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예경-
dc.creator김예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2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2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2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 인식의 수준과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이 각각에 따른 개별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의 유의미한 차이를 파악함과 동시에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 및 직무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그들에 의해 제공되는 실제적인 서비스의 질적인 측면과 효과성의 증대를 유도해 사회복지의 성장과 발전에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사회복지사들의 전체 전문성 인식의 수준 및 직무만족도를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전반적인 수준을 파악하였다. 또한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사회복지사의 개별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들을 파악하였고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영향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에 따라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의 실천가인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전문성 강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사회복지사의 전반적인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를 파악한다. 2.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각각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 개별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을 파악한다. 3.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전문성의 하위 독립변수들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한다. 4. 전문성 인식 수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조사대상 표집은 연구 협조가 가능한 현재 서울에 소재하는 50개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0년 4월 4일부터 4월 20일까지 약 3주간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최종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118부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전문성 인식에 관한 문항은 Hall이 사용한 척도(Professional Inventory)와 Snizek의 척도 그리고 Anderson의 척도를 박종우의 연구(1994)에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척도로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사용’,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 ‘자기분야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에 관한 5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무만족에 관한 문항은 미네소타 만족 설문(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 MSQ)을 조사도구로 활용하였으며 이 두 가지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이미 입증된 도구이다. 이 외에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을 포함하여 총 5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형태와 내용에 따라 단순빈도분석(frequency)과 백분율, t-검증과 ANOVA, 상관관계(correlation) 분석,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수준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인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는 중간 이상의 평균점수를 보였다. 전문성 인식 수준을 5개의 영역별로 분석해보았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영역으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공중에 대한 서비스 이상’이라는 사회복지의 일차적이고 근본적인 목표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획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낮은 영역은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사용’이었다. 그 밖의 영역들은 평균점수는 ‘자기분야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의 순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사회복지 자체 내의 기본적 목표와 사회복지사로서의 기본자세에 대한 점수는 높으나 사회복지조직으로서의 공동체 형성 부분은 비교적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개별 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 개별 특성에서는 연령과 학력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경력과 직위의 상승과 큰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학력은 대졸의 경우보다는 대학원 재학 중인 경우와 대학원을 졸업한 경우가 더욱 높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개별 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개별 특성 역시 연령과 학력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력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현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경우 직무에 대한 만족이 가장 크고 다음이 대학원을 졸업한 경우, 대학을 졸업한 경우의 순으로 나타나 계속적인 지적 욕구 충족의 중요성을 나타냈다. 셋째, 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직무관련 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 직무관련 특성에서는 보기기관 총 근무기간과 직위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총 근무기간에 따른 전문성 인식 수준은 4년 이상의 근무기간일 때 가장 높았고, 1년 미만의 근무기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직위에 따른 전문성 인식의 수준은 과장과 부장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선임 사회복지사와 대리, 일반 사회복지사의 순으로 나타나 전문성 인식이 경력과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에 대한 만족도 및 전문직으로서 사회사업 인식 수준과 전문성 인식 수준의 상관관계 분석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직무관련 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 수준에서와 같은 복지기관 총 근무기간과 직위로 나타났다. 총 근무기간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4년 이상 근무, 2년 이상에서 3년 미만, 1년 미만, 3년 이상에서 4년 미만, 1년 이상에서 2년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3년 이상에서 4년 미만의 근무기간일 때의 낮은 직무만족도는 새로운 도전의 부재로 인해 일어나는 소진 현상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직위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과장과 부장, 선임 사회복지사와 대리, 일반 사회복지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에 대한 만족도 및 전문직으로서 사회사업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은 모두 유의미한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넷째,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인식 전체의 상관관계 계수는 r=.5729로 두 변수 간 유의미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영역인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사용’,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자체 규제에 대한 신념’, ‘자기 분야의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과 직무만족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자기 분야의 소명의식 영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 외의 영역들은 자율성에 대한 신념,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사용 영역의 순으로 직무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었다. 상관관계 분석 이후 실시한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회귀분석은 약 32.8%의 설명력을 나타내어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비교적 높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인식 변수군과의 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자기 분야의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 특성 변수 및 직무관련 특성 변수를 모두 포함한 회귀분석은 약 38.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으며 자기 분야의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 연령,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총 복지기관 근무기간의 순으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특성들이 유사함으로서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는 연관이 있음을 예상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은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성 인식 수준을 높이는 것은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서 궁극적으로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적인 면을 향상시켜 사회복지의 전문성 수준을 높이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 나라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사용’,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 ‘자기분야의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의 전문성 인식 영역 각각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maximizing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an job satisfaction, induce the increase of practical service in quality and effectiveness, and finally provide ideas for the quality growth of social welfare by examining the level of social workers' recognizing professionalism characterisrics and job related characterisrics as well as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established to achieve these study goals are as follows. 1. Grasp social workers' overall level of recogniz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ion. 2. Grasp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job related characteristics that give meaningful difference to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each. 3. Grasp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recogniz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afaction, and also grasp relation between sub-independent variable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4. Grasp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recognizing professionalism on job satisfaction. Using an random extract, social welfare workers working for 50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are tak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For data collection, an investigation was proceeded for about 3 weeks from Apr.4 to Apr. 20, 2000, and totally 1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social worker's recognizing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satisfaction, overall lever of recognizing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satisfaction showed average scores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Second,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e and education mad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cognizing professionalism, and this is assumed to be greatly related to job career and promo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that makes a meaningful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the characteristic that makes a meaningful in job satisfaction is turned out to be also age and education. Third, in the job related characteristics, it is the total hour of working at the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job position that make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 workers' recognizing professionalism. Also,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s a social worker and the level of recognizing professionalism showed meaningful proportional relations.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recognizing social welfare as a profession and the level of recognizing professionalosm showed meaningful proportional relations to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ob related characteristics, that makes a meaningful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the characteristic that makes a meaningful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is turned out to be also the total hour of working at the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job position. Also,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s a social worker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showed meaningful proportional relations.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recognizing social welfare as a profession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showed meaningful proportional relations too. Fourth, the correlation factor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s r = .5729, which shows a very highly proportional relation. A regression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made after the analysis of correlation presented about 32.8%'s explanation, and it indicates that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exerts a relatively high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4 C. 연구의 제한점 5 II. 이론적 배경 6 A. 전문성 6 B. 직무만족 15 C. 직무만족의 결정 요인으로서의 전문성 19 D. 연구질문 22 III. 연구방법 24 A.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4 B. 조사도구 25 C. 분석 방법 28 IV. 연구결과 30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0 B. 전문성 인식에 관한 내용 34 C. 직무만족도에 관한 내용 46 D.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의 관계 56 V. 결론 및 제언 61 A. 결론 61 B. 제언 68 참고문헌 73 [부록] 78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652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title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중심으로-
dc.format.pagexi, 8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