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육홍명-
dc.creator육홍명-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5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6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3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634-
dc.description.abstract주전자는 액체를 보관하거나 따를때 使用하는 用器로서 손잡이와 注口가 달렸고 뚜껑이 있는 것으로 實用的인 目的에 의해서 製作되었다. 특히 高麗時代의 주전자는 그 時代의 陶磁文化를 상징하는 靑磁中는에서 상당히 많았음을 볼 수 있다. 靑磁주전자는 高麗人의 生活과 밀착된 日常用器로서 그 時代의 文化와 藝術을 대변하는 造形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같이 靑磁주전자의 造形美를 통해서 當時의 生活狀態를 엿 볼 수 있으며 表現된 紋樣을 통해서 그들의 內面的 情神世界 까지도 觀照해 볼 수 있는 것이다. 本槁에서는 蒐集된 자료를 中心으로 靑磁주전자를 形態와 紋樣別涯로 分類하였고 他 器物과 달리 구조적인 特性을 지닌 주전자의 造形性에 관하여 考索하였다. 分類된 靑磁주전자의 形熊는 各積의 象徵形에 注口와 손잡이를 부착시킨 賞刑주전자가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動物象形 보다는 표주박이나 참외등의 植物象形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또 참외形의 變形으로 볼 수 있는 타원形과 酒甁形, 壹形등도 많이 있다. 손잡이는 胴體의 목이나 어깨에서 부터 배부분에 수직으로 부착되었고,注口는 胴體의 形에 따라 길이와 形態가 좌우되고 있으나 대부분 길게 발달한 완만한 曲線이 어깨나 배부분에 부착되고 있다. 靑磁주전자의 紋樣은 佛敎를 象徵하는 蓮花紋과 害貴를 象徵하는 吉祥的 紋樣인 牧丹紋이 가장 많고 그외에도 高麗時代 靑磁紋樣의 대표적인 雲鶴紋, 蒲柳水禽紋滅, 菊花紋을 비롯하여 葡萄紋商, 草花紋등 매우 다채롭게 表現하고 있다. 주전자의 紋樣은 胴體에 施紋된 紋樣뿐만 아니라 注口와 손잡이 뚜껑등의 紋樣이 연결되듯이 施紋하는 경우와, 胴體와 다른 紋樣이 施紋 되어 變化를 주면서 胴體의 紋樣과 서로 調和를 이루는 경우도 있다. 이와같이 高麗時代에 製作된 靑磁주전자는 가능성을 갖춘 우수한 造形物로서 注口와 손잡이의 形態나 부착위치에 따라 實用性이 좌우 되는 점을 감안하여 만든 用器로 高麗陶工의 숙련된 기술을 볼 수 있다. 高麗 全般을 통해서 多數 生産되고 愛用되었던 주전자가 實用性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時代가 바뀜에 따라 점차 쇠퇴하였다.;Kettles made for the practical purpose of keeping or pouring liquids havs the handle, lid and spout. It can be seen that kettles of the Koryo period predominated among celadon which symbolized ceramic culture of that period. Celadon kettles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of the people of the Koryo period may be regarded as the works of the formative arts which speak for culture and art of the peried. Therefore it is not difficult to get a glimpse of their mode of living through the formative beauty of celadon kettles and perceive even their inner spiritual world through patterns expressed on celadon kettles. It is intended In the prssent paper to classify celadon kettles by shape and pattern centering around data collected and inquire into their formative nature which differs from other receptacles in terms of structural characteristies. In case of the shape of celadon kettles classified, various symbolic forms having the handle and spout are predominant, espacially such plant pictographs as dippers or melons are overwhelmingly greater than animal pictographs in quantity. Oval, wine bottle and pot shapes are also dominant. The handle of kettles is, in most cases, attached vsrtically from the neck or the shoulder of the body to the belly and the spout, though varied in length and shape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body, is attached mostly to the shoulder or the belly with lengthily developed slow curves. With regard to the patterns of celadon kettles, lotus flower symbolizing Buddhim and peony or a lucky omen symboljzing prosperity ars predominant. Thers are also such typical celadon patterns of the Koryo period as clouds and crane, riverbank willows and Waterfowls, Chrysanthemums and other various patterns depicting grapes, flowering plants etc. It is noticeable that even the handle, spout and lid of kettlss are patterned in addition to those of the body. In some cases, the patterns of the handle, spout and lid identical to those of the body seem to be interlinked. In other cases, however, their patter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body are in harmony with the latter. Thus, celadon kettles made during the Koryo period are considered to be very functional, excellent formative products which manifest the nearly mystic technique developed by our porcelain makers of the Koryo period. Despite the fact, however, that celadon kettles produced in largs quantities and patronized during the Koryo period had practical use, they have disappeared gradually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II. 청자주전자의 시대적 배경 4 1. 주전자의 변천 4 A. 생성기 5 B. 발전기 5 C. 세동기 7 D. 쇠퇴기 7 III. 주전자의 제작과정 9 1. 주구 9 2. 손잡이 10 IV. 고려시대 청자주전자의 형태분류 13 1. 상형 주전자 14 A. 식물형 주전자 15 B. 동물형 주전자 20 2. 주병형 주전자 23 3. 곤형 주전자 23 4. 타원형 주전자 24 V. 고려시대 청자주전자의 문양분류 28 1. 주전자의 동체문양 29 A. 주문양 29 가. 연화문 29 나. 모란문 35 다. 국화문 40 라. 운학문 44 마. 포유수금문 48 바. 포도문 51 사. 초화문 54 아. 기타문 56 B. 주전자의 부문양 60 가. 연판문 60 나. 뇌문 62 다. 여의두문 62 라. 기타문 63 2. 주전자 구조물의 문양 68 A. 주구 문양 68 B. 손잡이 문양 68 C. 뚜껑 문양 69 VI/(V). 결론 73 참고문헌 91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704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려시대 청자주전자에 나타난 조형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8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