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정진-
dc.creator신정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0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1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81-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이 날로 새로워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실 그간 해방이후 급작이 불어닥친 서구문화의 유입과 이에 대한 비판이나, 이를 수용할 여유있는 입장이 못되었기 때문에 전통문화를 재인식하려는 기회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우리의 국력이 신장되고, 따라서 모든 분야에서 우리의 것을 다시한번 되새기고 정리할 수 있는 분위기가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때에 우리의 전통건축의 난천을 연구한다는 것은 자못 의의있는 일이라 아니 할 수 없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이 현존하는 사대궁의 난천이며, 궁궐건축은 어느 나라나,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가장 훌륭하게 조영하는 것을 생각하면 금번 이 연구가 한국건축난천의 정수를 연구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한국건축에서 난천이 언제부터, 어떻게, 어떠한 형태로 발생하였는 가를 밝히고, 또한 그것에 나타난 난천의 종류, 그 구조 및 의장 등등의 제문제를 연구하여 한국건축이 가지는 특성을 찾아 내고저 한다. 그리고 그것이 한국건축 공간구성에 어떠한 위치를 가지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를 밝혀 보았다. 궁궐건축에 있어 난천이 사용된 건축물은 전각, 정자, 누, 계단, 보좌, 교 등이다. 이들 난천들을 조사, 실측하여 공통점을 찾고, 난천의 구조방법, 양식, 구성재료, 장식문양, 기타 등등을 연구한 결과, 조선시대의 건축은 목구조로 일관되어 왔기 때문에 그 일부인 난천 역시 목조난천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목조난천의 구성양식은 아자형과 계자형의 난천이 많았고, 전자는 단순하면서도 아기자기한 직선적 구성으로, 후자는 매우 정교한 장식과 입체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조난천은 화강석을 재료로 8각회난석에 하엽동자주를 세우고, 엄지기둥의 법수에는 수두형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석교나 석계단에 이들 난천이 설치되고, 또 전각의 기단부에도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철조난천은 이조 말기에 서양문물이 도입된 후, 고종황제 때에 건축되었다고 하는 덕수궁의 「정관헌」에서 비로소 양식화 된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었다. 한국난천의 각부재 간의 연결방법은 대부분이 장부맞춤이고, 보조철물은 철엽, 새발장식, 국화철, 못을 사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조선시대의 난천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상당한 수준의 난천건축이 조영되었었고, 이것에서부터 발달되어온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은 대부분 기능적인 면과 장식적인 면을 양립하고 있지만, 특수한 용도에서는 보다 더 장식적인 면을 치중했다는 것을 알 수 가 있다. 즉 확언하면 이 난천이 부착된 건축물은 이 난천과 더불어 한층 더 조형적으로 풍부한 시각적인 한 요소를 더하게 되며 이로서 더 한층 건축물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 주는 것이었다. 한국건축에서 난천이 차지하는 조형적인 특징은 한국 사람들의 세련된 곡선과 직선의 미적 감상을 한국조형예술의 대칭적인 선과 형의 아름다움으로 바꾸었다는데 있으며, 세부장식은 적당히 세밀하게 다루어 다양하고 변화가 있다고 하는데, 또한 그 특징을 볼 수 있다. 이로서 한국의 은은한 정취를 잘 나타내 주고 중후하면서도 쾌적한 맛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Till up-to-date, it's hard for Korean people to have a chance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lthough that there ie rapid growth in understanding it in Korea,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is situation. Among these reasons, the most essential one is that we, Korean were not ready to receive the flood of' the western culture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But the expansion of national power brings out a stmosphere of self-recognition in every fields recently. In this atmosphere, it seemed worthy to study the handrails of our traditional structures. In my thesis, I choose the handrails of four remained palaces as the objects of my study; Duck-Soo Palaco, Gyuong-Pok Palace, Chang-gyuong-won Palace, and secret garden.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alace, we can see the essence of tho whole structure, because that the palace structure demanded the best in all ages and countries. Throughout my thesis, I study the origin of the handrail and its development in Korean structure. At the same time, I classify the handrail by design and pattern, and I show the role of the handrail in Korean structure's spacial constitution finally. The handrail was used in the Imperial Palaco, the arbour, the look-out tower, the king's throne, and the bridge etc. Most of these structures are made of wood, so the wood handrails as a part of these are in general. The wood handrail can be classified in two styles; letter "a" (亞) style, and letter "ke" (鷄) style . The former composed of straight lines which looks simpl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contairs the elaborated decoration which gives solid beauty. There are also the stone handrails made of granite, These granite handrails are set up as a part of the stone bridge and stone stairs. The basic level of the Imperial lalace also needs the stone handrail, too. We can find the handrail made of iron. We supposed that the iron handrail was imported with the western culture's overflowing at the end of Yi Dynasty. But the time to root the iron handrail into Korean handrail structure, is to the "Jeoung-Gwan-Hyeun" buidling of Ducksoo Palace by Emperor Go-Jong. In the structures of three countries period, we can find the high quality handrails. Therefore we suppose that the handrail of Yi Dynasty was developed from that. Handrails play not only functional part but embellished part. In special use, the embellished part is oftenly emphasized. more. In other words, the structures take visual effect moro with handrail, so the structures look more beautiful.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handrail in Korean structure is found in the changing the sense of the. lineal and curve beauty into the symmetrical line, and is found in the variety of the high qualified details. By these characteristics, the handrails take part of Koreans structure's beauty; that are, latentness, courtesy and sincer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1.2.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2. 난간의 발생과 그 어원 3 2.1. 난간의 발생 3 2.2. 난간의 어원 3 3.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난간 6 3.1.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 6 3.2. 고려시대 16 4. 조선시대의 난간 24 4.1. 난간의 기본구조와 구성재료 24 4.1.1. 기본구조와 각부 명물 24 4.1.2. 구성재료 25 4.1.3. 구조방법 26 4.2. 난간의 구성양식 32 4.2.1. 목조난간 32 4.2.2. 석조난간 51 4.2.3. 결조난간 55 5. 한국난간의 특색 60 6. 결어 62 참고문헌 63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948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조선시대 궁궐건축의 난간양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7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