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현대조각의 초영역성에 관한 연구

Title
현대조각의 초영역성에 관한 연구
Authors
어수자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대학원 순수미술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the 20th-century began, there was varieties of changes in the sculpture. And before and after sixty, there produced the works which had transrangial elements. The purpoae of this study is, though the consideration about some types of these works in it's outer aspect and searching for the transrangiaility of these works in its inner aspect, to analyse and examine the new tendencr and the direction of modern sculpture. Concretely, I tried to answer to such questions as follow in this study, Frem what the conception of transrangiatity came out? what elements is transrangial in actual works. what is the immanent factors of the conception of transrangiality? And considering about questions, what suggestion the conception of transrangiality might give?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I presented the traditional conception of sculpture, as a contrasting example to the transrangial element. Second, I examined the historical and artistic background of transragial trend. Third, I divided works which has transrangial elements 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ir media. Forth, through the consideration about such works, I argued the immanent character of these works. From this study I could have derive some conclusions as follow. Transrangiality of modern sculpture is based on the two factors, on the one hand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echnique and on the other h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of artist. And I found that in the genre of art the boundaries between each ranges gradually had cone to be collapsed. And the transrangiality of sculpture has its significance in this point. And considering with line of argument, there to be araised the possibility that the division of each ranges in the genre of art can be unnecessary.;20C에 들어서서 彫刻의 變化와 多樣性은 놀라우리만큼 수 많은 類型과 槪念을 낳았다. 그 가운데 1960年代 전후의 조각에는 超領域的 요소를 갖는 작품들이 제작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작품들의 몇가지 類型에 대한 考察과 그 內面的 측면에서 超領域性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현대조각의 새로운 흐름과 방향을 분석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類型의 작품들에 대하여 과연 그것은 어디에서 발단된 것이며, 어떠한 요소들이 超領域的인 것인가 또한 그 超領域的인 면모의 內面에 자리한 要因들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 모든 것을 미루어 볼 때에 超領域性은 어떠한 問題點을 제기하여 주는 것인가에 대하여 규명해 보았다. 본 연구의 구성내용은 첫째, 傳統的 彫刻槪念에 대한 考察로써 超領域的 요소에 좋은 比較의 例를 제시해 보았고, 둘째, 그 발단이 되는 시대적, 예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셋째, 超領域的 요소를 지닌 조각작품들을 매체별로 세가지 類型으로 구분하였고, 넷째 그러한 작품들에 대한 考察을 통해 그 內面에 자리한 특징과 성격을 論하고 그들 작품이 등장하게 된 주된 要因을 정립시켜 보았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작품비교를 통해 전체의 내용을 이끌어 나갔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현재조각의 超領域性은 매체와 기법의 발달과 작가의 表現의 自律性이라는 두 要因을 기초로 하여 예술이라는 장르안에서 각 분야의 상호간에 별을 점차 허물어 나가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여기에서 현대조각의 超領域性이 그 의의를 지닌다고 보았다. 또한 그러한 結論으로 미루어 볼 때 藝術이라는 장르안에서 각 분야의 구분이 그 필요성을 점차 상실해 갈 수도 있는 가능성이 제시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