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황옥-
dc.creator이황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5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2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85-
dc.description.abstract사람은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다. 건축이 인간의 생활을 담는 용기라면 Interior Design은 그 용기내부의 디자인이다. 따라서 거기에 존재하는 조형적 요소인 색, 형태, Texture에 의한 현상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필요불가분한 요소들이다. 현대건축이 발달함에 따라 작은 창이 점차 큰 창으로 광대되면서 벽의 구실을 하는 햇빛 조절, 차단, 차음, 차열 등은 물리적이고 장식적인 재료로 커텐이 가장 이상적이므로 커텐 문양의 형태나 색은 실내공간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에게 심리적, 정서적으로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커텐 문양의 조형성에 대한 분석연구로 우리의 생활양식에 알맞은 문양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름길을 모색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현재 시중에 있는 커텐지 250개를 선택하여 그의 디자인을 형태와 색 두가지 측면에서 연구분석한 결과를 집약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1. 문양형태의 표현양식은 대부분이 다소 양식화된 구상적인 문양이었으며, 추상적인 문양은 별로 없고 주로 기하학적인 문양으로 나타났다. 문양 형태의 분류는 식물형태의 꽃문양 29.6%, 기하학적인 문양 21.2%, 식물형태의 나무문양 16.4%, 인공적 문양 12.8%, 기하학적 형태의 줄무늬 문양 11.2%, 기타문양 6%, 동물문양 2.8% 순으로 나타났다. 이같이 자연적인 식물형태가 전체의 46%인 것은 사람은 주택의 실내공간내에서도 자연과 좀 더 가까이 하려는 심리적인 욕구에 의한 것이며 기하학적 형태가 전체의 32.4%인 것은 현대건축의 발달과 고층아파트의 영향으로 건축양식이 매우 단순한 직선으로 변하는 경향때문이라 여겨진다. 문양행태의 배열은 상하좌우배열 58.4%, 상하배열 35.2%, 좌우배역 6.4%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하좌우배열이 실내공간에서 미적인 균형을 이루며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기 때문이고, 상하배열이 두 번째로 많은 것은 현재 급증하는 고층아파트와 고층건물의 천정이 낮은 편이므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또한 현대건축과 잘 조화를 이루기 때문이며, 좌우배열이 제일 적은 것은 심리적으로 답답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2. 문양의 색상은 온색계통 53.2%, 중성색계통 30%, 무채색 8.8%, 한색계통 8% 순으로 나타났으며, 온색계통에는 갈색, 주홍색, 적색 순으로 갈색이 제일 많았고, 한색계통에는 주로 청색이고 자색은 적은 편이며, 중성색계통에는 녹색이 대부분이며 보라색이 조금 있었고, 무채색에는 회색, 검정색, 흰색 순으로 주로 회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이 온색계통이 많이 쓰였고 그 중에서도 자연형상을 염두에 두고 배색한 것은 사람에 따라 좋아하는 색이 있기는 하지만, 실내 공간 내에서도 자연 속의 따뜻한 느낌을 갖기 위함이며, 중성색 계통에서 녹색이 많이 쓰인 것은 온색계통과 잘 조화를 이루며 자연에 많이 있는 색이기 때문이며, 한색계통은 실내공간 안에서 차가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제일 적게 사용된다고 여겨진다. 색의 명도는 중성도 62.8%, 고명도 26.4%, 저명도 10.8% 순으로 중명도가 제일 많이 쓰인 것으로 나타났다. 색의 채도는 중채도 46.5%, 고채도 30.7%, 저채도 22.8% 순으로 중채도가 제일 많이 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이 중명도와 중채도가 가장 많이 쓰인 것은 실내 안에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기 때문이며, 저명도와 저채도는 실내에서 침울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제일 적게 쓰인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이 커텐디자인은 사람의 심리적 영향을 고려하여 디자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커텐 문양은 이조말기부터 현재까지 외국문양의 변조나 모방에 불과했으며 우리 고유의 멋을 살린 문양이 매우 극소수였다. 이것은 커텐을 생산하는 기업주가 디자이너 발굴과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을 하지 않았으며, 단지 목전의 이익만을 너무 추구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우리의 생활양식과 심리적, 정서적 욕구에 적합한 즉 우리의 디자이너에 의해 디자인된 문양으로 아늑하고 안정된 아름다운 실내분위기를 형성하여 풍요한 생활을 영유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겠다.;Men is closely related with indoor life for he spends almost all of his life-time as indoor life, When architecture is a vessel to put life in, then the interior design is the designing of the vessel. Accordingly, the plastic elements that consist in the interior design, such as color shupe and texture are physically and spiritually indispensable for daily life, In compliance with the current tendency that small size of windows arc gradually changing into larger ones, one of the most reasonable and decorative ways for the controlling of sun light , cut-off of sunlight, or noise, insulation of heat, may be the curtain, and as the result s patterns and colors af the curtain are emotionally and psychologically significant to those who 1ive within the room. This survey analysed the styles of curtain patterns, generally sold in the domestic markets and intends to grope for a desirable way to the development of pattern designs suitable for our modes of living. For this survey, 250 pieces of curtain were ramdomly sampled out and the style and color were analysed. The resultant findings are as follows: 1. Almost, all the patterns in the curtain are stylized from the natural objects, and of geometrical patterns, but abstract, patterns are hardly seen. The patterns are classified into Floral patterns by 29.6%, geometrical patterns by 21.2%, tree-shaped pattern by 16.4%, fanciful patterns by 12.8%, stripe patterns by ll.2%, animal patterns by 2.8%, and other patterns by 6%. The reason why natural and Floral patterns form 46% of them is that human-beings are involved in a psychological d sire of being close to the nature even in their interior space. And geometrical patterns' forming 32,4% is involved in the tendency that architectural patterns are prone to a simple straight line owing to the influence of the advent of high apartments. 58.4% of the sample are composed in two-dimensional design, 35.2%g in stripe pattern, 6.4% in one-directional design. Two-dimensional composition shows aesthetic equilibrium in interior decorations, and stripe patterns is mostly used for the low ceiling-rooms of high apartment, and give a good harmony with modern architecture. The reason why few patterns of one-directional design are used is that, these patterns give a feeling of stuffiness, 2. The clor of patterns show 53.2% in warm color, 30% in neutral color 8.8% in achromatic color, Warm color consists of brown, scarlet, red. Brown is the most of them. Cool color consists of mainly blue, and of few violet; neutral color consists of almost green, and of few purple; achromatic color of black and gray. The emphasis on warm color and natural shape in curtain seems to feel a warm feeling of the nature even in interior space, though preference may vary with the users. Many green patterns of neutral color intends to give a good harmony with warm color. Cool color are hardly used for interior decoration, because they give sedative feelings. The value of color occupies 62.8% in intermediate key, 26.4% in high key, and 10,8% in low key. The intermediate key shows the highest percentage. The chroma of color 46.5% in intermediate chroma, 30,7% in high chroma, 22.8% in low chroma; intermediate chroma shows the highest parcentage. The reason why intermediate key and intermediate chroma are heavily used is that they give a feeling of stability within room, but low key and low chroma give melancholy, which is hardly used. As mentioned above, the pattern design of curtain are made in compliance with human-beings' psychological desire. Curtain patterns in Korea has been transformed or immitated styles of those of foreign countries, since Yi-dynasty, but, few patterns of Korean tastes has been used. This may be caused from the fact, that manufactures do not pay their attention to training designers, for the development of original designs on curtain but pursues their profits only. It is desired that curtain patterns of Korean tastes that can be suitable for cur modes of living, ou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need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we could enjoy stable and cozy atmosphere of indoor decoration. For that purpose further studies on thi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2 C. 연구의 범위 2 II. 커텐의 개관 4 A. 커텐의 의의 4 B. 커텐지의 종류 5 1. 커텐지의 제조방법과 용도 6 2. 섬유질의 성질 7 C. 커텐의 역사성 9 D. 커텐의 기능성 14 III. 커텐문양의 조형성 21 A. 형태 21 1. 문양형태의 분류 21 2. 문양의 형태분석 22 B. 색 29 IV. 결론 49 참고문헌 52 ABSTRACT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334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커텐 문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현재 소비되는 문양을 중심으로-
dc.format.page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7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