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1 Download: 0

한국가면극과 동양연극의 비교연구

Title
한국가면극과 동양연극의 비교연구
Authors
명인서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까지 한국가면극에 대한 연구가 상당한 성과를 가져왔고 가면극을 하나의 연극으로 미학적 차원으로 올려놓는데 성공을 하였다. 그러나 가장 가까이에 있는 일본, 중국의 전통극은 별로 알려져 있지도 않고 특히 한국 가면극과의 비교연구는 그 분야가 개척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동양 전통극이 서구 근대극과 비교되는 특성으로, 완결된 episode의 연결, 춤과 음악의 기능, 사실주의에 위배되는 무대장치, 상징적 표현, 양식화된 연기, 가면의 사용, 노출된 악사, 소외효과 등이 있다. 그러나 이 동양전통극도 그것이 발달한 각 나라에 따라서 각각 다른 양상을 띄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가면극을 일본 중국의 전통극과 비교하여 공통점 및 차이점을 통해 우리 전통극의 고유성을 규명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장, 단점과 한국가면극의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첫째로, 형성과정에 있어 기원과 역사적 배경에 관해, 기원에서는 제의에 앞서는 개념 즉 신화적인 것부터 고대제의의 형식, 그것이 부락제에 이어지는 형태를 특히 집단성에 유의하여 일본, 중국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신화적인 것은 고대제의를 거쳐 부락제로 이어지고 있으나 가면극에서는 그 기본적인 무가의 이야기성을 전승하지 않고 그 여흥인 춤(무) 만이 전승되었다. 가면극의 대사는 mime과 함께 즉흥적인 것이지 서사성을 갖지 않는다. 반대로 일본연극은 그 주체가 무에 있는데도 그것이 예능화하면서 오히려 이야기적 성격을 띄게 되고 무는 그대로 남아서 가무극의 성격을 띄게 된다. 중국연극은 주체가 신화성과 무에 동시에 작용하고 있으므로 예능화의 길에서 이야기적 성격을 띄고 무는 유희적, 오락적으로 발달하여 서사적 가무극의 성격을 띄게 된다. 역사적 배경에서는 지배계급의 보호와 육성아래 발전되어 왕족 귀족 가문의 사랑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 일본, 중국의 전통극과는 달리 우리 전통극은 누구의 눈에도 들 필요 없이 오직 민중의 성장된 모습만을 자유롭게 반영하는 현실인식의 극이 되었다. 둘째로 (1) 극의 구성과 공연형식상의 특징은 극의 구성에서 일본 전통극은, 서, 파, 급의 완벽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중국 전통극이 서사적 구성을 가지나 한국가면극은 주제별로 된 몇 개의 드라머가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된 것이고, 또 극의 도입부, 극중 장소와 공연장소의 일치, 동시적 진행을 보이는 비형식적인 특징이 있다. (2) 춤과 음악이 서구의 연극처럼 보조적 수단이 아니고 독자적 가무의 세계를 보인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한국가면극은 배우가 춤과 음악의 initiative를 쥐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3) 사실주의를 거부하는 무대의 구조, 상징적 표현과 양식화된 연기, 가면과 의상, 노출된 악사 등이 소외효과를 가져온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중국연극이 다양한 convention을 가졌고 일본연극이 의식적이고 경건한 것에 비해 한국가면극의 자유롭고 비형식적인 특징은 서민의 것이었던 「놀이정신」을 그 시대적 상황에 맞게 희극적 과장과 풍자로 자기표현을 얻은 것이다. 또 소외효과를 산출한다는 점에서 같으나 일본, 중국의 전통극이 소외효과의결과 단지 즐거운 상상력을 만들어 주지만 한국 가면극은 이것을 너머선 현실 인식의 극이다. 현실인식의 극이라는 점에서 Brecht의 서사극과 같으나 서사극과는 달리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자연적인 것이며, 지적 인식작업이 아니라 직관적 인식작업이며 개인적이 아니라 집단적이고 문제를 관객에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해소, 향유하는 것이다. (4) 무대의 구조와 춤과 음악이 빈번히 나오는 동양 전통극은 서구 근대극과는 달리 관객의 자연스러운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일본, 중국의 관객이 코러스를 통한 간접적 참여나 단지 반응을 보이는 것과는 달리 한국 가면극의 관객은 극에 직접 참여하여 등장인물의 상대역을 하는 등 적극적인 참여를 보이고 있고 이러한 참여적 태도는 악사의 관중적 역할과 함께 한국가면극을 현실인식의 realism극이게 한다. (5) 대본의 경우 일본, 중국의 대본이 뛰어난 개인의 창작으로 레파토리가 다양하고 여운있고 시적인 대사를 구사한 것에 반해 한국가면극은 민중들의 무의식적인 공동창작이었으므로 대본은 오직 하나이고 속되고 생동감 있는 언어로 강한 공감을 준다. 마지막으로 한국가면극의 발전에 관한 문제는, 가면극이 그 자체의 연극미학으로 완성된 단계가 아니라하여 그 안에 있는 굿의 잔재를 청산하는 것이 발전이라는 견해에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하겠다. 왜냐하면 발전이란 예술성과 사회성을 함께 확충시키는 일인데, 민중자신의 문화를 그들과 유리시켜 고급화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가면극이 민주예술로서의 민주성과 현실대응력을 확충시키기 위한 발전은 새로운 사회상을 반영하고 집단 창조의 실험정신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형식적인 유사성에 집착하여 온 가면극의 계승, 발전은 모두 실패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외면적 유사성을 서구연극에 접목, 이식한 것이기 때문이며 참다운 계승, 발전은 외면적 유사성이 아닌 그 안에 담겨있는 얼을 중요시해야 함은 재언할 필요가 없는 사실이다.;The study of Korean Mask Dance Drama has been pursued by many scholars up to the present, and their efforts have brought remarkable academic results In this field. The comparative study, however, of Korean drama and other oriental theaters has not heretofore been attempted. Such comparative study promises to be rewarding, for despite certain common features shared by Chinese, Japanese, and Korean traditional theaters, each of the dramatic traditions possesses unique characteristics of its ow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Japanese and Korean drama are rooted in the origins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respective theaters. Chinese traditional theater developed. from an early tradition of legend and dance, with the dance evolving into acrobatics, and the form of the narrative developing into that of the epic theater. Japanese traditional theater originated with dance, later adding narrative; dance and narrative then developed simultaneously, to produce the singing and. dancing form of Japanese theater known today. Korean traditional theater has origins in the village festivals of the past and, like Chinese drama, finds its origins In mythology and legends. However, In the case of Korean theater, dancing rose to a position of dominance, while the narrative assumed a role of supplementary, if not minor, significance. Moreover, whereas Japanese and Chinese theater received the patronage of the government and aristocracy, Korean theater was a singular product of the commoners and unique among Oriental theaters in that respec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nese, Japanese, and Korean traditional drama are also to be found in the structure of their plays, and. the form of performance. Chinese traditional plays are of the epic theater form, with the scenes episodic in nature. Japanese dramas are more refined and complete in structure, following a basic format of exposition, development, and climax. Korean Mask Dance Drama can Perhaps be best described as having an omnibus structure, the play consisting of a series of unrelated, scenes, each more or less complete within itself. The form of performance in all three theatrical traditions tends to be dominated by dancing and singing; however the Korean actor is unique in that he holds the initiative In dancing and in music, thus acting as lead dancer and conductor. Similarities, of course, are also to be found between Chinese, Japanese and Korean drama, basically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of all, the theaters share a common rejection of realism. This rejection of realism in turn induces the alienation of the audience from the play they are watching, In the sense that the play never attempts to reach the audience on the level of reality, Chinese, Japanese, and Korean tradional theatre are also characterized by the simplicity of their stages, the often stylized methods of acting, and the symbolic use of masks. At the heart of the three theatrical traditions, however, li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irit and nature of their drama. Whereas Chinese drama possesses a wealth of theatrical conventions, and Japanese drama follows established, lines of ritual and ceremony, Korean Mask Dance Drama notably lacks such conventions and is characteristically informal in structure and language. Korean Mask Dance is the product of along gradual evolution among the common people, and therefore incorporates the unpolished, vulgar language and smacks of humor and satire. In Chinese and Japanese theater, audience opinion is voiced through the chorus, while in Korean theater, the audience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process of drama, and interacts with the actors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performance. Thus, while hundreds of the dramatic texts of Chinese and Japanese playwrights are available, Korean drama draws from one basic text: that authored by countless audiences of the past who interacted with the drama being performed before them. The vital, free, and relatively vulgar quality of the language in the Mask Dance Drama is therefore no accident, and indeed is greatly responsible for the entertaining quality of the drama. Recent attempts to modernize Korean mask drama along Western lines have failed largely because such reforms dealt only with external form and failed to take into account the essential character of the drama. The future of Korean Mask Dance Drama lies not in such superficial alterations, but in building on the tradition it has inherited, preserving essential features of the old drama, while expanding to accomodate a changed environment. For, just as Korean Mask Drama has in the past responded to the society of the times with humor and satire, and reflected the tastes of its audiences, so too must present day Korean Mask Drama remain perceptive to its society and audience, and thus remain a vital, spirited dramatic for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