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미자-
dc.creator손미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0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1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82-
dc.description.abstractThere are brilliant ones like RaJean Chilgi (a kind of lacquer ware decorated with mother-of-pearl) and Whagak (the picture drawn at horn slice) and simple ones made of wood or bamboo among the furniture and the handcraft products on Yi dynasty. Among them, the bamboo furniture has peculiar beauty by the unique quality only bamboo has, and by the geometrical pattern design. The bamboo, which is one of the four men of virture, was loved by literary men from eayly times, and easy to process. A bamboo work was developed around Dam-Yang, because Southern Korea is planting suitable area. Even though the same bamboo, the felling time of bamboo is defferent according to its use. The most suitable felling time is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October to next February. And the most suitable age of felling bamboo is from 2 to 4 or 5. They trim the bamboo after felling, polish the skin or peel the skin and work upon it by coloring, NakJuk, Banjuk (to dot here and there on the bamboo skin), or dying and stick them. There are many tools through that process; Tanggae saw (a kind of saw), bamboo knife, Daesokkakki (a kind of bamboo knife), Joreumteul (a kind of knife), etc. There are three ways to polish the skin, rice-bran polish, sand polish, string polish. They make the skin more brilliant. Nakjuk is a kind ot picture that is drawn by a kind of small hot iron. That picture has no base picture so the craftman works offhand and the tecnique has been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until now, The patterns are very various for example Chrysanthemum, bat, lighting flashes, 1ong life, happiness, Plum-blossoms, turtle, 乙(chinese letter), symbols of long life, landscape, Pinetree and crane, pagoda, orchid, fish, deer, frog and etc. At old time, we used the starch and glue as paste but now we use many kinds of chemical paste. There are two ways to manufacture the bamboo covered furniture. One way is to peel the bamboo skin slenderly and weave them, then to paste on the wood furniture like Satsari (a pattern of weaving the bamboo skins). The other way is to paste the bam-boo pieces directly on the wood furniture. There are two ways to paste the bamboo pieces directly; one way is to cut down both ends at right, angle to the bamboo piece and paste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e other way is to cut down both ends at an oblique angle (45˚) to the bamboo piece and join them each other (Yeonguy Buttim). There are many kinds of the bamboo covered furniture, for example; Jang (a kind of chest), Nong (a kind of chest), Takja (a kind of book case), Moongap (a kind of book chest), Seoan (a kind of desk) and small articles. They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tunction. The bamboo has a smooth curve of its own, so we can feel the charaeteristic texture by the direction of light, shadow and shade, There are many patterns on the bamboo covered furniture; geometrical pattern such as Neunghyung-moon (a diamond shape), Soojiek-moon (vertical pattern), Soopyung-moon (horizontal pattern), Paja-moon, Banghyung-moon (square pattern), Bitwanja-moon (a olique fylfot), and chinese letters (鐥, good fortune, long life, wealth, health). Those pattern are very simple and easy to compose. The symbols of long life, plants pattern are used to decorate the small articles by Nakjuk. That patterns symbolize good fortune, The metallic fitting were used not only for decoration but for function. The metallic fitting patterns are used according to weaven. There are many patterns of metallic fitting and each of them is use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weaven bamboo or the pattern of pasted bamboo pieces. The patterns show us both sim-pilicity and unity and they are functional and simple shape. In this Inquiry, we can find out the brillant sagacity and simplicity of our ancestors from simple form and patterns. This can be communicated with artistic sense today and can be applied furniture design today. It seems that an inquiry into the bamboo covered furniture will make it easy to improve our dwelling and to design bamboo products better.;朝鮮時代에 쓰였던 家具나 工藝品에는 螺鈿漆器와 華角과 같은 華麗한 裝飾을 한 것과 木材나 竹材를 使用하여 만든 소박한 形態의 家具들이 있다. 이들중 竹材家具 竹材만이 지니는 독특한 質感과 幾何學的 무늬構成에 依해 特異한 아름다움을 보이고 있다. 특히 대나무는 四君子의 하나로 일찍부터 선비들의 사랑을 받은 植物로서 우리나라 中部以南이 栽培地域이며 加工하기가 쉬워 潭陽을 中心으로 竹細工藝品이 發達하였다. 대나무의 伐採는 同一한 대나무일지라도 用途와 目的에 따라 伐採時期가 다르나 대체로 伐採의 最適期는 10月 中旬에서 이듬해 2月까지 이며 伐採適齡期는 보통 2年에서 4~5年사이이다. 伐採를 한 대나무를 다듬어서 表皮에 윤을 내거나 대거죽을 깎아 그 위에 塗裝, 烙竹, 斑竹 또는 染竹의 技法으로 加工하여 接合을 하게 된다. 이러한 工程을 거치는 데에는 여러 가지 工具가 必要한데 그 種類로는 탕개톱, 대칼, 대속깎기, 조으름틀, 대틀 세로로 짜르는 틀 등이 있다. 表皮를 윤을 내는데에는 籾穀鍊磨, 砂鍊磨, 繩硏磨의 세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는 堅硬한 광택을 더욱 돋보이게 해 준다. 烙竹은 인두를 불에 달구어서 밑그림이 없이 匠人이 자유자재로 인두를 움직여 무니를 그리는 技法을 現在까지 傳承되어졌다. 烙竹에 쓰이는 무니에는 菊花, 박쥐, 雷紋, 壽, 福, 梅花, 귀소상, 龜紋, 乙字紋, 쏙새, 조이, 十長生, 山水, 松鷄, 塔, 蘭草, 鮮魚, 사슴, 大蝦등이 있다. 接着法은 옛날에는 무리풀과 阿膠가 주로 쓰였으며 現在는 여러 가지 화학풀이 쓰이고 있다. 竹竹家具의 工法은 삿자리처럼 竹皮를 가늘게 쪼개어 編竹한 것을 부착시킨 것과 또 하나는 竹片을 붙인 方法이 있다. 竹片을 붙이는 데에는 양끝을 직각으로 잘라 붙이는 垂直 또는 水平方法과 竹片의 양끝을 45°각도로 잘라 두귀가 맞 닿도록 붙이는 연귀붙임의 方法이 있다. 그 種類로는 欌, 籠, 卓子와 卓子欌, 文匣, 書案類 및 그 외 小品들이 있는데 形態로는 각각 機能에 충실하면서 대나무가 가지는 부드러운 曲線을 利用하여 빛의 方向에 따라 음영이 생겨 특이한 質感을 느끼게 한다. 이들 竹材家具에 쓰인 무늬는 菱形紋, 水直紋, 垂平紋, 色子紋, 方形紋, 빗완자문등의 幾何學 무늬와 囍, 壽福康寧 등의 竹片으로 構成하기에 용이한 비교적 단순하고 直線으로 이루어진 吉祥語紋들이 使用되었고 또 十長生이나 植物紋들은 筆筒등의 小器物에 烙竹으로 裝飾되었다. 이들 무니는 人間의 希求事項인 吉祥的인 뜻을 內包하고 있다.金具裝飾은 機能的인 要素와 裝飾的인 要素를 함께 하는데 이는 編竹 또는 竹片을 붙인 무늬에 따라 裝飾의 形態를 달리하고 있다. 使用된 무늬는 간결함과 同時에 統一性을 보이며 機能的이고 單純한 形態를 취하고 있다. 本 硏究로서 竹材家具의 단순한 形態와 簡潔한 무늬에서 우리 租上의 빛나는 銳智와 素朴함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현대의 美的感賞과도 通하며 現代의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竹材家具에 대한 연구는 보다나은 住居生活을 영위하기 위한 새로운 竹材細工品이나 일용품의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II. 죽재의 특성과 공정 5 A. 대나무(죽)의 생산과 그 성질 5 1. 대나무의 주요산지 5 2. 대나무의 재배조건 6 3. 대나무의 구조와 특징 6 4. 대나무의 종류와 용도 9 B. 죽재의 공정 14 1. 공구 14 2. 벌채와 제재 26 3. 도장 28 4. 접착 31 III. 죽재가구의 형태와 무늬 34 A. 형태 35 1. 장, 농 36 2. 탁자 및 탁자장 44 3. 문갑류 53 4. 서안류 57 5. 소품류 57 B. 무늬 80 1. 장식무늬의 유형 80 2. 금구장식 82 IV. 결론 93 참고문헌 96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4587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시대 죽재가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7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