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순이-
dc.creator장순이-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8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3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14-
dc.description.abstract미술교육은 색채를 떠나서는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러한 색채교육은 색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순수하고 풍부한 감상경험을 통해서 체득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중등교육의 특징의 한 면인 일률적인 “지식주입식 교육”으로 색채교육도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미술교육은 통해서 상호 불균형한 경험은 보완될 수 있으며 보다 적극적인 색채경험으로 창의적인 표현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견지에서 색의 심리적인 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색 연상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생들이 색에 대해서 어떠한 연상을 이루는가를 조사 분석하고 보다 효과적인 미술지도법을 개발하는 계기를 삼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15가지 색 샘플을 대도시, 중? 소도시, 농촌엣 각각 표집한 2800명의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자유롭게 직접 기술하는 설문지 조사방법을 채택하였다. 우리들이 사물을 지각하는 것은 과거에 그 사물에 대한 인식을 되살리는 것으로 어떠한 날극을 받으면 기억을 되살리어 연상작용을 일으켜 행동하게 되며 학습도 이러한 연상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색에 대한 연상은 그 색에 대한 경험의 발전으로 볼 수 있으며 색에 대한 모든 감상은 순수한 대비감상으로 색의 선택이나 기호등도 색연상에 연유되며 색에 관계되는 여러 가지 문제는 연상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이다. 미술교육의 두가지 문제인 형, 색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에 따른 지식지도와 창조적 소질의 육성을 위한 감상지도를 어떻게 관련시켜 균형을 취하도록 하여야 하는가는 실제로 중시되며 미술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색채교육 면에서도 풍부한 색채감상을 통하여 개성의 확립과 바람직한 조형표현이 되도록 유효적절하게 발전되어 나가야 한다. 특히 이론 방면에만 치우치던 미술과로서의 특성이 없어지므로 실제 생활 속에서 풍부한 색채감각을 몸에 배게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폭 넓은 색채교육이 실시 되어야 한다. 색채가 사람의 심리면에 어떠한 영향을 주어 어떠한 감정을 일으키는가가 중시되며, 색 연상은 중요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학생들의 색 연상에 대한 결과는 학생들 자신의 경험에 속하므로 그 특성을 추출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그들의 세계를 더욱 이해하여 밝고 건전한 색 연상을 창작표현과 연결시켜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중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색 연상반응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간략하게 대별하여 집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구체적 연상 반응률이 추상적 연상 반응률 보다 높았다. ② 대도시 중학생의 반응률은 대체적으로 제일 낮았고 사회적, 도시환경적, 이론적 연상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았다. ③ 중? 소도시 중학생은 옷, 꽃의 연상이 많았고 대도시, 농촌의 절충적인 연상반응을 나타내었다. ④ 농촌 중학생은 계절적, 자연적 환경에 기인된 연상이 많았다. ⑤ 중학교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반응률이 구체적, 추상적 연상에서 대부분 높게 나타났다. ⑥ 중학생의 구체적 연상은 과일, 꽃, 옷, 학용품, 생활용품이 대부분 많이 나타났다. ⑦ 중학생의 추상적 연상은 감정을 표현하는 용어보다 수반감각에 따른 연상이 많이 나타났다. ⑧ 전반적으로 남? 여학생이 공감하는 연상어는 드물었다. 이상의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른다. 첫째, 중학생의 연상범위는 물론 대상의 기억색에 머물러 연상범위가 좁았고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의 미묘한 연상이 거의 없었다. 둘째, 학생들의 연상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았다는 것은 단순한 생활경험과 심상의 결과이므로 풍부한 색 경험을 통하여 학생들의 체험의 장을 넓혀 주어 미묘한 감상을 이루도록 하낟. 이러한 것은 색채교육이 중시되고 있는 미술교육에서는 풍부한 시청각자료를 통하여 감상체험의 폭을 넓혀 바람직한 창조표현을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건강한 생활과 연결되게 한다. 셋째, 미술교육은 개성의 표현을 중시하나 교육의 입장에서 그 질이 균질적이어야 하므로 시청각 교육을 통해서 지역의 차이나 성별의 차이에서 오는 경험적 불균형을 극복하여 높은 수준에서 교육의 평준화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A thesis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teaching with Web Based simulation courseware with that of conventional lecture on student achievement in lessons for a subunit ‘the way to describe an objects’ of unit ‘Ⅳ. The basis of drawing’ in the technology and domestic economics. In this thesis, simulation courseware which can be used for individual study and virtual practice was developed with FLASH and Third-D MAX, NAMO and the courseware was applied to school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ware as follows. Two first grade classes from ""I"" middle school in Gougju city, were chosen as the target for research, and homogeneity of the target was proved with pretests. Method of research is as follows: Procedure of learning 'projection methods' was divided into 3 steps : learning theory, process of practice, and results of practice. Web Based simulation courseware was used for on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ventional lecture style was employed for another control group. They were tested by question sheets and the answer data were analysed with t-test using statistics software called SPSS ver. 10.0 for Windows according to learning process.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achievement of learning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projection methods"". Secondly,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achievement of learning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learning ""projection view drafting"". Thirdly, the achievement of the group who took an actual practice lesson after doing virtual practice with the Web Based simulation courseware was found to be much better than that of the group who practiced with conventional methods in ""the result of practicing projection view draft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courseware has no influence on the theoretical part of teaching ""the way to describe an objects"",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However, after performing hands on practice and training with the courseware in the classroom, students acquired better skills and a higher comprehension level of the lesson objectives while working in the lab.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various student-oriented Web Based simulation courseware in developing coruseware for learning technology and domestic economics, and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to develop method of effectively applying such courseware to lessons should be follow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 및 범위 3 II. 색 연상에 대한 고찰 7 A. 연상이란 무엇인가? 7 B. 문헌에 나타난 색 연상 9 C. 색 연상의 변화요인 11 D. 미술교육과 색 연상 15 III. 색 연상에 대한 조사분석 20 A. 지역별 조사 20 1. 구체적 연상 20 2. 추상적 연상 34 B. 성별 조사 57 1. 구체적 연상 57 2. 추상적 연상 81 C. 집약 119 IV. 결론 124 참고문헌 127 부록 130 Abstract 1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817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색 연상에 대한 조사보고-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7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