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소영-
dc.creator박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3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3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391-
dc.description.abstract현대 패러다임의 변환과정에 의한 새로운 세계관은 살아있는 유기체를 생동하는 전체로서 보는 것으로, 전체 및 부분이 상호작용하고, 협동하며, 스스로의 조직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라는 전일적 세계관으로, 이는 인간과 환경과의 연구에 지대한 영향과 그 연구의 중용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현대에 있어서 도시의 궁극적 목적은 도시 내에 기거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창조적 환경을 조성해주는데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도시환경은 급속한 산업사회지향의 발전형태에 따른 도시화로 인해 인구가 증가되고 과밀화되면서 자연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교통의 혼란과 대기의 오염 그리고 토지의 부족에서 오는 녹지의 부족 등으로 미적, 환경적 측면에서 볼 때 점차 황폐화 되고 있다.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정상적인 인간생활과 인격형성에 필요한 정서적 심리적 여유를 줄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도시환경 속에서의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고려는 미약하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이용자 즉, 인간중심적인 측면에서 인간본질을 규명하여 도시환경의 질적 수준을 보다 합리적으로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현대의 도시환경이 고밀도의 집합적인 형태를 띠게됨에 따라 도시공간내의 도시공원의 연구는 사용자나 이용자 측면에서의 향상된 시각적 환경의 질적 수준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이는 행태학적인 접근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인간의 행태연구에 관한 환경심리 행태연구에로의 가능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인공물로 구성된 환경은 잠재적 환경이며 실제의 환경 혹은 전체환경은 이런 물리적 패턴에 이것을 이용하는 인간의 행태가 첨가되어져야 한다고 보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에 의해 선호될 가능성이 있는 환경적 질을 파악하여 선호도가 높으면서도 그 물리적 요소와 인간행태 즉, 반응의 패턴이 적정한 수준의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적 행태장을 조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규정하고 방법을 기술하였다. 2. 도시환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서 환경심리학에서의 행태학적 접근을 강조하고, 도시공원에 대한 개념과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3. 인간행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연구의 객관적인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4. 도시공원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람들의 행태와 그와 관련된 행태장치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디자인 문제해결을 위한 근거로 하였다. 5. 앞서 살펴본 이론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그에 적합한 대상지를 선정, 분석하여 행태적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6. 도시공원의 올바른 지원을 위한 물리적 행태장치를 위해서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언어와 도시공원에서 인간행태의 지원장치에 대한 원리를 시각화하여 대상공간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7. 공간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행태장치물을 지원하는 것으로, 합리적인 디자인 과정에 따라 도시공원 환경디자인을 제안하였다. 8. 연구결과에 따른 종합 및 평가를 하고 연구의 한계점, 기대효과 등을 언급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인간 행태 중심적인 측면에서 물리적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도시 생활인에게 정서적이 만족을 주는 도시공원은 행태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인간과 환경을 상호보완적이고 유기적으로 연결 시켜서 도시 환경의 질적 수준을 보다 합리적으로 향상시켜야 함을 인식하고 그 방법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The new view by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the modern paradigm holds that a living organism is an active holistic-one : the whole and parts co-act and co-operate, each one having their own structures preserved and to develop. As the new world-view has given a great influence on the study of human and environment, its study is emphasized as to be important. The ultimate purpose of city in modern times is to build creative environment for residents in the city. However, the urbanization following the rapid industrial society oriented development increased population, made population overly dense and broke an natural eco-system. Also, cities in aesthetic and environmental aspects are being devastated because of traffic chaos, air pollution and the lack of a green zone. Human being real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space that can give emotional and mental room required for biologically normal human life and character building, but the consideration of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urban environment is not enough. The phenomena like these increase the necessity of more reasonably enhancing quality of city environment by identifying human essence in human based aspect. As modern environment ha the collective form of high density, study on city park in the city is important in that it allows us to expect the quality level of improved visual environment in the aspect of user, and it should be based on behavioral approach. Accordingly, we can't help thinking of the possibility on environmental psychology behavior study on human behavior study. Therefore, I consider that the environment made up of artificial objects is potential one, and real or the whole environment should have physical pattern added by human behavior, and intend to construct the environmental behavioral settings that can maintain prop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attern of response, that is physical elements and human behavior by grasping quality of environment possible to be preferred by humans. The way of research is conducted with as below. 1. The research object and methodology are stated. 2. Emphasizes behavioral approach in environmental psychology as a new point of view of city environment, and examines the concept and problem of city park. 3. Suggests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f human behavior as the objectiv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looks at the concept of activating social interactions. 4. Takes it as the basis of solving design problem by suggesting human behavior that can occur in the city park and its related behavioral setting principles. 5. Based on the theoretical materials mentioned above, prepares basic material for solving behavioral problem by selecting and analyzing the appropriate filed of the research. 6. Applies the visualized conceptual language on social interaction and supporting device for human behavior in city park to build physical behavior devices for desirable support for city to the subject field. 7. Suggests city park environment design following the reasonable process of design as a way of supporting behavioral device for activating interaction among space users. 8. A summary of facts found, limitation and expected effort of the research are provided. Though the study process as above, this study stresse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s on the basis of human behavior, and it has a meaning in suggesting the method of improving quality level of city environment by organically linking human and environment thorough behavioral approa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2. 도시환경으로서 도시공원의 고찰 4 2.1 도시환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 4 2.2 도시공원에 대한 고찰 6 2.3 도시공원의 문제점 9 3. 인간의 행태적 지원성을 위한 관련이론 11 3.1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서 행태이론 11 3.1.1 바커(Barker)의 행태장치(Behavior Setting)이론 13 3.1.2 레빈(Lewin)의 장이론 16 3.1.3 깁슨의 지원성(Affordance)이론 17 3.2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행태장치 21 3.2.1 개인공간 21 3.2.2 영역성 26 3.2.3 밀집화 29 3.2.4 프라이버시 30 4. 도시공원에서의 인간행태와 행태장치 33 4.1 공원에서의 기본행위 33 4.2 이동경로에 따른 행태 44 4.3 공원에서의 행태장치요소 47 5. 행태장치의 강화를 통한 도시공원 디자인 모형사례 54 5.1 디자인 개요 및 진행과정 54 5.1.1 디자인 개요 54 5.1.2 디자인 과정 55 5.2 디자인 계획(Programming)단계 56 5.2.1 대상지의 선정 56 5.2.2 대상지의 현황분석 57 5.3 디자인(Designing)단계 68 5.3.1 디자인 적용개념과 개념의 시각화 69 5.3.2 공간구성계획 73 5.3.3 평면 도출 단계 75 5.4 최종안의 제시 88 5.5 종합 및 평가 106 6. 결론/ 의의 109 참고문헌 112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164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인간행태의 지원성 강화를 위한 도시공원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i, 11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