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순-
dc.creator최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7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5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3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581-
dc.description.abstractKasa belongs to the Chungka as welL as the Kakok and shijo. It describes the Cbangsi (Long Poem) whose body is composed like Kasa and has such characteristic as having the respective melody in accordance with the Sasul. This dissertation used the Kasabo of Lee Joo Whan and the recorded tape of Kukak library of KBS as a research materials and again carried these musik book of 12 Kasa which was transferred to the music paper on the postscript. First of all, in infroduction, it explained the reason of selecting this title as a theme. In the main subject, it touched the theme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this dissertation described by quoting the Kajib which explains the origin of 12 Kasa. Second, as a formation of Kasa, it described the formation of composition in the musical aspect even though it was very difficult to find the common feature because of having different formation and different contents each other. Third, we can understand the total musical range of melody in the 12 Kasa is from the Hwanggyesa which has the narrowest musical range of total 1 octave and m3 to the sangsabyeolgok which hae the broadest range of total 2 octave and M2. In the usage of modes, Choonmyeongok, Backgoosa, Hwanggyesa, Gilgoonak, Jookjisa belong to the Sol mode, Sangsabyeolgok, Eoboosa, Sooyangsanka, Cheosaka, Yangangka to the Re mode, Maehwataryong to the La mode and Gueonjooka to the Do mode. Fourth, as the contents of rhythm, this dissertation touched the Jangdanbub and Baejasbub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 of rhythm factor by illustrating pulse unit and musical piece. In the conclusion, this explained synthetically the results studied the theme in the four aspects which was mentioned above and compared the musical characteristic of 12 Kasa with Kagok and Shijo which belong to the Chungka but the genre differ.;歌詞는 歌曲이나 時調와 함께 正歌에 포함되며, 歌詞體의 長詩를 노래하는 것으로, 그 사설에 따라 거기에 맞는 音調가 저마다 따로 있는 것이 歌詞의 特色이다. 本 論文에서는 李珠煥의 「歌詞譜」와 KBS國樂 라이브러리의 녹음 테이프를 연구자료로 사용하고 이것을 爲主로 오선보에 옮긴 十二歌詞의 樂譜를 附錄에 수록하였다. 먼저 緖論에서는 이 題目을 主題로써 선택한 이유를 밝혔다. 本論에서는 다음의 4가지 面에서 主題를 다뤘다. 첫째, 歌詞의 歷史的 背景으로써 十二歌詞의 淵源에 對하여 傳來하는 歌集에 依하여 서술했다. 둘째, 歌詞의 形式으로써, 文學的인 面에서는 각기 다른 形式과 內容으로 되어있어 共通點을 찾기 힘들지만, 音樂的인 面에서 나타난 共通된 構成形式을 밝혔다 셋째, 十二歌詞에 나타나는 旋律의 전체 音域은 남~潢으로 총 1 octave와 단3도의 가장좁은 音域을 갖는 黃鷄詞에서. 仲~淋으로 총 2 octave와 장2도의 가장 넓은 音域을 갖는 相思別曲까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여기에 사용된 旋法을 보면 <徵調>곡에는 春眼曲 白鷗詞 黃鷄詞 길軍樂 竹枝詞등이 있고, <商調>곡에는 相思別曲 漁父詞 首陽山歌 處士歌 회陽歌등이 있으며 <羽조>곡에는 梅花打令이, <宮調>곡에는 勸酒歌 있다. 넷째, 리듬에 대한 내용으로써, 우선 長短法과 排字法을 다루고 十二歌詞의 리듬 要素의 特色을 鼓動拍 단위로 樂曲別로 表를 例示하며 比較했다. 結論에서는 위에서 言及한 4가지 面의 主題를 考察한 結果에 대하여 綜合的으로 밝히고, 十二歌詞의 音樂的 特性을 正歌의 다른 종류인 歌曲과 時調와 비교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가사의 역사적 배경 3 III. 가사의 형식 6 A. 문학에 있어서의 가사 6 B. 음악에 있어서의 가사의 형식 7 IV. 선법 16 A. 구성음과 음역 16 B. 선법 17 V. 리듬 21 A. 장단법과 배자법 21 B. 리듬 요소의 특색 25 VI. 결론 36 참고문헌 38 ABSTRACT 39 부록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965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행 십이가조에 대한 음악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악과-
dc.date.awarded197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