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한국기념조상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기념조상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선혜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산업의 발달과 민주체제를 이상으로 함으로써 기념조상의 사회적 기능은 점차 중요시되어가고 있다. 기념조상은 압도적인 힘을 과시하는 대중 속에 들어서면서 인식이 날로 새로워지고 있고, 이때에 우리의 기념조상을 고찰하여 기념조상의 존속의의를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는 것은 자못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6.25사변 이후 건립된 기념조형은 어떠한 목적으로 건립되었으며 그 목적한 바가 어느 정도 충족되어 있는가를 고찰하여 현재 기념조상의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찾음으로써 미래에 기념조상 건립에 이바지하자는데 목적이 있다. 기념조상은 역사적 위인의 사상이나 사건, 추상적이 이념 등을 후세에 회고시키기 위한 정신적 대상으로서 조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서 그 정신, 그 업적, 그 사건을 영구히 기념하고 보존하여 현재 살고 있는 사람들 및 미래의 사람들을 교도하자는 실용목적을 지니고 있다. 아울러 발전해 가는 현대 도시공간 속에서 환경을 꾸며주는 요소로서 장식성을 가지며, 민족이나 사회의 정서적 자산으로써 남기는데 의의가 있다. 일제시대에도 서구식 조각양식을 받아들인 후, 현재의 기념조상과 같은 양식의 조상이 건립되기는 했으나 일본인의 손에 넘어가거나 2차대전때 없어지고 현재 건립되어 있는 것은 6.25사변 이후의 것이다. 서울을 중심으로 기념조상을 주제, 형태, 인물계층으로 분류하였는데 주제와 인물계층을 통해 애국? 순국? 호국의 민족 자주정신의 이념을 시민에게 전하기 위한 것으로 독립운동이나 정치적 인물의 기념조상이 대부분으로, 문화? 과학의 기념조상은 없다는 사실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형태는 대다수가 입상이며, 정적표현으로 나타났고, 예술가의 창의에 의해 자연스런 표현의 폭이 좁았다. 따라서 예술성 표현에 난점을 갖고 있는데 이는 특히 표준영정에 얽매임으로써, 나타내려는 의미를 시민에게 나타내지 못하고 이는 사실묘사에 그침으로써 더욱 생긱 수 잇는 난점이다. 이에 조각가가 고정을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여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징적으로 창의적 표현을 한다면 만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념조상의 건립계획부터 잘못이 있거나 처음 건립지에서 다른 장소로 이전함으로써 입지조건이 맞지 않는 곳에 있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렇듯 현존하는 기념조상은 예술면과 조형면, 건축(좌대) 분야에 문제점 등을 갖고 있는데 이를 해결키 위해서는 조각가와 위촉자간의 많은 대화 속에서 조각가는 국민의 사고 속에 형성되어 있는 기념조상의 대상인물 image를 표현하기 위해 최대한의 창의력을 발휘하고, 기면조상 건립계획에서 조각가와 건축가의 통합적인 작업이 이루어져야 겠다. 오늘날까지의 표현방식에서 벗어나 현대 감상에 의해 조성된 한국적 style의 표현방식을 개발하는 노력을 굳혀 나간다면 바람직한 기념조상이 건립되리라 생각한다.;Nowadays, the social function of memorial statue is being gradually considered of an importance. Pursuing industrial progress and democratic system, while such phenomenon is being accelerated and entering into mass-ara of demonstrating an overwhelming power, inter-relationship between memorial statue and public has been becoming as an important subject of discussion. As recognization of memorial statue is sharpening day by day, the significance of memorial statue existence by studying our own memorial statue. Thus,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and classify the purpose of memorial statue and its fullfilling degree of memorial statue since 6.25 Korean War,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existing memorial statue which will contribute to future memorial statue building. The memorial statue is spiritual object to cherish events and thoughts of historic great men to future generations, which are formatively molded expressive structures. Thus, the memorial statue is primarily to commemorate their spirits, achievements, and events, while bearing a practical purpose of guiding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At the same time, as an esthetic elements of decorating city spaces and environments, it possessed a significance of leaving emotional assets to society and nation. In other words, the memorial statue as an independent sculpture, is bound to meet a special functional requirements in symbolizing the artistic property, idealogy, situation, and events. The artistic property for practical purpose holds various problems in expression. The complets re-appearance in art is impossible and undesirable. Even if there is a historic person's standard portrait, the personality's image formed in nation's idealogy must be expressed rather than simply being a referential data. The value of memorial statue will be satisfied when an artist made a creative expression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The result of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memorial statue revealed that the most of memorial statue in the subject of statue are patriotic person' statues tried to defend nation, and confucianism philosophers' statues are second. By viewing these aspects I can easily notice that Korean society requires to make it a chance of re-evaluating achievements of historic great men so as to bring a spiritual solidarity by embedding patriotism to nation. In configuration analysis, the single upright body-structure was merely expressed in static pose. The investigation of Seoul memorial statue has revaaled; lack of art property, mostly static expression of statue pose, unharmonizing location condition, and unitary figure of seating posts. From 1960s until present stage in the pure sculpture switchover era has turned into settle-down ear which transformed embodiment arts into non-embodient arts, in the meantime memorial statue has not particular transforming process. In accordance with □st developing modern era, it is desirable to avoid narrowminded method, and adopt energetic and subjective digestion force to solidify accomodative and creative posture in molding idal memorial stat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