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대도시 시장공간 조직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Title
대도시 시장공간 조직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Authors
이봉희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지난 수 십년간 도시의 확장과 도시내부의 전문화된 토지이용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대도시지역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대도시지역의 사회, 경제적 특징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또한 지리학적인 면에서 도시는 공간적인 측면에서 연구되며, 최근에는 도시의 내부공간조직에 관한 것이 주요관심사로 대두되었다. 특히 도시지리학에서는 상업 활동의 공간구조로서 도시내부를 파악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 연구에 의하면 도시 상업 활동은 크게 핵형(nucleation), 선형(Ribbon)으로 구분할 수 있고, 중심지 이론을 적용하여 그 계층구조를 밝히고 있다. 또한 상권분석, 소비자 행동분석 등에 의해서 도시의 상업공간조직을 파악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도시의 상업 활동은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 행해지지만 그 영향력은 도시내부구조 형성에 크게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 활동 체제에 의해 대도시의 내부공간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상업 활동의 역사가 가장 오랜 서울을 연구지역으로 택하여 전통적인 상업 활동 체제인 시장의 분포 패턴을 통해 도시내부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대상인 시장은 상업 활동 체제에 있어서 핵형에 속하며, 전국 도, 소비자 판매액의 70%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 상업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중요한 유통기관이다. 또한 인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인구증가에 따른 도시공간의 변화를 시장의 분포 패턴에 의한 도시내부구조상의 구조적 특색으로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의 분포패턴으로서 도시내부공간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즉 시장의 분포밀도, 지역별 도소매업 분포와의 관련성, 시장들 간의 최근접평균거리 측정, 시장분석패턴에 있어서 지역별 집산도, 시장규모와 지가에 의한 상업지역의 계층구조 등에 대한 문제를 연구하였다. 위의 문제들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통계자료의 분석, 현지답사 등에 의한 조사 분석을 위주로 하였으며, 귀납적 접근법에 의하여 주어진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시도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도시 내에 시장은 유통과정의 편리를 위해 접근성이 높은 도로변에 입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분포형태는 약간의 집중경향을 띠고 있다. 그러나 각 도시지역내의 특성에 따라 그 분포형태는 상이하였다. 서울시 시장들의 규모에 따른 계층별 분포형태는 중심지 이론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즉 제1차 계층의 시장들은 이론에 의하면 분산형태로도 나타나야 하나 서울의 경우, 중구에 거의 완전집중형태로 분포하고 있고, 제2차 계층은 각 구의 상업중심지에 분산분포하고 있으며, 제3차 계층은 주택지역에 Random한 분포형태를 하고 있다. 지가와 시장규모에 따른 서울시의 상업지역의 계층구조는 제1차 계층은 명동~남대문지역, 제2차 계층은 광화문~을지로~종로~동대문 지역으로 C B D에 해당되는 지역이고 제3차 계층은 청량리, 영천, 신촌, 영등포, 잠실 등으로 도시내외 Regional Center의 역할을 하는 지역이며, 제4차 계층지역은 Community Center의 역할을 하는 행당동, 길음동, 미아동, 연희동, 동자동, 흑석동, 천호동, 화양동, 한남동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서 서울의 시장공간조직에 대한 확인을 하였다. 이와 같이 상업활동체제에 의해 도시내부구조를 인식하는 방법은 도시를 지리학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리라 믿는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eoul's retail market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market growth and the increase of population, locational tendency, the relationship with urban growth, distance and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market size and land value.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very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markets and the increase of population (r= 0.87). It means that the growth of markets in number has followed by the spatial expunsion of population, 2) The Markets in Seoul tend to be located along the main streets which have provide the most accessible locations. 3)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rkets depends upon the history of market, the function of the reg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Also, a difference between the old residential area and new developed one is greatly affecting the size number, and kinds of markets. 4) The nearest distance between markets in Seoul is 565 meters and the spatial pattern af the market shows the clustered form according to the Nearestneighbor analyis with index value 0.76. 5) The hierarchy of markets in Seoul can be grouped in 3 levels according to their sizes. Most markets at the upper level are closely located throughout the Jung-Ku with a complete cluster pattern. While market centers of the middle level are equally distributed in each regional center, Ku unit, the lower level of markets are located at the residential sections with a random pattern. 6) However, the hierarchy of market terms of commercial land value turns out four different levels of spatial organization. / Such pattern of hierarchical structure reflects largely urban centratlity, land use pattern, and accessibility toward the center of the 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