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5 Download: 0

한국 카렌다 디자인 방향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카렌다 디자인 방향분석에 관한 연구
Authors
김경숙
Issue Date
197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응용미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alendar is one of advertising media, which we can easily neglect, Calendar exists in interior life space. In the view of advertising budget, it will be one of the greatest advertising media as a single object of design. Calendar is not only relatively uncommercial advertising media among many media which communicate not definite informations but Images of enterprise, but also one of effective items and it is also a chance in which designers express their creativity. This study is attempt to anslyze questionaire about present situations of being made calendar designs in Korea, and to grope for forthcoming directions af calendar design by understanding of designs and opinions in the yiew of general users. Functions of calendar are classified into three items, function of assthetic. utility, and combined use. Therefore, in order to make characteristic calendar, definite informations are needed by understanding of calendar's character. This kind of calendar has to do its original function and for the sake of its accomplishment, methods of lay out, visual effects of design, various techniques of expression are needed and decide its character and speciality. As nonverbal communication calendar, which communicates image of enterprise, discriminatin of image is to be preceeded. For the purpose of discrimination of enterprise's image, this study is attempt to classify calendar design factors as below; items of function, theme, type-face. the number of sheets, printing process, paper's size and printing colours. This study is attempt to understand of present situation and discrimination between users and producers by factors. As for contents of calendar which is bening made in Korea, photography techniques is 54%, a work of arts is 34% design is 7% figure calendar without picture if 5% Calendar, as expressed by photography and offers appreciative object, which contains work of arts, is 88%. As for the contents of photography, it is simply made of figure photography, 50%, landscape photography, 39%. Incase of figure photography, favorite actress phot has the higher rate, which is 50%. In case of calendar size, size 1/4 is at the rate of 38%, holding in T-3, 17%. Most of calendars are made of 1/4 size, art paper, favorite actress, figure of Sans-serif. In spite of speciality of calendar design which has to be novelty for customers, calendar is being made uniformly, not for customers' preference, convenience of use and creative express which relects sense of times. In the view of enterprise which regard making calendar as one of advertising media. Such results express deficience of development of design which aims at the most effectiveness. This study expresses that calendar, as a daily necessity which consists always in life space of users, is destitute of design plan by investigation of user's preferences and data of user's residence circumstance. Calendar should be considered not in the view of annual event, making yearly, but in the view of message as a communication medium to customers by planning production. Therefore forthcoming calendar should be 1. considerate of actual convernience of a user from the view of practical use. 2. investigated and studied the manufacturing process which is suitable for the expression intention, the choice of methods and the form of calendar, namely the object, the place where it will be used, and the class of consumers by the development of three-demensional calendar and the variety of pressing. 3. consumer's taste by the utilization of investigated information and the manufacturing an original calendar by the planning with expression object considered as a matter of importance and these should suffice to consumers' request. The investigation of consumers should be reinforced for the settlement of these problems. 4. Theme and expression techniques varied in order that the character of enterprise, each calendar can appeal to consumers. Therefore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by the investigation of consumers cannot be applied to the enterprise and the lack of special knowledge and creative attitude have made effects on these problems. Calendar is exposed to customers consistantly, thus calendar's placn should be made by theme which can converse with customers by new feelings, methods of creative express. In this point of view, it will be necessary for forthcoming calendar, to perceive importance of effectiveness more than to create what does not just meet to effectiveness.;카렌다는 우리가 쉽게 넘겨 버리는 광고매체중의 하나이며, 또한 카렌다는 실내 생활공간에 존재하고, 소비자와의 관계는 1주, 1개월, 1년등의 생활주기에 따라 연결되어 있고, 또 광고에산으로 보아서도 단일 디자인 대상으로도 가장 큰 광고 매체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카렌다는 여러 가지 광고 매체중에서 구체적인 정보의 전달이 아닌 기업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비교적 비상업성의 광고 매체이기도 하지만, 디자이너에게는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이며, 효과적인 디자인 항목중의 하나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작되어지고 있는 카렌다의 디자인 현황을 설문조사에 의해, 분석하여 일반사용자 입장에서의 견해와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카렌다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저 함이 연구목적이다. 카렌다의 기능을 크게 나누면, 장식적 기능, 실용적 기능, 겸용적 기능이 있다. 따라서 여러 각도에서 카렌다의 성격을 파악하여 개성있는 카렌다가 기획 제작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정보가 있어야겠고, 이런 종류의 카렌다는 특히, 카렌다로서의 기능을 다해야 하고, 이를 위해 레이.아웃의 방법이나 디자인의 시각적인 효과, 다양한 표현기법들이 카렌다의 성격과 특색을 결정짓게 된다. 또 카렌다는 기업 이미지 전달을 위한 Nonverbal Communication으로서의 개성과 기업에 따른 이미지 차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업 이미지 차별화를 위해 카렌다의 디자인 요소, 즉, 기능별, 소재별, 숫자모양별, 매수별, 판식별, 용지별, 규격별, 인쇄도수별로 나누어 현황을 분석하고, 각 요소에 따른 사용자와 제작자 사이의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작되어지고 있는 카렌다의 내용을 보면, 사진기법이 54%, 미술품 34%, 디자인 기법이 7%, 숫자 카렌다가 5%로 나타나며 사진에 의한 표현과 감상 대상의 제공이라는 의미의 카렌다로 미술품을 내용으로한 카렌다가 88%를 이루고 있다. 사진의 내용에서는 인물사진이 50%, 풍경사진이 39%로 단조로운 구성을 보이고, 인물사진의 경우도 인기인 여배우의 경우가 50%d를 차지하여, 매우 압도적인 비율을 갖는다. 카렌다 디자인의 특성이 소비자를 위한 증정품으로 제작되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카렌다의 크기에서도 4절 38%, T-3절 17%의 순으로 나타나, 4절 아트 지 인기 여배우에 샨·세리프의 숫자라는 공식이 카렌다의 주를 이루고 있어, 거의 이런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기호나 사용의 편의성이라는 면에서나 시대감각을 반영한 창의성 표현보다는 일률적인 제작방법으로 되어 왔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입장에서 볼때 카렌다 제작을 하나의 광고 매체로 보아, 최상의 효과를 위한 디자인 개발이라는 점이 부족함을 말해주며, 또한 카렌다 디자인 이 소비자의 생활공간에 항상 같이 존재하는 샐활필수품으로 소비자에 대한 기호조사나 소비자 주거환경에 대한 자료에 의한 디자인 계획이 결여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카렌다를 1년에 한번씩 제작하는 연례행사라는 입장에서 보다 철저한 기획제작과 소비자에 대한 전달 수단으로서의 메시지 역할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즉 앞으로의 카렌다는 첫째. 실용적인 면이 중요시 되어 실제로 소비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배려되어야 하겠고, 둘째. 표현 의도에 맞는 제작 과정이나 방법의 선택과 카렌다의 형식, 즉, 입체카렌다의 개발이나 판식의 다양화로 사용 목적, 사용되어질 장소, 소비계층에 따라 조사 연구 되어야 하고, 셋째, 조사 정보의 활용에 의한 소비자의 기호나 표현 목적에 따른 기획에 의한 창작카렌다의 제작이 증대되어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야하며, 이런 문제를 위해 소비자에 대한 조사가 강화되어야 하겠다. 넷째, 기업의 성격, 즉 개개의 카렌다가 성격을 가지고 호소할 수 있도록 소재나 표현 기법의 다양화 되어야 하겠다. 따라서 소비자에 대한 조사를 통한 자료가 기업에 반영되지 못한 점과 제작하는 디자이너 전문적 지식과 창의적 태도의 결여가 이런문제를 빚고 있다. 따라서, 카렌다는 장기간 소비자에게 지속적으로 노출되어지므로, 카렌다 전체의 기획은 항상 새로운 감각으로 소비자와 대화할 수 있는 소재와 창의적 표현기법을 필요로 제작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창조성이 꼭 효과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창조적인 것보다 효과적인 것의 중요성 인식도 앞으로의 카렌다에서는 필요한 조건이 될 것으로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