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4 Download: 0

특수학급아동을 위한 사회적응훈련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특수학급아동을 위한 사회적응훈련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uthors
김경미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일반교육현장에 통합된 장애아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사회·정서적 일탈과 사회부적응 등의 문제들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장애아들은 교육현장에서 비장애 또래들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고, 이들의 결함은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이후의 개인적인 삶을 성공적으로 꾸려나가는데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장애아들이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으로 기능하고 실질적인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사회적응 능력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훈련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장애로 인한 부적응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들은 극히 일부에서만 진행되고 있어 특수학급아동들은 서비스의 공백상태에 놓여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인 개입이 보완된다면 장애아동들의 효과적인 학교적응 및 사회적응력을 향상하여 사회통합으로 이어지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아동의 사회적응능력을 향상시켜 이들의 사회통합을 돕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는 복지관 내 특수학급아동을 위한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보다 바람직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특수학급아동을 위한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 소재 복지관 24곳을 파악하였고, 그 중 22개 복지관의 프로그램 담당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전화 및 기관 방문을 통한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 운영은 대부분 사회복지사가 담당하고 있으나 담당자들이 프로그램에 관련된 훈련이나 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지 못하여 프로그램 진행에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대상은 학년별로는 초등학생이, 장애유형별로는 정신지체와 정서장애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프로그램의 실시 기간이나 횟수, 담당자의 수가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기에 미흡하여 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의 평가는 대부분의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내용에 있어서 객관적인 검사도구나 평가틀을 사용하는 곳이 적었고 프로그램의 계획과 진행, 평가를 담당자가 전담하는 곳이 많아 담당자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과 가정과의 연계는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교와의 연계는 낮은 수준을 보여 학교와의 적극적인 연계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였다. 다섯째, 대부분의 기관이 거리상의 접근성이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고, 접근성 확보를 위한 서비스의 내용도 부족하여 아동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 담당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과 보수교육의 의무화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표준화 작업과 평가도구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활발한 조사, 연구가 뒤따라야 하겠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기관과 대상의 확대가 요구된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대상 수는 특수학급에 입급하고 있는 아동 수에 현저히 미흡한 수준이고 대상 학년도 초등학생에 집중되어 있어 시정이 요구된다. 넷째, 특수교육관련 전문가나 전문기관과의 협력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사회복지를 전공한 담당자가 장애아동에 대한 모든 지식을 담보하기 어려우므로 사회복지사와 특수교사가 팀을 이루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특수교육 기관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다섯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복지관과 지역사회 자원과의 적극적인 연계가 요구된다.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적극적인 프로그램 홍보와 간담회, 방문 들을 통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상호 정보교환을 통하여 아동에게 적절한 사회적은 환경의 제공과 다양한 사회적응 방법의 모색이필요하다 여섯째, 장애아동의 사회적 발달과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이들의 사회 작용의 대상이 되는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적 태도 형성을 위한 장애인식 개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일곱째, 학교사회사업을 활용한 프로그램 대상의 적극적인 발굴 작업을 통해서 장애아동에 대한 능동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프로그램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고, 구체적인 프로그램별 효과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문제의 원인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제한점을 갖는다.;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 of social adaptation enhancement program for special classes for the education of physically or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practiced by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ropes for tasks and improving plans for activating an effective social adaptation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it. I took an interview survey with the subject of 22 welfare centers that practice social adaptation enhancement program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on the phone or through visiting. Using SPSS PC+ program, I analyzed general trends of answers to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and used descriptive contents analysis after grasping priority order following item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people in charge of the program have difficulties in securing expertise in the program or not overburdening work. Second, social adaptation enhancement programs practiced by welfare centers are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time or frequency of practicing the program is short. Also, the number of instructors is small compared to the number of children which makes them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Third, most of centers evaluate programs and children, but few of them have objective test tools. Fourth, connection between centers and home are made, but not much with school. Fifth, centers practicing the program are too far for children to independently participate in it,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lacks access, based on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written above, I'd like to make a few suggestions. First, we need to develop and distribute a systematic and specialized program for the people in charge of a social adaptation enhancement program to secure expertise and make education related to it compulsory. Second, there should be standardized work and assessment tools on social adaptation enhancement programs. Third, the number of centers that practice social adaptation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increased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should be expanded. Fourth, cooperation system with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specialized institutes should prepared. Since the person in charge majored in social welfare cannot secure all the knowledge of handicapped children, plans for operating a program by social welfare work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elevating the special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using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as advisor or opera색 should be groped for. Fifth, a positive liaison between social welfare center practicing the program and local society resources is needed. It is also necessary to elevate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through active publicity of the program, conference and visit, and to examine ways of providing proper social adaptation environment for children and finding various methods of adapting to society though mutual information exchanges. Sixth, to help handicapped children have social development and adjustment a program for improving recognition of the handicapped is needed to form normal children's acceptive behavior toward handicapped children. Seventh, providing positive service to handicapped children should be done through active excavating work for the program using school social work. Finally, this study had a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 results for nationwide investigation was not conducted,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each program was not made, and it has limits in that in-depth study on the reason of the problem was not perform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