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2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2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272-
dc.description.abstractThose who go from one job to another in the pursuit of the right one that suits their aptitude are easily found these days. As a variety of new jobs are being created at an unprecedented pace, it is ever more important for people to have a mature attitude toward job selection so that they can choose a career that provides for self-realization and a sense of fulfillment. When it comes to job selection, 'having a mature attitude' means an ability of making the right decision on one's career by considering one's aptitude and capability and correctly understanding value of different jobs. Mature career attitude is considered as a key concept in relation to modern women's career progression because women's career attitude not only reflects unique, individual attitudes shaped by the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they placed in, but also affects career planning, job search job adaptation and satisfaction during the course of their career progression(Luzzo 1995; Kerke 1998; Kim, Hyun-ok 1989; Lee, Gi-hak 199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ways to provide married women effective job counseling and training by looking into their level of maturity toward career. To this end, it was analyzed how maturity of gob attitude relates to individual backgrounds(educatio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whether a woman holds a gob), sex role attitude acquired through socialization and attitude toward multiple role-planning that underlies a decision to make home and have a gob simulataneously. A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married women with child, a survey was conducted on mothers residing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ho have one child or more in kindergarten,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ssues addressed and statistical tools employed in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maturity of career attitude varies on academic background of married wome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whether a married woman holds a gob or not. ANONVA and t-verification were carried out for substantiation. Seco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a married woman has a traditional or modern sex role attitude. T-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address this point. Third, varying scores in attitude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one of the real-life issues facing women who intend to juggle home making and work, explains difference in career attitude maturity. T-verification was used. Fourth,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s related to married women's attitudes toward both sex role and multiple role-planning.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ddress this point. Fifth, our of underlying elements of personal background, sex role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multiple role-planning, variables that affect married women's career attitude maturity are identified. For this purpose, each variable of personal background was set as dumm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inding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backgrou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married women and whether they hold a job or not were all related to different levels of maturity in their career attitude. More specifically, those who were more educated, had higher household income and held a job were found to have a more mature attitude toward career than women who were less educated, had lower household income and held no job. Second, married women's attitude toward sex role also affected their attitude toward career. Those with modern sex role attitude were more mature toward career than those with traditional attitude. Third, married women's attitude toward multiple role-planning was a differentiating element as well. That is to say, high scorers in this category were the ones who had mature career attitude. Maturity in job attitude varied depending on different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planning; commitment, involvement, knowledge/certainty. fourth, whil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was related to both sex role attitude and multiple role-planning attitude, it wa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multiple role-planning attitude than sex role attitude. Fifth, variable affe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found to be knowledge/certainty, commitment, involvement; sex role attitud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two million vs. over 4million W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below-high school graduates vs. those with master's degree and higher. Above finding suggests several insights into effective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married women. First, as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can play a critical role in maturing career attitude of married women, they should be more actively promoted. Second, the result of the survey found women with a job had more mature career attitude than those without one, and particularly strong in the areas of certainty, decision-making and independence out of the underlying areas that constitute mature career attitude. This finding suggests that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married women who want to get a job need to be geared toward bringing up these qualities. Third, although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at higher academic background insures more mature career attitude, it is not real in Korea. All women who have higher academic background are not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So we can assume that academic background cannot huarantee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herefore we have to find a way to join the school, labor market,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urth,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women should begin earlier on and continue over women's life time, as women learn traditionally-defined sex roles while growing up and the perception thus shaped would affect their career desire and career attitude. Fifth, as married women are likely to think too arbitrarily about jobs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should establish a system that can provide various job-related information to women. Sixth, variables most significantly affecting married women's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the ones related to an attitude toward multiple role-planning. Therefore,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should be aimed at providing realistically feasible ways for married women to carry out their roles at home and workplace simultaneously and having those ideas reflected in the policies as well. Seventh, career counseling should be linked to job education. Knowledge acquired through career counseling should provide a basis for education, which, in return, should be conducted in a way that promotes career counseling in more substantive way.;우리는 주위에서 자신의 적성에 맞지 않는 직업을 선택하여 직장을 자주 옮기는 사람들을 흔히 보게 된다. 더욱이 과거에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지업들이 최근에 생겨 나고 있기 때문에, 개개인이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 자아를 실현하고 보람을 얻을 수 있는 성숙한 태도를 가지고 올바른 직업선택을 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진로태도 성숙’ 은, 한 개인이 진로를 결정하기 전에 자신의 적성, 능력, 그리고 전반적인 일의 가치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함으로써 진로에 대한 바른 선택과 결정을 하도록 하는 태도의 성숙 정도를 의미하는데, 특히 현대여성의 진로발달과 관련하여 중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왜냐하면 여성의 진로태도 성숙은 여성이 처한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형성되는 개별적이고 독특한 태도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며, 여성이 가지고 있는 진로태도의 성숙 정도는 진로발달 과정에서 진로 계획과 탐색 뿐만 아니라 진로 적응 및 만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Luzzo 1995; Kerka 1998; 김현옥 1989; 이기학 1997). 이 연구는 기혼 여성의 진로태도 성숙도를 설명하고, 나아가 기혼여성들에게 효율적인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인적 배경(학력, 월평균 가족수입, 직업의 유무), 사회화를 통하여 학습한 성역할태도, 그리고 진로와 가정을 병행하고자 할 때 기초가 되는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가 ‘진로태도 성숙’ 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기혼 유자녀 여성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자녀를 가진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와 통계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의 학력, 가정의 월평균 수입, 그리고 기혼여성이 현재 직업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진로태도의 성숙도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차이의 유무는 분산분석(ANONVA)과 t-검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기혼여성이 학습한 성역할태도의 근대성과 전통성에 따라 진로태도 성숙도에 차이가 있다. 이 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기혼여성이 진로와 가정을 병행하고자 할 때 부딪히게 되는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 점수의 높낮이에 따라 진로태도 성숙도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기혼여성이 학습한 성역할태도 및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와 진로태도 성숙이 관계가 있다. 이 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기혼여성의 진로태도 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개인적 배경, 성역할태도,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 중에서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개인적 배경의 각 변인을 더미변수(dummy)화 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혼여성들의 응답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섯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기혼여성의 학력, 월평균 가족수입, 그리고 직업의 유무에 따라 진로태도 성숙에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면,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족수입이 많을수록 진로태도가 성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이 있는 기혼여성들의 진로태도가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는 기혼여성에 비하여 더 성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여성의 성역할태도에 따라 진로태도 성숙에 차이가 있다. 근대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진 기혼여성이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진 여성에 비하여 진로태도가 더 성숙하여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다. 셋째, 기혼여성의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에 따라 진로태도 성숙에 차이가 있다. 다중역할계획에 대하여 높은 점수를 받은 기혼여성이 더 진로태도가 성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에는 몰입, 개입, 지식/확신성에 따라 진로태도의 성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태도 성숙과 성역할태도 및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간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성역할태도에 비하여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가 더 상관이 높았다. 다섯째, 진로태도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지식/확신성, 몰입, 개입, 성역할태도와 200만원 대비 400만원 이상의 월평균 가족수입, 그리고 고졸이하 대비 대학원졸 이상의 학력이며, 이러한 변인들은 진로태도 성숙의 약 38%를 설명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은 기혼여성들의 진로태도를 성숙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 때문에,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의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 결과를 통해 직업을 가진 여성들은 직업을 가지지 않은 여성들에 비하여 진로태도가 성숙한데, 특히 진로태도 성숙의 하위영역 가운데 확신성, 결정성, 독립성에서 더 성숙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취업을 원하는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은 이러한 태도를 함양시키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기혼여성들의 학력이 높을수록 진로태도가 성숙하다는 결과가 나왔으나, 한국에서는 학력이 높은 여성들의 취업률은 별로 높지 않다. 결국 노동시장에서 볼 때, 학력의 높낮이에 따라 취업에는 차이가 없으며, 학력이 기혼여성들의 진로태도 성숙을 보장할 수 있는지도 확실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혼여성들을 위한 진로교육 및 상담은 정규교육, 노동시장, 평생교육기관을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과 교육은 일찍 시작하고 평생에 걸쳐서 계속 돼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여성들은 어렸을 때부터 성장과정 중에서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학습하게 되고 학습한 성역할태도는 여성의 진로포부나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다섯째, 기혼여성들은 정보의 부족 때문에 직업에 대하여 구체적이지 못한 생각을 가지기 쉽다. 따라서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은 여성을 위한 다양한 직업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연구의 결과 기혼여성의 진로태도 성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은 기혼여성들의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성향을 파악하여 진로와 가정에서의 역할을 현실적으로 병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야 하며, 나아가 여성들이 느끼는 다중역할에 대한 책임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정책에 반영시켜야 할 것이다. 일곱째,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의 연계이다. 다시 말하면, 진로상담을 통하여 얻은 지식은 진로교육의 기초가 되어야 하고, 진로교육을 통하여 진로상담이 더욱 활성화되고 내실있게 발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4 C. 용어의 정의 7 II. 이론적 배경 10 A. 여성의 진로발달 이론 10 1. 초기의 이론 10 2. 이론의 발전 12 3. 최근 이론의 동향 16 B. 진로태도 성숙 17 1. 진로태도 성숙의 개념 17 2. 진로태도 성숙에 대한 이론 19 C. 여성의 진로태도 성숙과 관련된 변인 26 1. 개인적 배경 29 2. 성역할태도 32 3.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 37 III. 연구의 방법 43 A. 조사대상 43 B. 조사도구 44 1.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44 2. 개인적 배경 45 3. 성역할태도 45 4.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 46 5. 진로태도 47 C. 분석방법 47 D. 변인의 조작적 정의 48 1. 성역할태도 48 2.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 48 3. 진로태도 성숙 51 IV. 연구 결과 54 A. 개인배경별 진로태도 성숙의 차이 54 1. 학력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의 차이 54 2. 월평균 가족수입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의 차이 58 3. 직업의 유무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의 차이 64 B. 성역할태도 및 다중역할태도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의 차이 66 1. 성역할태도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의 차이 66 2.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의 차이 68 C. 진로태도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77 1. 성역할태도,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와 진로태도 성숙과의 상관분석 77 2. 개인적 배경, 성역할태도,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와 진로태도 성숙과의 회귀 분석 79 V. 결론 및 제언 83 A. 결론 83 1. 기혼여성의 개인적 배경과 진로태도 성숙 84 2. 기혼여성의 성역할태도와 진로태도 성숙 85 3. 기혼여성의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와 진로태도 성숙 86 4. 기혼여성의 성역할태도 및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와 진로태도 성숙간의 상관 87 5. 기혼여성의 진로태도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87 B. 제언 89 VI. 참고문헌 93 [부록] 109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098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title기혼여성의 진로태도 성숙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1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