한 가족모임의 장소이나, 우리의 경우 가족이란 단위를 위한 거실이기 보다는 접객의 行爲가 主 가 되고 있다. · 천장, 바닥, 벽의 재료가 모두 나무로 되는 경우가 많음은 居室이 대청마루의 개념으로 일치시키는 이유이다. · 재료나 가구의 배치등은 공간에 형식성이 지배되고, 자유스러운 분위기가 요구된다. · 室內에서 가구의 點用面積은 많아서 空間感을 필요로 한다. · 色에 있어서는 暖色系의 YR_Y에 이르는 色相으로 同色이나 類似色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며, 대담한 補色의 사용은 어렵게 나타난다. 이는 우리 生活에서 아직도 色彩의 活用性이 미숙하고, 室內 色彩 使用의 실패를 우려할 것이다. 이상으로 現 住宅 居室의 경향을 알아 봄으로써 보다 나은 우리의 生活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겠다. 주택에서의 居室은 사용인의 취향에 따른 Privacy의 문제이지만, 보편적인 타당성은 형성되는 것이다.;In this thesis, I'll inquire out the color using in a Liv-ing-Room and the factors which have effect on forming the more comfortable space of Living-Room. For these inquirements, I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olor and the other e1ements of Living-Room in present dwelling house. The mechanized modern civilization of complicated society imposes a heavy psychological burden on a man. In these states, everyone wants delightful and arranged circumstances, Especially, the confusion of disharwonious color effects on the formation of characters and life of a man by being the cause of emotional rnrest through his sense of sight. Color doesn't have any material shape or size. But the psychological size of Color is so large that it can't be seen through any quantity. In a dwelling house, the space of Living-Room is the place where the inner desire drive of a man should be satisfied with sociality. The compound desire of taking a rest under the settled surroundings and of acting social and individual be-havior should be achieved under the interior environment of pleasant Living-Room. Chapter I, as an introduction, is about the purpose, sphere, and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II is about the importantce of color as environment, the use of color in history, social effect of color, and the psychological feeling effect of color. Chapter III is about the general elements of arganization of the interior space in Living-Room. Chapter IV is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present dwelling houses and is an analysis about all of the items show-ing tn Living-Room of thirty houses.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e can see the following facts. The high-value and middle-chroma of Y (yellew) and white is used for ceiling, the high-value and middle-chroma of YR-Y for floor, and the middle-value and middle-chroma of YR-Y for wall. In the selection of color, the middle-value and middle-chroma of Y and R is selected as oarpet and rug color, In the case of in-terior furniture, the middle-value and middle-chroma of YR is selected for table, and the high-value and low-chroma of R for Sofa. Chapter V, as a conclusion, is about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chapter IV. In a dwelling house, Living-Room is the most important public (group)space. In our case, a Living-Room is for reception of a guest rather than for family as a unit. For according a conception of Living-Room with a main floored Room, a large percentage of ceiling, flooring, and wall is made of wood. The arrangement of materal and furniture is influenced by the formality of space and it should be arranged under a free atmosphere. In a Living-Room the area occupied by furniture is so large that it needs a space perception. In a case of color, as the hue of YR-Y of warm color, the mono-chromatic color and analegous color are usual and bold comple-mentary colors are very unusual. As mentioned above, the better life can be obtained through the study about the tendency of Living-Room in a present dwell-ing house. A Living-Room of house is a matter of privacy and taste of user(family), but it also has a uriversal propr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