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7 Download: 0

문화교육으로서의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Title
문화교육으로서의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uthors
임경미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박물관교육의 문화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 국립박물관들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한국 박물관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박물관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는 문헌연구방법에 의존하였으며 부분적으로는 관찰, 면접, 전화인터뷰를 활용하였다. 문화교육은 정보사회에서 문화와 창의성이 중요해지면서 등장한 개념으로, 문화감수성 개발,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전통문화의 이해, 다른 문화에 대한 수용 능력 개발을 내용으로 하며,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해 ‘체험’적 방법이 강조된다. 문화체험공간인 박물관은 이같은 특성을 갖는 문화교육에 적합한 시설로서 박물관교육은 문화교육적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박물관교육의 문화교육적 효과는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을 교육매체 및 전시방법, 교육시기, 교육장소 및 교육대상에 따라 유형을 나누고 각 유형별로 대표적인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박물관교육의 문화교육적 가능성에 관한 고찰을 바탕으로 11개의 한국 국립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매체 및 전시방법에 있어서는 인쇄매체와 영상매체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전시실설명회(gallery talk)는 거의 외국인만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직접조작(hands-on)전시는 극히 일부에서만 시행되고 있다. 둘째, 교육장소별로 교육프로그램을 나누어 볼 때, 박물관 밖의 프로그램의 부진이 두드러진다. 국립박물관들의 관외 프로그램으로는 현장답사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교육의 기능이 강조된 외국 박물관에서 보편화된 대여 프로그램(school loan service)은 부재한 실정이다. 셋째, 교육이 이루어지는 시기에 주목하여 보면, 국립박물관은 모두 계절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주요 교육대상인 학생을 위해서는 방학기간을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전통문화 관련 프로그램은 명절 등 특정한 시기를 이용하여 운영되고 있다. 넷째, 대상별 프로그램은 다양화되어 있지 못하였다. 주로 연령별 교육대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데, 특히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은 연구된 모든 국립박물관에서 운영되고 있었다. 이는 국립박물관에서 어린이를 중요한 교육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뜻한다. 그러나, 그에 비해 실제로 어린이를 위해 따로 전시공간을 마련하는 등의 어른과는 차별된 ㄱ 교육적 배려를 하는 곳은 청주박물관 외에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외국인 대상으로는 전시실설명회가 일반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며,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곳은 중앙, 민속, 청주박물관이며 교사의 문화의식 고취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외국의 교사 프로그램이 박물관을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내용으로 구성된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전반적으로 강의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박물관의 실물위주 교육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섯째, 중앙박물관을 제외한 모든 박물관의 조직에 교육부서가 없었으며, 교육계통의 전공이 아닌 교육담당자가 다른 업무와 병행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한국 국립박물관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인식은 아직 미흡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정보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문화교육이 더욱 절실해진 현 시점에서, 문화교육에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박물관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박물관 측에서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박물관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박물관 스스로 교육적 기능을 인식해야한다. 그리고, 박물관에 교육전문가(educator)를 두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평가를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학교교육과의 연계를 위하여 교사용 프로그램과 대여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된다. 이를 위해서는 박물관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 양성과정에 박물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objectives of my study are to explore the culture-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education and to show the vision of museum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investigation into actual status of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n National Museums. The data are mainl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artially on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telephone interviews The contents of culture-education are the training of cultural sensibility,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for their own cultural identity and the receptive capacity toward the different cultures, in which the method emphasizing on the 'experience' is important. The museum i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institutions for the culture-education and the museum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culture-education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case study on the educational programs in eleven Korean National Museum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educational media and exhibition methods are print media and audio-visual media. The gallery talks are exclusively offered for the foreigners and only a few hands-on exhibitions are provided. Second, in terms of places, th outside program is limited to the field trip. The school loan services which stress the educational function in the general foreign museums are not founded. Third, in terms of time, every national museum runs seasonal programs. The students-target-programs ar provided during the vacation and traditional-culture-related programs are offered in the national holidays and special period. Forth, the more diverse programs according to target are needed. Even though all museums offer children's programs, only Chung-ju National Museum runs the special exhibition for children. Fifth, the lecture-oriented programs diminish the advantage of museum education showing the real objects. Lastly, except in the National Central Museum of Korea, the department of education does not exist. The people in charge of education who do not major the education carry out the education programs and the other duties side by sid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function of National Museums is not yet acknowledged in Korea. To develop the museum education, they should employ the experts as the educators who cultivate, manage and estimate the educational programs. Especially, teacher programs and school loan services which are related with the schoo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Most of all, the new policy of government to support the museum education is required, in which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museum should be focused on during the training of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