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연수-
dc.creator이연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3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3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385-
dc.description.abstract디자인은 예술과 과학이 교차하는 학문이다. 디자인의 예술적 측면에서는 제품 형태에 대한 디자이너의 느낌, 감성이 중요한데 반해 디자인의 과학적 측면에서는 제품 형태를 구성하는 조형의 기본 요소, 즉 형태결정 인가제 대한 규명이 중요하다. 예술적 측면만이 강조된 디자인의 디자이너의 감성적 파원에 머무르게 되어 기업이나 소비자에 대한 현실적인 설득력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에 대한 과학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것이다. 제품의 형태 결정 인자를 규명하는 것의 핵심은 형태 이미지 언어를 분석하여 규격화 하는 것에 있다. 그러나 형태이미지 언어는 일의적으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고 외부로 표출되는 제품의 몇 가지 특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만 파악될 수 있는 것임에도 그러한 특성이 형태 이미지 언어에 대하여 이것이다 명확히 정의할 수 없는 상황에서 형태결정 인자를 규명하는 작업을 한다는 것은 논리적이지 못하다. 한편 디자인의 과학적 측면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디자이너의 감성도 상업적 수단으로만 적용되어 한낮 형태 결정 인자로만 분해되어 파악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디자인의 예술적 측면은 몰각되고 디자인은 단지 목적을 위한 도구로 전락하게 된다. 본 연구는 디자인의 과학적 측면을 증시하되 과학적 분석 방법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품의 형태에서 느껴지는 형태 이미지 언어에 관하여 다수의 디자이너를 상대로 한 설문 조사를 토대로 실증적 분석을 함으로써, 형태 이미지 언어의 구체화 가능성을 검토하여 보고 좀 더 효율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와 평가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실증적 분석 방법을 바탕으로 각 사례별로 제품에 대한 형태 이미지 언어데 관한 자료가 보다 더 축적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면, 이는 디자인에 대한 과학적 접근뿐만 아니라 향후 효율적인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Design is a field of study that encompasses both art and science. From an artistic perspective, it is important for the designer to be sensitive to the form of a product. Whereas from a scientific perspective, it is important for the designer to define the basic elements of the form that comprises the shape of a product, which are known as "form determinant factors". Design that placed too much emphasis on artistic aspects limits itself ti the dimension of the senses, which may result in the failure of a design to persuade a corporate client or consumer of the usefulness of a design in the actual context in which such design is put to use. The most important aspect in determining the form determinant factor is to analyzed and standardize the language employed in projection the image of a particular form. However, image language does not have only one definition. Whereas the few, outwardly projected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only enable the viewer to partially understand the image language expressed by such product, it is easy to hastily conclude that those few characteristics comprise the entire image language. Needless to say, where the image language cannot be clearly defined, it would be illogical to attempt to define the form determinant factor. Meanwhile,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scientific aspects of design may result in the sensitivity of a designer being put to use for only commercial purposes, so that form determinant factors may only be perceived as disassembled parts as opposed to a collective whole. in such case, artistic aspects of design deteriorates into a tool with only a commercial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cretely defining the for, image language and, in this connection, to propose more efficient design processes and evaluation methods. This was accomplished by performing an analysis based on surveys conducted on a number of designers concerning the form image language perceived from the form of a product. Such surveys were designed to place an emphasis on the scientific aspects of design, but also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 scientific analysis methodology. The author believes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approaching the field of design from a scientific perspective and in conducting more efficient design works if the analytical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the basis for accumulating and catalog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form image language with respect to produ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2장 제품디자인 형태 결정 요소연구에 대한 필요성 4 2.1 제품개발 시 기업의 선행요소 4 2.1.1 기업의 정책 및 전략 4 2.1.2 기업의 제품 정책 6 2.2 제품개발 시 외부요소 11 2.2.1 제품 마케팅 요소 11 2.2.2 제품설계 요소 14 2.3 제품개발 시 디자인의 유동요소 16 2.3.1 디자이너의 유형요소 16 2.3.2 제품디자인 형태 이미지 요소 18 2.3.3 제품개발 고유 특성 요소 21 3장 제품 디자인 형태속성 분석 27 3.1 형태의 구성요소 27 3.1.1 shape 28 3.1.2 color 34 3.1.3 material 37 3.2 제품디자인의 이미지 언어와 형태의 유사성 41 3.2.1 사례연구 41 4장 제품디자인 형태결정 요소 사례연구 및 평가 44 4.1 제품이미지 타겟팅 프로세스 44 4.1.1 제품이미지 타겟팅 프로세스의 필요성 44 4.1.2 제품이미지 타겟팅 프로세스 구축 44 4.1.3 제품이미지 타겟팅 프로세스 사례연구 45 4.2 이미지 사례연구 47 4.2.1 연구의 개요 47 4.2.2 연구의 방법과 내용 48 4.3 제품 디자인 형태결정 요소의 적용 분석 50 4.3.1 '단단한' 제품의 점수/순위/추리기 과정 50 4.3.2 '단단한' 제품의 형태구성요소 분석 53 4.3.3 '귀여운' 제품의 점수/순위/추리기 과정 59 4.3.4 '귀여운' 제품의 형태구성요소 분석 62 4.4 공통적인 속성에 대한 다른 제품 검증 68 4.4.1 '단단한' 제품 68 4.4.2 '귀여운' 제품 70 4.5 연구의 한계 72 5장 결론 74 참고문헌 76 ABSTRACT 78 부록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238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제품의 형태적 속성에 근거한 제품의 이미지 평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valuation of Product Omages based on Characters of Product Forms-
dc.creator.othernameLee, Yeon Soo-
dc.format.pagev, 7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보디자인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