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한국민속극에 나타난 무용과 연극 공존

Title
한국민속극에 나타난 무용과 연극 공존
Authors
김은숙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ance, theater, and music (including music drama) are called the theatrical arts or performing arts, for they are generally perfomed on the stage. Although dance, theater, and music are seperate forms of art, they are very closely related. That's because they are all the expressive arts performed by human action as well as having the same roots in history. The folk art of Korea has developed as an expression of Korean life style. The Yangju-Sandae mask dance, the Bongsan mask dance, and the Korean puppet show have been chosen as objects of my thesis. My thesis has two purposes: 1) One is to point out the fact that the main characteristic of Korean folk art, is ""the coexistence of dance and theater"". 2) The other is to illustrate the ideal of total theater in Korean folk art. Firstly in order to study the aspects of dance, I examined every act of the Yangju-Sandae mask dance, the Bongsan mask dance, and the Kor an puppet show. Secondly in order to study the aspects of theater, I summerized the stories of mask dances and the Korean puppet, show. And I looked into the dramatic conflict in the plot. Dramatic conflict in the plot is sai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ater, I found the fact that conflicts between two persons are dominant. Third, I examined the stages of Korean mask dances and puppet shows and I found out that they are entirely different from those of west.;무용, 연극, 음악(음악극 포함) 등은 주로 무대에서 공연되는 예술이기 때문에 무대예술(theatrical art, Buhnenkunst) 또는 공연예술(Performing art) 이라고 불리운다. 무용이나 연극, 음악극 등은 별개의 예술 장르이지만, 다른 어떤 예술보다도 서로 가깝고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그것은 이들 예술쟝르의 시발점이 동일하다는 사실에서 뿐 아니라, 동작을 통한 인간표현의 예술이라는 점에서 더욱 관련이 깊은 것 같다. 한국의 민속극은 크게 가면무극(탈춤), 인형극, 판소리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민속극은 민중생활의 표현으로서 발전 계승 되어왔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민속극 중 양주산대놀이, 봉산탈춤, 꼭두각시놀음을 대상으로 하여, “무용과 연극의 공존”을 한국 전통 민속극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지적하고 이를 예증하고자 하였다. 무용의 측면을 살피기 위해서 양주산대놀이, 봉산탈춤, 꼭두각시놀음의 춤사위를 고찰하였고, 연극의 측면을 살피기 위해서 민속극의 줄거리 및 극적 갈등을 고찰하였다. 극적갈등은 연극의 가장 중요한 특성 가운데 하나인데, 한국 민속극에 나타난 갈등구조는 대체로 두 인물 사이의 갈등임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민속극의 놀이판을 소개하였는데, 한국 민속극의 놀이판은 서양식 액자무대와는 전혀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고 우리 민속극의 특징으로서 이 놀이판의 특수성을 얘기했다. 결국 우리 민속극의 가장 큰 특징으로서 무용과 연극의 공존을 예증하고 이른바 전체극(Total Theatre)의 이상을 우리의 민속적 공연예술 속에 발견하려 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