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광자-
dc.creator김광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3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2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어서 연초재배가 시작된 이래 재배영역이 한국의자연적, 문화적 환경 하에서 어떻게 지역적으로 형성되어 왔으며, 그리고 장엽지역의 탁월한 한 부분으로서 인지될 만큼 형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지리적 접근법에 따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해결코저 하는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즉 연초재배의 보급과 이의 공간적 확산과정에 대한 문제, 1900~1960년대의 재배지역의 분포상태와 형성과정에 대한 문제, 그리고 1960년대 이후의 집중재배지역의 형성과 그 특성에 대한 문제점 등으로 나누어 연구하고자 한다. 위의 문제점들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통계자료의 분석, 현지답사 등에 의한 조사분석을 위주로 하였으며 귀납적 접근법에 의하여 주어진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시도하였다. 또한 연초재지역의 설정에는 동질지역(Uniform Region 또는 Homogeneous Region)의 개념을 적용하여 구체화 하였다. Region(지역)의 정의에 대한 지리학자들의 의견이 모두 일치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지역은 조사자 나름의 합리적 기준에 의해 선택된 변수를 적용하여 이미 있는 형태의 지표면을 일정크기의 단위로 분류하여 얻어지는 지리적 소산물이다. 그러므로 이는 지표면의 일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이 아닐 수 없다. 연초가 우리나라에 전파된 것은 이조 광해군 8년~14년간(1616년~1622년) 일본으로부터이며 그 시원지는 왜관(경북 칠곡군), 동래, □산 등지이다. 1700년대에는 진안, 삼등, 성천, 강동, 영월, 영양 등의 명엽산지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연초재배의 공간적 확산이 1700년대 이전에 그 당시의 교통로에 의하여 이루어졌음을 뜻한다. 1920년대 이전까지의 연화지역은 이조시대의 명엽산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나 1920년대 이후의 연초산지는 충북을 중심으로 새로이 형성되었다. 이는 1912년 충주지방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황색종재배의 확산이 다른 지방보다 빨랐기 때문이다. 과거에 재배하던 재래종 대신 황색종이 전국에서 재배된 것은 1960년대이며, 이전부터 연초지역은 집중 경향을 나타내는데 특히 충남북서부지역, 전북북부와 충북지역, 영양을 중심으로 한 청송, 안동지역에 집중하였다. 1970년 이후 충남북서부지역, 전북북부와 충북지역의 연초집중율은 저하한 반면에 영양을 비롯한 청송, 안동 지역에서는 연초재배가 더욱 집중하였다. 또한 고창, 영광, 무안 등의 해안지역에 연초집중지역이 형성되었다. 영양을 비롯한 청송, 안동 등지에 연초재배가 집중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사료된다. 즉 이들 지역은 산간지대에 위치하며 대소비지인 서울, 부산 등과 멀리 떨어져 있어 연초 이외의 상품 작물의 판매에 있어서 다른 지역과의 경쟁에 불과하므로 가격과 판로가 안정된 연초재배를 함으로써 농업경영의 이윤을 최대로 할 수 있다는 오래 기간 누적된 Farming Mentality의 발달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겠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연초재배지역은 당시에 따라 그 재배의 집중지역이 달리 발달하여 왔으며 특히 품종, 전매정책, 농업기술의 발달과 경사지의 개간 등이 크게 그 입지를 좌우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물재배의 국지화(Localized) 현상이 계속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같은 연초재배지역의 탁월성에 대한 인식은 한국농업지역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리라고 믿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he tobacco farming region has been geographically formed under the Korean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nd to examine whether it can be recognized as a major part of agricultural regions. The questions asked in this study are associated with the spatial diffusion of tobacco cultivation, Patterns and processes of its iarming region from 1900 to 1960,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ncentrated fanning area since 1960, The study is inductively approached and most data used are collected from old records and field works. The tobacco farming region is deriv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the uniform region. Tobacco was introduced through Japan during the years of Kwang Hae Kun (1616-1622). According to the old records, three places-Waekwan, Dongrae, and Ulsan-are identified as the first tobacco raising areas, In the 1700's the well-known tobacco farming places were scattered all around the nation like Jinan, Sair.deung, Seongcheon, Gangdcng, Yeongweol and Yeongyang. This distribution pattern suggests that tooacco farming in Korea has been spatially along main traffic routes beiore the 1700's. Before the 1920's the pattern of the tobacco region was relatively static. But since the 1920's, it has shown a pattern of concentration in Choong ouk province, where the new high productive yellow tobacco has been introduced. It was not until the 1960's that the yellow tobacco came to be cultivated all over the country instead of the native tabacco. In the 1960's, the tobacco farming region tended to be concentrated and localized in north-western Ghoongnam, northern Cheon buk, Choo-ngbuk, and Kyeongbuk including Cheongsong, Andong, and Yeongyarg. Since 1970, it has declined in some former major cultivated areas in terms of its intorsity in density, while there have appeared highly concentrated areas in Cheong song and Andong, centered around Yeongyang. There has emerged also a secondary major concentrated area in coastal such as Kochang, Yeongkwang and Booan. The appearance of the Yeongyang tobacco area as the most important core reg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at first this area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in competition with other places for selling cash crops besides tobacco, because it is located in mountain zone and are far froia the major metropolis, Seoul and Pusan. Thus has been formed the faming mentality that agricultural management nakes the most profit on farming tobacco because tobacco is stable in price and selling routes. As a result of this longstanding belief, these areas (Yeong yang, Cheong song and Andong) have developed into tobacco-concentrated regions. Finally, tobacco-concentrated regions of Korea have changed through time. The factors affecting this change have been the kind of tobacco, the monopoly system, agricultural techniques and the expansion of arable land through the clearing of the slope. In conclusion,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localized and concentrated patterns of tobacco cultivation are geographically typical. Thus, the recognition ol' tobacco farming region is important to understanding the agricultural region of Korea as a who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 및 자료 3 C. 연초재배지역 설정의 의의 6 Ⅱ. 연초재배의 입지조건과 한계 14 Ⅲ. 이조시대의 연초도입과 재배 19 A. 연초의 전파 19 B. 이조시대의 연초재배 22 Ⅳ. 연초지역의 변천 35 A. 연초재배지역의 분포 35 B. 연초집중지역의 분포 44 Ⅴ. 연초재배지역의 특성 58 A. 영양군 석보면의 연초재배 58 B. 연초지역의 경관 64 Ⅵ. 결 론 76 참고문헌 79 영문초록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589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연초재배지역의 지리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7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