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8 Download: 0

水墨技法을 통한 空間의 內面的 表現 硏究

Title
水墨技法을 통한 空間의 內面的 表現 硏究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는 온갖 복잡한 정서를 담고 있는 예술 작품에 부딪히게 된다. 예술가는 내면세계 속에서 끊임없이 미적 경험을 쌓아가며 모든 경험과 상상을 표현 할 수 있는 조형요소를 찾는다. 따라서 예술작품 속에는 예술가가 처한 시대적 상황과 환경(環境), 그리고 자기자신(自己自身)에게서 발견된 것이 표현되어진다고 하겠다. 동양회화에 있어서의 감성은 표현의 대상인 물질적인 것으로부터 예술가의 추상적이고 창조적인 정신을 통해 종합적인 내적 표현을 이끌어 내도록 하고 있다고 본다. 또한 동양예술은 사의(寫意)적 표현으로서의 묵(墨)이라는 동양만의 재료적 특성을 살려 작가의 내면을 표현해 왔다. 이러한 동양회화는 지(紙), 필(筆), 묵(墨)이 하나로 일체화되어 나타나는 형상이며 묵은 고도의 관념적인 재료로서 추상성을 내포한다. 과거 동양화에 있어서 묵은 동양사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매개물이었으며 현대에 와서 수묵의 의미는 시대적 상황과 작가의 표현의도에 따라 새롭게 모색되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추상의 개념과 정신적인 배경을 파악하여 동양예술의 특징이 되어온 사의적 표현의 필연성을 찾고 동양인의 인생철학과 예술과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연구하여 본인의 작품을 심층있게 풀어보고자 하였다. 또한 먹의 특성과 수묵의 기법을 분석하여 현대적 표현으로서의 나아갈 작업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적인 면으로는 운필의 작용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기운(氣韻)이나 수묵(水墨)의 농담(濃淡)이 자아내는 독자석인 묵상(墨象)의 세계를 깊이 있게 연구하고자 하였는데 본인의 작품제작에 의미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새로운 천년이 시작된 지금 한국미술의 미래에 대한 비전들이 제시되어야 할 의미있는 한시점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전통미술로서의 수묵(水墨)만이 가지는 재료적 장점을 계승한 한국화에 대한 새로운 전망이 제시되어야 할 때이다. 왜냐하면 지난 20세기가 서양미술을 부분적으로 수용해가는 과도기였다면 21세기는 한국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완성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본인은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을 현재의 본인의 작업으로 연결지어 작품의 조형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새로운 모색과 고찰의 계기를 마련함으로서 현대적 표현으로서 나아갈 작업방향을 재점검하고자 한다. ;We encounter works of art having all kinds of complicated feelings. The artist accumulates artistic experiences incessantly in the inner world of his own and searches for proper formative elements to express his every experience and imagination. Therefore, we can say that a work of art represents certain situations or environment of his time and something found out in him self. It seems in the Eastern painting sensitivity leads the artist to take an integrated inner expression out of material objects through his abstract and creative mind. And also unlike the material-oriented Western arts, the arts of the East have represented the insides of artists with Chinese ink, a unique material of the East, to enliven spiritual and mental images. In such Eastern painting, the paper, the brush and the ink unites in one and particularly the ink as an expressive medium to symbolize Eastern thoughts has been used and explored intention anew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imes and the artist's intention. This study is to seek the necessity of spiritual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the Eastern painting by grasping the concept of abstract art and its spiritual background, and to produce an in-depth work based on this theoretical investigation. Also desirable directions in making modernized expressions are explored Chinese ink through an analysis of the peculiar properties of Chinese ink and painting techniques. As a methodological background, the original world of Chinese ink figuration with various elegant tones from unique brush touches and shades of ink is examined to give meaningful directions for working on an expression. As a new millennium just starts, now is a significant point of time to establish proper visions for the future of Korean art. Especially new prospects for Korean painting should be presented to transmit many advantages of Chinese ink as a material. Because if the 20th century can be said that it was a transitional period of accepting elements of the Western art in part, the 21st century is an important period to complete a new paradigm for Korean painting. So the author of this study concretely presents some formative elements in relation to her making a work and reinspect desirable directions for both traditional and modernized expressions by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a new exploration and investig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