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형화-
dc.creator백형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9Z-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3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3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36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한국무용의 발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던 나례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나례무의 개념을 좀 더 명확히 밝히는 동시에 나례무와 민속반면무극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먼저 나례의 연원적인 중국 나례의 변천을 알아본 후에, 나례가 우리나라에 유입? 전래되어 어떻게 변형? 발전되어 왔는가를 알아보았으며, 특히 나례가 대단히 성행하였던 조선조를 중심으로 한 나례와 나례무, 더 나아가 근래의 민속반면무극중에서 상연되는 나례무들을 살펴보았다. 원시인들은 자연으로부터 그들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주술의 힘을 빌렸으며 그 주술의 하나로 춤을 추었는데 그것이 무용의 시원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무용은 오늘날의 예술무용과는 다른 형태인 신앙? 종교적인 무용이었으며 그러한 무용의 형태는 오늘날에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원시적인 신앙무용이 예술무용으로 발전되어가던 과정 중에 중국 고대국가의 군중에서 축역양식인 나례가 성행되었으며, 「나례무」는 이러한 나례시에 행하여지던 축귀무를 말한다. 그러나 나례에 점차적으로 많은 예술적인 요소가 가미됨으로 나례무도 역시 원래의 축역양식무만이 아닌 예술적인 무희로 변형발전하게 된다. 나례양식은 우리나라에도 유입되어져 고려시대와 조선조에 걸쳐 성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문헌상 최고의 기록으로는 서기 1040년(고려초엽)에 행하여졌음을 알 수 있으며 그로부터 고려말기까지 나례는 변형? 발전된 형태의 행사로 축역양식이외에 잡희들도 병행되었고 더 나아가서는 완전히 축역을 떠난 놀이로서의 나례로 변형되어진다. 조선조에 들어오면서 나례는 더욱 놀이화하고 오락화 되어 궁중세말나례 이외에 국가적 행사가 있을 때마다 나례가 매우 성대히 거행되었으며 그 연희물도 원래의 축귀무 이외에 우리나라 것인 처용무의 전도와 후도, 중국의 온갖 기예와 가무희인 백희? 잡희, 그리고 교방가요와 여악까지도 행하여졌다. 그러나 이조중엽에 와서는 나례의 행사가 매우 빈번하여지고 그 규모 또한 호화웅대하여 집에 따라서 국가재정의 지출이 막대하여지자 드디어 인조시에 공양으로서의 나례가 폐지되어 이를 업으로 삼던 □자들은 생계유지를 위하여 민간을 상대로 나례시에 그들이 하였던 재주를 상연하니 그 결과 나례는 우리나라의 민속반면무극 형성에 간접? 직접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근래의 민속반면무극중에서 나례시 행하여지던 나례무가 잔존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Narye Dance together with the relation between Narye Dance and Korean Mask Folk Dance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Narye ceremony which ha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Dancing. Therefore, I will investigate in this thesis all sorts of Narye which had been performed in popular event in Korea with China and Narye Dances which are extanted in the Korean Mask Folk Dance Drama. It is the origin of dancing that the primitive had played a dance by one means of the magico-religeon which its purpose was to preserve their lives from the natural forces. However, Dancing mentioned as the above is merely a religeous dance which is different from a to days artistic dance, and also it is possible to trace its existence through a dancing of thesedays. Meanwhile, in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from a religeous dance to a artistic dance, a ceremony called NARYE was created by a Court of the ancient China, and subsequently it had been developed by infuluences of various artistic elements. And it's performance in Korea started from 1040 A.D. (about the early period of the Koryo-Dynasty) on the existing documents. During the period of the Koryo-Dynasty, Narye Celemony imported from China had been transformed gradually and developed contineously by influence of various artistic elements. And also Narye had been changed gradually to perform as an event of amusement, seperated from it's original purpose to expel demens. Coming the period of the Yi Dynasty, Narye had been gradually transformed more and more to an event of amusement, and so its occations were expanded to various national events. Meanwhile, it's presentations made up the celemony to expel demens, ""Bakhyui Japhyui"" orginated in China, ""Choyoung-Dance"" originated in Korea and ""Kobang Kayo"" etc. Subsequently, Since Narye events had been played too much frequently and splendidly all national events, it was discontinued as an official event in the regin of the King Ihn-Cho. Therefore, ""Na-Ja"" who engaged in Court Narye Celemony had been played continuously their talents of Narye to popular spectators by means of their subsistence. Taking this opportunity, the existing Korean Mask Folk Danding Drama have been created by a influence of Narye. Therefore, we now confind Narye Dance to be still left in the Korean Dancing of today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설 1 II. 나례의 개관 3 A. 중국의 나례 3 B. 나례의 유입과 전승 6 III. 조선조의 궁중나례와 산대나례 11 A. 세말궁중나례 11 B. 산대나례 15 1. 사신영접시의 나례 16 2. 부묘환궁시의 나례 18 3. 태실이안시의 나례 19 4. 영신감사시의 나례 19 C. 나례와 산대가면극 형성의 관계 20 IV. 나례무 24 A. 궁중나례무 24 1. 방상씨가면과 축귀무 24 2. 처용무 26 B. 민속가면무극중의 나례무 33 1. 오방신장무 34 2. 상좌무 37 3. 연잎과 눈끔적이무 40 4. 사자무 44 V. 결론 50 참고문헌 52 ABSTRACT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145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나례와 나례무 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나례무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dc.format.page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7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