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상대음감과 절대음감 식별에 관한 연구

Title
상대음감과 절대음감 식별에 관한 연구
Authors
송영애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82년에 改正한 우리나라의 音樂科 敎育課程에서는 創造性의 문제를 매우 比重있게 다루고 있음을 理解할 수 있다. 즉 國民學校 音樂科敎育課程을 살펴보면, 그 前文에서 '音樂性을 啓發하고, 풍부한 情緖와 創造性을 길러, 調和로운 人格을 形成하게 한다.'라고 하였으며 小項目에서는 '듣고 적을 수 있는 能力을 기르는 동시에 樂曲을 個性에 따라 創造的으로 表現할 수 있는 能力을 기른다.'라는 點을 밝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4, 5, 6學年의 學年目標에서는 '리듬과 가락을 지어서 적을 수 있는 能力을 기른다.' 라는 內容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世界的인 音樂敎育의 흐름은 물론 우리나라의 音樂科 敎育課程에서도 創造的인 音樂活動을 매우 强調하고 있다. 그러나 一線學校의 敎育現場에서는 구태의연한 歌唱敎育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創造敎育에는 눈을 돌리지 못하고 있는 설정 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本 硏究者는 國民學校 6學年을 中心으로 대도시, 소도시, 농촌 등 세지역으로 구분하여 創造敎育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設問을 通하여 調査 硏究하였다. 어린이 對象의 設問 27問項과 敎師對象의 設問 10問項으로 設問紙를 調査하였으며, 그統計를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로 處理하였는데 結果의 대표적인 것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에 대한 調査 結果 1. 敎育課程의 內容에 따라 비교적 충실하게 전개하고 있는 學習 活動은 다음과 같다. a. 創造的 表現 놀이는 잘 되고 있었다. b. 노래에 맞추어 겹리듬 치기는 잘 되고 있었다. c. 和音 듣고 가리기는 잘 되고 있었다. d. 創作 活動을 충실하게 전개하고 있는 지역이 농촌, 소도시, 대도시 순으로 나타나 있다. 2.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學習 活動은 다음과 같다. a. 가락꼴 듣고 가리기, 가락 문답 놀이 등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b. 가락 듣고적기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c. 리듬 합주곡의 편곡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d.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분야는 지역의 차가 없이 고르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敎師에 대한 調査 a. 創作 學習 指導의 경험에 대한 조사 b. 創作 學習에 대한 方法 c. 倉作 學習을 많이 못한 이유 이상과 같은 結果로 미루어 볼 때 敎育課程의 內容대로 創作 學習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는 첫째, 교사의 기능부족과 둘째, 音樂理論의 기초부족에서 온 결과라 생각되어졌다.;The matter of creativity is emphasized in our music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1982. In the preamble of elementary schools music curriculum, it is said,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develop their musical talents and cultivate aesthetic sentiments for their harmonious personalities."" And in small sectors, it is said, ""Students should be able to listen and write down certain melodies.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have the ability to compose musical piece creatively in harmony with their personnalities."" The aims of 4th, 5th, and 6th grade are to develop the ability to compose rhythmic patterns and melodies and to write down them on a sheet. Not only the stream of world music education, but that of our country's are emphasizing the creative musical activities. But we can't deny that we have ignored the creativity but stayed at worn-out singing programs. In this study, the realities of creativ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are researched by the questionaire to the sixth grade students in big city, small city, and rural community. The questionaire is consisted of 27 questions to the students and 10 questions to the teachers, It was arranged by SAS (Statistical Analysts Syste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I. Researches on the students 1. Learning activities carried out fully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re as follows. a. creative expression game b. clapping hands according to double rhythm listening Songs. c. to distinguish chord as it is listened. d. Rural district, Small city and big city in order lays emphasis on creative activities. 2. Learning activities not carried out fully are as follows. a. distinction of melody patterns, answer to the former melodies. b, to listen and write down melodies. c. arrangement of rhythm concert. d. There is no difference among three areas in carrying out above three activities. II. Researches on the teachers 1. their experiences of teaching creative learning. 2. ways of creative learning 3. reasons of ignoring creative learning According to the above conclusions, the main reasons of lack in creative learning are firstly, the lack of teachers abilities and secondly, the want of musical theo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