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3 Download: 0

1860년대의 민란에 관한 연구

Title
1860년대의 민란에 관한 연구
Authors
최진옥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the peasants' uprising late in the 19th century, when occurred successively, from the point of the dissolution of feudal system and the intention to modemiz-ation in immanent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As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I limited the riots to 1860's. The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would be a certain change in the development of them, I tried to investigate those historical characters through the progress of the riots and the rank analysis of those partici-pants. First, I studied the social background caused the riots to occurr, from the view point of the disorder of political disci-plines, the ruin in the economy of farm houses and the changes of traditional society. By the political power of the Andong Kims' (安東金氏) dated back to the early time of Sooncho (純祖), being the political dis-ciplines disordered extremely, the covetonsness and mistreatment of the government servants and the military behavior of the local land-lords were rampant under the disorder of state examination-system and the selling government posts, Connected with this the Three Financial Polices, which were .collective system were disordered. In these days most of the farmers were who have their own farm a little or tenant farmers, and they were under the circumstance that even their fundamental livings were hard owing to the feudal depredation of govering class, With the poverty of the farmers, the economy of faiUnhouses were under the danger of dissolution and there began to come out fall farmers, In the other side, the traditional value based on Saeung Ri Philosophy (性理學) collapsed, another new judge of value was needed by the birth of practical science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science. However any coun-termeasures to changing societies were not prepared,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at time, people began to be awakened, and the conscionsness come to revolt against the feudal governments for their own lives. In 1862 (chul-chong 13), begining Tansoemg (丹城) and Jinju (晉州) riots, all the 37 riots were broken out with Samnam (三南) district as the central figure, and then Poongchun riot (ko-chong 1), Chilwon riot (Ko-chong 5) and KwangYang riot (ko-chong 6) were broken ont. these successive riots show us a certain change of the aspect in the progress of the riots. The peasants who took white head, bands and took wood sticks in their hands, Published a notice and held meetings. To intrude the political officers, threaten the hends, murder the officers who were objects of their enemies, fire their houses or bum down the documents of the Three Fl-i-ianc-Lal Police, were their common behaviors we can't consider there were minute schedules or sufficient con-spiracies before hand, However we can see that there were a centain systematic aspect in their devices and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ir progresses. The uprising peasants made their flags represent or proposed their requirements, In case of kumku (金構) uprising, they presented a pamphlet written. down their requests, In Indong(仁同) and Hwangchu (黃州), they presented their concrete requirements made up of 12-25 items for the reform of the civil evils and didn't move back until those requirements were accepted. Likewise, the uprising peasants became more awakened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s, and we can see that the people struggled for their own rights and interests. In Kwangyang uprising in Ko-Chong(高宗) times, we can observe those different aspects from those of Chael-Chong (哲宗) times. Kwangyang peasants' uprising characterized a kind of soldiers' uprising which 70 soldiers armed intruded and fired the prefecture armoy, under the minute devices that those who lived in Kwangyang, Kang jin (康津), Namwon(南原) -and Kurae (求禮), had consulted a gross uprising beforehand and produced even arms. Especially, it, represented the nature of regional expansion and connetiveness, distrinctly different from the Kongchu (公州) uprising, in which those peoples in Hwedok(懷德), Eunjin (恩津) and other region were participated. The main power of the uprising peasants was in poor peasants faced to collapse, and the fall nobility, expecially remaning nobility, kept step with them consistently, as well as poor handi-craftmen pushed by feudal power, tradesmen, male and female servants and employees. Generally speaking, there were lack in a certain organization and connectiveness from a uprising to another, though the riots themselves failed again and again, I think peoples cane to realize the systematic methods gradually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ir frustration. These riots as an expression of risistance by the general social rank stimulated the dissolution of the feudalism of Lee dynasty, which had been faced already to the dismantle period, and finally they constructed the root of the immanent modernization from the lower social class. Through the pursuit aa this, we ex-pect to illuminate our historical conditions before the opening of a port.;본고는 19세기 후반의 민란을 한국사의 내재적인 발전의 논리에서 봉건체제의 해체와 근대화의 지향이라는 문제시각에서, 계기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이 시기의 민란을 종합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한 것이다. 그리하여 그 연구작업의 일단으로 1860년대의 민란에 한정시켜 민란의 진전과정에서 일정한 변화가 있었을 것이라는 상정아래 민란의 진전과정과 민란참가자들의 계층 분석을 통해서 민란의 역사적 성격구명을 위한 접근을 시도해 본 것이다. 먼저 민란이 발생하게된 사회적인 배경을 정치기강의 소란과 농가경제의 파탄 그리고 전통사회의 변천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여 보았다. 순조 초부터 시작된 안동김씨 일가의 세도정치로 인해 정치기강이 극도로 소란해지면서 과거제도의 소란과 매관매직의 풍토아래 관리와 이서들의 탐학과 지방 토호들의 무단행위가 성행하게 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수취체제인 삼정이 소란해지게 되었다. 이 시기에 있어서 대부분의 농민들은 영세토지소유자이거나 무토농민인 소작농이었고, 그들은 지배계층의 갖은 봉건적수탈로 기본적인 생계유지 조차 어려운 형편이었다. 이같은 농민들의 곤궁과 더불어 이 시기의 우리나라 농가경제는 파탄의 위기에 놓여있었으며 많은 몰락농민을 낳게 되었다. 한편 성리학적인 전통가치관이 무너지면서 실학의 발생과 서학의 유입으로 새로운 가치관이 요구되어지고 있었으나 변천해가는 사회에 대한 대응책은 마련되지 않았다.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에서 싹트기 시작한 민중들의 자각이 스스로의 생존을 위해 봉건지배층에 대한 저항을 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그리하여 철종13년(1862년), 단성 및 진주민란을 발단으로 하여 그해에 도합 37회에 걸친 민란이 삼남지방을 중심으로 발생하였고, 고종1년에 풍천민란과 동5년에 칠원민란 그리고 동6년에 광양민란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민란은 그 진전과정에서 일정한 양상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두착백건, 수지대봉의 모습을 한 난민들은 통문을 발하고 취회하여 관가에 난입, 관장을 위협하거나 삼정에 관한 문□을 소각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형태이었다. 이러한 민란에는 치밀한 계획이나 충분한 사전모의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민란이 진전되어 가면서 차츰 그 양상을 달리하여 난의 계획과 조직에 있어 체계적인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난민들은 기치를 앞세우거나 그들의 요구조건을 제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김□의 경우 민막 교구를 주장하는 그들의 요구를 입안한 책자를 제시하였고, 인동?황주에서는 12개조 내지 25개조의 구체적인 요구조건을 제시하고 그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물러서지 않고 있다. 이렇듯 민란은 그 진전과정에서 차츰 의식이 강화되어 스스로의 권익을 위하여 투쟁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철종조의 민란과는 현저하게 달라진 양상을 우리는 고종조의 광양민란에서 엿볼 수 있다. 광양민란은 광양?강진?남원?구례에 거주하는 주모자들이 사전에 거사를 모의하고 기구까지 제조하는 치밀한 계획아래 본군 70여명이 무장하고 방포하여 현의 군기고를 습격한 일종의 병란의 성격을 띠운 것으로 특히 타지역의 호응이 있을 것을 확신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타읍에 까지 진출한 회덕과 은진 그리고 타도인이 개입된 공주의 경우와는 달리 그 지역적인 확대와 연관성을 보다 뚜렷이 나타내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민란 참가자들의 중심세력은 몰락의 경지에 이른 빈농들이었고 이들에게 지도력을 부여한 것이 몰락유민과 잔반들이었다. 그리고 봉건권력에 의해 침학되고 있던 영세수공업자 및 소상인 그리고 노비, 용호 등도 가담하고 있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민란과 민란 사이에 어떠한 조직과 연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민란 그 자체가 실패를 거듭하고 있지만 민중들은 그 좌절의 체험을 통해서 점차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방법을 터득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사회기층의 저항의 발로인 이 시기의 민란은 이미 해체기에 직면한 조선봉건사회의 붕괴를 더욱 촉진시키었고, 그것이 결국 밑으로 부터의 내재적인 근대화의 원류를 이루고 있는 것이었다. 우리는 이같은 사실의 추적을 통해서 개항직전의 우리나라가 처해 있었던 역사적 상황에 대해서도 일정한 조명을 비춰볼 수 있을 것을 기대해 본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