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혜-
dc.creator김영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6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5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2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547-
dc.description.abstract염색의 발달이 우리생활양식의 변천과 그 과정을 같이하며 오늘날에는 염색이 쓰이고 있는 영역이 무한하게 확대됨으로써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염색에 관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에 의한 개발이 이루어져야함은 당연한 사실이며 이미 오래전부터 이러한 분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아직도 개발할 여지는 많은 것으로 본다. 주공간이 美的이고 實用的이면서 정서적이어야 한다는것은 인간이면 누구나가 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주공간에서의 염색품의 기능은 다른분야의 염색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우리에게 주고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공간용 염색품은 手工藝로서의 염색과 기계에 의한 製品으로서의 염색으로 구분되어 근본적으로 성격을 달리하면서 두방향의 것이 공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두방향의 염색에 관하여 각각 특성과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의 발견 및 해결점을 모색하여 보다 나은 염색제품이 우리의 생활에 있어 생활화 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데 기여코자 하였다. 手工藝로서의 염색은 염색공예가나 디자이너에 의해 제작된 手工染色을 통해 그리고 제품으로서의 염색은 제품을 직접 생산하고 있는 제조업체나 전문점(shop)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통해 재료·색채·무늬(형태)를 중심으로 현황을 분석하였다· 현황분석에 앞서 염색의 개요(발달과정)를 통해 우리민족의 풍습이나 역사적인 특수성이 염색의 발전을 지연시켰으나 근래 국전과 상공미전 그리고 산업의 발전등으로 염색공예가 확대됨으로써 점점 확고히 발전되어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공예로서의 염색과 제품으로서의 염색에 대한 개요를 통해 전자는 美的가치를 우선하고 후자는 실제적 사용가치를 우선한다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현황분석에서 수공예로서의 염색은 쿠션·방석·식탁보·내프킨·공간가리개등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나 一品工藝的인 제작으로 그 분포도가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로 쿠션을 제외하고는 현황분석이 불가능하였으므로 사진을 통해 제시하였으나 제품에 비해 창의적이고 독특한 감각을 지니면서 재료나 색채·무늬(형태)등에 다양성을 보이고 있었다. 제품으로서의 염색을 커텐 200점·쿠션 50점·소파 30점·침대보 20점·이불보 20점·램프 20점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제품의 현황분석·결과는 실용적인 면에서나 경제적인 면에서 효과적인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량생산체제에 의한 제작으로 분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공예적인 염색에 비해 색채·무닉의 형태 즉 디자인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것은 제품에 있어 색채의 선택·무늬(형태 )의 표현이 목적성이 불분명할뿐 아니라 우수한(Good design)제품을 위한 기업주나 디자이너의 인식이 결여되어 디자인상의 美的인 면은 물론 제품의 질이 향상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하겠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염색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기업들은, 첫째, 외국제품의 피상적 모방이나 변형을 배제하고 토탈 디자인팀 (total design team)을 형성 함으로써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우수한 제품을 이루어야겠다. 둘째, 염색공예가나 디자이너의 창의적·감각적 능력이 전시회를 통해서만이 아니라 산업적인 측면으로 확대케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배려가 있어야겠다. 세째, 제품생산 이전에 자체내에서 염료의 과학적 연구·개발과 창의적 패턴의 형성이 되어야겠다. 또한 디자이너나 염색공예가는, 첫째, 그들의 一品工藝的인 우수한 염색作品을 대중의 실생활에 즉 산업工藝의 방향으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제품 하나하나의 디자인계획을 세워 제작의 기본요건이라 할 수 있는 재료·색채·무늬(형태)를 기능적인 것으로 형성해야 한다. 셋째, 제작계획 이전에 시장조사에 의해 경제성·사회성을 파악해야 함은 물론 장기적인 안목·디자인의 확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현황분석에 의해 발견된 문제점 및 해결방안들은 독자적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생산자나 디자이너 그리고 염색공예가 모두의 상호협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보다 신속하게 실현이 가능힐 것이라 생각되며 한편 공예개념의 확대에 따른 산업工藝로서의 디자인교육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확대될때 보다 우수한 제품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염색의 생활화가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The development of dyeing have the same process with the change of our way of life, and today it is in close connection with our actual life through the domain of it spreads so infinitely. In this point, it goes without saving that it's development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constant research and effort, and the study in this field was accomplished long ago, but it leaves much to be desired. We all want the interior (housing) space to be a fine view and practical, we are influenced directly by the function of dyeing-works (products and handicrafts) in the interior space rather than the other domain of it. At present, dyeing for the interior space is divided into two way, dyeing as handicrafts and dyeing as machine-products. Two direction of dyeing coexist with different character. Now I go into character and present condition of dyeing in the two directions, and contribute to grape the way for the life of dyeing, finding a solution of problem. I analyze present conditions of dyeing through the crafts which is made by dyeing-craftman or designer for handicrafts dyeing, and is gathered through maker or professional shop for machine-products, putting emphasis on material, color, pattern (Form). Before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I come to know that the development of dyeing as professional field is delayed by our customs or historical speciality, through the outline of dye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dyeing) But I realize that the development of dyeing is gradually developed o dyeing craft spred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Korea, Korean commercial and Industrial Arts Exhibi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rough the outline of dyeing as handicrafts and dyeing as products, I come to know the basic difference that the former take precedence over esthetic value, and the latter take precedence over practical value. In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I analyze cushion. Korean-cushion. table-cloth. napkin. spacial screen as object in dyeing as handicrafts, but the distribution-chart appears low because of handicrafts, it is impossible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dyeing, I present it with photographs except cushion, but it shows diversity of material, color, pattern (form) with creative and unique sense as compared with products. In dyeing as products, I analyze two hundres of curtains, fifty cushions, thirty sofas, twenty Bed-spreds, twenty coverlet cloths, twenty lamps as objects. As a result of analysis. It appears that, they use effective materials in every respect-practical and economical-, and the distribution chart shows high for mass production system. But, it appears that they have many problems in design, color, pattern (Form) as compared with handicrafts-dyeing. It speaks that the quality of products as well as esthetic point does not improve because of unclear purpose in selecting color and expressing pattern (form), and lack in recognition of design or enterpriser about good design-products. As a means of settling this problems, the domestic dyeing enterprise, producting dyeing products. 1. should eliminate the superficial imitation or change of foreign product, and should make superior products in marry-sided aspect with shaping total-design team. 2. should give positive consideration that the creative and sensual ability of dyeing-craftsman or designer spred not only through the exibition but also in the industry. 3. Before producing, they should do scientific reserch and development of dyestuffs, and should make creative pattern. And Designer or dyeing-crafts man, 1. should spred their superior dyeing-works on industrial-crafts and actual-life of the public. 2. should make material, color. pattern (form) which is basic of production, functional by planning of design. 3. Before the production planning, they should consider economics and sociality by means of a market survey, and should have to establish design for a long sense of discrimination. I think that the problem and their solution, finding through the analysis, shoul be made with co-operation among manufacturer. designer. and dyeing crafts-man. And it can be made rather superior products when the design education as industrial-crafts is spread rationally and the desirable life of dyeing should be achiev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염색의 개념 4 1. 염색의 개요 4 2. 수공예로서의 염색 10 3. 제품으로서의 염색 14 II. 주공간용 염색품의 분류 및 현황분석 17 1. 염색품의 분류 20 2. 염색품의 현황분석 20 3. 제품개발 및 디자인면에서의 문제점 54 IV. 결론 68 참고문헌 71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073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염색의 생활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주공간용 염색품을 중심으로-
dc.format.pageix,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8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