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시정-
dc.creator박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0Z-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3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4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378-
dc.description.abstract한국 고전문학의 특질 파악의 일환으로서 우리 고전, 문학의 각 장르 속에 내포되어 있는 문학적 특질의 하나인 해학성을 구명해 봄도 도로가 아니라고 생각되어 본 연구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흔히들 한국 고전문학의 특질을 논위하는 데 있어 작품에 대한 충분한 분석적 결론을 내리지 않고 “은근과 끈기의 문학”이니 “애처로움과 가냘품의 문학”이니 “두어라와 노세의 문학”이니 혹은 “도문일치의 사상”이니 “도피사상 내지 향락주의”니 “해학성과 낙천성”이니 또는 “점잖음과 해학성, 공명주의와 취락사상”이 있다는 등등으로 운위하여 왔다. 그러나, 그와 같은 말로서 한국 고전문학의 특질을 대변할 만한 실증주의적 연구의 뒷받침이 되어 있지 않고 다만 단편적인 실례와 편견을 추상한 데 지나지 않았음도 주지의 사실이다. 본론에 앞서 본 연구의 주지는 한국 학계와 문단에서 분운되어 이설이 많았던 해학의 개념을 제가의 학설을 탁충호발하여 어떤 언어의 수사나 문장의 내용보다도, 보다 긍정적이며 선의적이며, 수용적이며, 비판적이며, 조롱적이며 미학적인 웃음이 내포된 속성을 해학의 정의로 정립하여 이제까지 풍체(satir), 기지(wit), 아이러니(Irony) 등의 유사개념에서 오는 혼동과 오류를 배제하여 순수한 해학(Humor)의 속성만을 전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검출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에 다다라 한국 고전문학의 여러 장르 중에서도 한문학과 설화 가사 등을 제외하고 소설과 시조에 나타난 해학성만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의 대략을 보이면, 첫째로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성으로서는 춘향전과 배비장전에서 엑스트라로 등장한 방자가 시종일관 지체는 높으나 사리에 어두운 주인공을 조롱하는 해학과 흥부전에서와 같이 가난과 슬픔의 신고를 웃음으로 달관하고 승화시키는 흥부형의 허장성세와 낙천주의적인 해학성이 있다. 둘째로 시조에서는 위선, 외설, 격노, 과장, 허희 등등에서 오는 천편일률적인 평판적 해학성으로 미학적 가치가 결여된 작품이 거의 대부분이다. 셋째로, 한국 고전문학 속에 나타난 해학성의 함수관계를 유형별로 분류해 보면, 주제면에서 오는 해학성,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나 사건전개와 대화에서 오는 해학성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그 발상적 동기와 표현기교면에서 볼 때, 내용적 심리적인 해학성과 형식적 수사적 해학성 등으로 이대별 할 수 있다. 넷째로 한국 고전문학 속에 나타난 해학성으로 미루어 보아 우리 선민들의 의식구조를 엿볼 수 있고 아울러 우리 민족서의 일단인 낙천성도 유추할 수 있다. 다섯째로 한국 고전문학 속에 나타난 풍부한 해학성을 발굴 계승함으로써 현대와 같은 한국인의 각박한 생활의 정서를 더 한층 풍요하게 할 문화유산으로 소중하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귀납하여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해학성이 예술로서의 미학적 범주에 얼마만한 효용과 가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한국 고전문학의 특질의 하나로 내세울 수 있을 만큼 많은 양의 해학성이 각 장르에 분포되어 있음을 실제 작품분석을 통하여 검출했다.;To conclude, I can summarize the content of my thesis briefly as follows. (1) Humour has in no time been clearly defined either in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n Studies and Literature or in any 1 iterary theory of the world-famous scholars. It is subject to so many varied. definitions. In this thesis, however, I've attempted to suggest a clear concept of humour by compromising with one another all the differing ideas concerned. Accordingly, I've tried to describe humour in its pure sense, calling attention to its comic sense, distinguishing it from such other similar concepts as irony, satire, and wit, excluding any tint of the past conventional view of literature and its mistakes that have confused humour with satire and others. The result is, the humour in Korean literary classics, like that of the Western literary works, can be defined as including many elements of laughter which are positive, good-intentioned, ridiculous and even aesthetic. (2) The sense of humour, one of the peculiar qualities of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mains still to be studied to be employed as a good device of the literary analysis of the Korean classics. It still waits for an earnest, study of the scholars concerned, since there's no reliable view and theory ever available for it except in a few good graduate theses concerned. (3) The sense of humour which shows itself in our ancient classical novels, can be classified roughly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 humour of Bang-ja who plays the part of a comic extra in Choon-hyang-jeon, where he characteristically makes fool of his foolish and unsophisticated master, and the other is the humour of Heung-boo who is characterized by his optimism caused by his vain effort to overcome his poverty and sorrowful adversity consistently with smiling airs. (4) The humour which was dealt, with in our ancient Si-ga, partakes of tolerance, as is shown in Cho-yong-ga of the Syla Dynasty. The Ka-yos (songs) of Korea. Dynasty are full of the humour coming from irrationality. Our ancient Si-jos include a considerable amount of humour which consistently express aesthetic value, hypocrisy, sensuality, sexual revelation, exaggeration, verbal mockery. (5) To classify the function of' the humour which appears in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y type, it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humour which comes from literary themes and that which comes from the characterization and dialogue of characters. And by its conceptual motive and expressional technique, the humour can also be classified psychological humour and formal, rhetorical. (6) The humour of our ancient classical literature enables us to partly understand the structure of our ancestors' consciousness and ta have an anological understanding of a part of our national character, an optimistic view of life. (7) The abundant humour which was created by our ancestors deserve our earnest study both by excavating and succeeding as a valuable inheritance for the purpose of purifying and amplifying our emotions of our life which would otherwise be apt to be deteriorated in the wild voltex of the current wor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해학의 개념 5 III.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성 16 A. 춘향전에 나타난 해학성 16 B. 흥부전에 나타난 해학성 46 C. 옹고집전에 나타난 해학성 64 D. 배비장전에 나타난 해학성 77 IV. 시조에 나타난 해학성 96 A. 내용적 심리적 해학 시조 97 B. 형식적 수사적 해학시조 105 V. 결론 110 참고문헌 113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021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韓國 古典文學에 나타난 諧謔性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特히 小說 및 時調를 中心으로-
dc.format.page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7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