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애선-
dc.creator정애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5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2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93-
dc.description.abstractMan has been making various implements and toos from the prchistoric age for the rationalization of life and endeavoring to satisfy his aesthetic wants for spiritual life. This aesthetic pursue has formed modes each inherent in human life by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ety and change of aesthetic consciousness. It also shows varigated changes while maintaining closer relationships with other sphere of life. As is seen in all formative arts, an individual artist of modern embroidery also persists in aesthetic of his own in an effort to express inner world. It is intended in this paper to compare our traditional embroidery inherited from old times with modern embroidery, thereby helping design the direction of our modern embroidery. Tradition implies a method of creation or an idea of a pattern formed and inheri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tradition of our embroidery is characterized by refinement, grace and simplicity which were formed during the Silla, Koryo and Yi Dynasties. Our embroidery has been generalized but, too realistic, ideological and manneristic to be recognized as art. However, many nameless women alone used their tastes in doing embroidery domestically in which the devotion, perseverance and fine disposition of our womanhood dwell. The beauty of traditional embroidery peculiar to our country was once disapperared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embroidery prevail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f Korea and by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mbroidery. With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the Japanese control on August 15, 1945 as a momentum,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has resulted in rapid changes in all fields of the arts. Likewise embroidery is also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expressing the world of artist's own according to an individual subjective point of view. Comparing traditional embroidery with modern embroidery, the latter, deviating from the limit of past tradition, is characterized by the choice of free materials, individual coloring, daring techniques and a wide variety of modes, thereby the artist himself tries to express his inner world and persists in modern aesthetic. First, most of the sub]ect matters for traditional embroidery consisted of those which depict nature and good auspices. Although modern embroidery also chooses often its subject matters from nature, individual materials of the artist;, namely abstract or non-concrete materials show an increasing trend. Second, silk or gilded thread was mainly used in traditional embroidery while modern embroidery uses a wide variety of fabrics and unique materials other than threads due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today. Third, the technique of traditional embroidery was that of realistic revival with importance attached to size, while an individual yet bold technique is developed. Fourth, the color scheme of traditional embroidery was devoted to the revival of color peculiar to an object by using mainly primary color, while an original color scheme of the artist with a wide variety of color tones form the main tide in modern embroidery owing to industrial development. Fifth,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embroidery was influenced greatly by Oriental paintings and accordingly became schematic, realistic or ideological, while modern embroidery is characterized by the individual expression of artist's inner world as is seen in the formatic arts. Consequently the mode of expression is diversified. As summerized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embroidery and modern embroidery differ from each other, but the two coexist undergoing steady changes for the expression of new embroidery. However, it may not be considered that modern embroidery is necessarily developed and righteous on the ground that it has undergone radical reform. As is in all fields of the arts, there is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future can be promised. Therefore the question is the creation of new tradition based on old tradition. As an artist is destined to trans form his inner world into a vital space, he should engage in creative works with correct understanding, originality and sensitive aesthetic consciousness. This may be believed to form new tradition and become the momentum of creating our living and spiritual culture.;인간은 오랜 선사시대부터 생활의 합리화를 위하여 여러 가지 도구를 만들어 쓰면서 정신적 생활의 영위를 위하여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애써왔다. 이러한 미적 추구는 급속한 사회발전, 미의식의 변모 등에 의하여 저마다의 고유의 양식을 형성하면서 다른 영역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다양한 변모를 보여주고 있다. 현대의 자수 역시 모든 조형예술이 그러하듯이 작가 개개인이 내적세계를 표현하고저 하는 경향에서 자신의 미학을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과거부터 계승되어 온 우리 고유의 전통자수와 현대자수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현대자수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저 한다. 전통이란 과거 오랜 기간 동안 창조되고 계승되어온 패턴 자체나 또는 그것을 생성케 한 탕조방법이나 이념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자수의 전통성은 신라, 고려, 이조의 풍려, 우아 및 소박성 등의 특성이 각 시대성에 따라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자수는 일반화되지 못하고 사실적이고 관념적이고 기공에 치우쳐 예술로서 인정받지 못하였지만 무명의 여성들만이 가정에서 취미로 제작하였기에 거기에는 우리 여성의 정성과 인내와 아름다운 마음씨가 깃들여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국 고유의 전통자수의 아름다움이 일제시 식민지 교육에 의한 일본자수의 영향과 서구자수의 도입으로 한때 중단된 때도 있었다. 그러나 8. 15와 서구문화의 새로운 물결로 모든 예술이 세계적인 사조와 미의식에 따라 변하듯 자수 역시 각 개인의 주관에 따라 자신의 세계를 표현하려는 경향으로 변모하고 있다. 전통자수와 현대자수의 특성을 비교해 보면 즉 현대의 자수는 과거의 전통적 테두리에서 벗어나 새로운 자수의 창작을 위하여 자유로운 소재선택, 개성적 색채, 대담한 기술, 다양한 양식 등으로 작가개개인의 세계를 표현하면서 현대적 미학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첫째, 전통자수의 소재는 자연적 대상과 길상적 내용의 소재가 많았다. 현대자수 역시 전술한 자연적 대상에서 소재를 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작가의 개성적인 소재 즉 추상이나 비구상적 소재가 점증하고 있다. 둘째, 전통자수의 재료는 견사나 금사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자수에는 공업의 발달로 다양한 직물과 실외에 독창성 있는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셋째, 전통자수의 기법은 평수가 위주로서 사실적 재현 기법이었으나 현대자수는 종래의 전통기법에서 탈피하여 개성적이고 대담한 기법이 개발 선택되고 있다. 넷째, 전통자수의 배색은 대상의 고유색을 재현하려 했고 원색을 많이 사용했으나 현대자수에서는 공업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작가의 독창적 배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다섯째, 표현양식에 있어서는 전통자수가 동양화의 영향을 받아 사실적이거나 도식화 되어 관념적 표현인데 비하여 현대자수는 모든 조형예술이 그러하듯이 개성적이고 작가의 내면 세계를 표현하고자 하는데 특성이 있다. 따라서 사실적 표현은 무론 비구상적 표현양식 등 여러 가지 경향의 표현양식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이같이 전통자수와 현대자수는 그의 특성을 달리하면서도 새로운 자수의 표현을 위하여 전화 변모하면서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자수에 있어 전위적이고 변혁이 있다해서 반드시 발전한 것이고 옳은 것은 아닐 것이다. 모든 예술이 그러하듯이 과거가 있고 현재와 미래가 약속될 수 있기에 전통을 기초로 한 새로운 전통의 창조가 문제인 것이다. 예술가는 자신의 내적 세계를 생명 있는 공간으로 변형하는 것이 사명이기에 작가는 바른 인식과 독창성과 감상적 미의식에 따라 장작활동이 되어야 하겠다. 이는 곧 새로운 전통의 형성이고 우리의 생활문화, 정신문화의 창조의 계기가 되리라고 믿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1 C. 연구의 범위 2 II. 전통자수의 특성 3 A. 중국의 자수 3 B. 한국 자수의 특성 7 III. 현대 자수의 특성 15 IV. 전통성과 현대성의 비교 23 V. 결론 37 참고문헌 40 ABSTRACT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208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자수의 전통성과 현대성에 관한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7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