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0 Download: 0

주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프로그램사례연구

Title
주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프로그램사례연구
Other Titles
Case Study of a Bibliotherapy Program to Improve Women’s Self-Esteem
Authors
김영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이
Abstract
주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프로그램사례연구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주부의 낮은 자아존중감 해결방안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가정의 중추역할을 적절히 수행할 중요성이 대두되는 지구 촌락화시대의 주부는 많은 격무에 시달리며 자신의 정체성의 모호성을 인식하게 되면서 가까운 관계의 사람들과 갈등관계를 갖는다. 이때 대한민국의 문화여건은 주부가 자신의 정체성확립을 위한 투자를 하기에 호락호락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부의 낮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본인을 사랑하는 수준을 높이고 자녀를 양육하는 주체자로서의 자긍심과 사회구성원으로의 당당한 인격체로, 보다 나은 삶의 주인으로 살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이 있음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강북의 서부지역 주부 중 평소 독서치료에 관심이 많고 인쇄된 활자 매체를 선호하여 즐겨보며 자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과 갈등관계를 유지 하고 있는 6명의 주부를 폐쇄집단으로 총 8주 8회기를 연구자가 직접 시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모형은 Mazza의 초기(1~2.)단계, 과도기단계(3~4), 작업기단계(5~6), 종결기(7~8)단계의 구조화된 틀을 적용하였다. 초기 1단계는 지지단계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인식. 원인파악하고 자신과 격리한다. 2단계는 통찰단계로 과거경험의 도움으로 새로운 지각대상을 이해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행동 객관화단계로써 낮은 자아존중감을 해소 할 수 있는 행동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4단계는 통합단계로 자신에게 높은 가치를 인정하고 정립하는 단계이다. 평가방법은 독서치료프로그램의 회기별 활동내용과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각 사례별로 프로그램실시 전`후의 변화표로 진행자가 개입한 내용, 프로그램참가자 스스로 매 회기별 평가한 내용, 과정 기록 등을 근거로 사례별 내용을 표로 요약하였다. 평가방법의 보완으로 SPSS package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사례수가 적은 이유와 비교집단 없이 음의 등위를 제외한 평균값을 비모수 통계방법인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 결과 차이 비교로 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사전 - 사후 검사 비교 결과는 사전검사(M=3.50)보다 사후(M=21.00)으로 평균 17.05점 정도가 상향되었으며 프로그램참여자의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점수의 차이를 측정한 값이 -2.201(a)<.028 수준에서 유의미하였으므로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은 다음 4가지로 말 할 수 있다. 첫째,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자신을 재인식하는 계기를 주는 것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독서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주부들은 자기 역할을 긍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억압하였던 감정의 표현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며 연구자의 개입일지, 참가자의 활동지 및 과정 평가지 등 통해 주부들이 상황에 대한 자신감 및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 수행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회기 과정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학령기 자녀를 둔 주부들이 독서를 통해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인지적 왜곡과 비합리적인 신념체계를 통찰하여 삶의 방식을 직면하고 행동수정을 하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인쇄된 활자를 매개체로 활용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문화의 부정적 속성을 벗어나 자유로운 인지적 접근을 토대로 자신을 객관화 하여 통각 함으로서 행동을 수정 할 수 있음이 나타났다. 주부 자신에게 투자하는 경제적 부담 없이 자신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낮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신의 삶을 보다 긍정적 태도로 생활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반면 본연구의 제한점은 우선 6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통제 집단 없는 단일사례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일반화 하는데 무리가 있으며, 프로그램의 종결 후 연구 참여자들의 변화가 어느 정도 지속되는지에 대한 검증이 어렵다. 다음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을 완전 배제하였다고 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상황들을 표기 할 수 없어 다소의 오해를 부를 수도 있다.;A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program addressing problems of low self-esteem in women with school-age children. In this era of the global village, more attention is being given to the importance of the homemaker’s function of satisfactorily filling a vital role as the backbone of home and family. However, homemakers have a conflicted relationship with those around them as, under the weight of taxing and arduous work, they become aware of the vagueness of their own self-identity. At this juncture, under the present socio-cultural conditions of Korea, it is not easy for these women to invest the time and energy neede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program to help homemakers to love themselves more, by enhancing their low self-esteem; to live as productive members of society, taking pride in raising children; and ultimately, to lead better lives as autonomous individual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six women, all homemakers dwelling in the western part of Seoul north of the Han River (Gangbuk-gu), who had a longstanding, strong interest in bibliotherapy, who have a preference for print media and enjoy reading, and who experience conflict in their close relationships. The study, which had eight rounds,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eight weeks, and was carried out as a closed-group study by the researcher herself. The structural framework of Mazza’s four-phase model was applied, consisting of an initial stage (1~2), transitional stage (3~4), working stage (5~6), and concluding stage (7~8). In the initial, or supportive, stage, the participant acknowledges her low self-esteem, analyzes its causes, and secludes herself. In the second, or apperceptive, stage, the participant uses her past experiences to develop new insights on the subject requiring cognizance. In the third, or action, stage, the participant carries out actions enabling resolution of low self-esteem. In the fourth, or integrative, stage, the participant acknowledges and affirms her high level of worth. The research was summarized in a table organized by case, including details of 1) the functional content of each phase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2) the program coordinator’s records of participants’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formatted to reflect changes from before and after; 3) participants’ self-evaluations from each phase; and 4) the procedure record.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and lack of a comparison group,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study was complemented with analysis comparing the mean, excluding the negative scale, using SPSS Version for Windows and Wilcoxon’s Signed Rank Test, a statistical method for nonparametric analysis. The participants’ self-esteem was able to be improved, as shown by a before-and-after comparison of tests measuring participants’ self-esteem. An average increase of 17.05 points was measured between pre-program tests (M=3.50) and post-program tests (M=21.00). The measured value of the point difference of participants’ self-esteem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defined as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2.201(a)<.028. Based on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our implications can be drawn. First, the bibliotherapy program leads to significant improvement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self-esteem and giving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o see themselves in a new light. Second, it demonstrated that th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bibliotherapy program were able to fulfill their roles in a positive way and also to constructively express previously- repressed feelings. Third, regression analysis at each phase of the program, based on such data as the researcher’s intervention diary and the participants’ journaling activities and self-progress evaluation reports, revealed positive changes in the homemakers’ self-confidence,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when facing situations, as well as in the accomplishment of their duties. Fourth, it showed that, by participating in a bibliotherapy program,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can gain accurate insight into their way of living and can modify their behavior, as a result of discerning their own cognitive distortions and irrational belief systems. From the research results discussed above, it is clear that a bibliotherapy program, using the printed word as a medium, can be easily accessible to anyone. The results show that, based on an unbridled cognitive approach, behavior can be modified through accurate self-perception following self- objectification, overcoming thos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at can have a deleterious or negative effect. The homemaker can enhance her low self-esteem by reappraising herself and investing in herself, without financial burden. This suggests that she can live her daily life with a more positive attitude and mindset, as a contributing member of society.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include a methodology in which a limited number of cases was studied, with just six homemakers participating, and no control group was used, making it impossible to generalize the program; next, it is difficult to verify whether and for how long positive changes will be maintained by participants after the program ends. In addition, it cannot be ruled out that subjectivity was not completely eliminated from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 and finally, because situations may have occurred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that did not get recorded by the researc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some degree of misconception or misunderstand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