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영희-
dc.creator최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9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1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73-
dc.description.abstract소외란 사실 서구식개념이며, 또 서양에 있어서 소외의 역사를 더듬어 올라가 보면 정신병자나, 정신적 혼란(mental disorder)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상에 있어서의 소외의식이란 원초적으로부터 하나의 운명처럼 받아 들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그의 어릴적 가족과의 별거는 그의 문학이 끊임없이 당면하여야 했던 대타관계의 와해를 예고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자기내부로의 칩거만을 고집하던 이상! 이는 30년대의 그 암울한 사회상을 생각하여 볼 때 그의 출현은 어쩌면 필연적이었는지도 모른다. 이상이 원초적으로 하나의 운명처럼 받아들였던 소외의식이 그의 소설작품「12월 12일」(1930년)과 「날개」(1936년) 그리고 「종생기」(1937년)에 이르기까지 전이되어 내려오는 과정을 Riesman의 사회적 성격과 결부시켜 살펴 보았다. 즉 전통지향적으로서의 대상작품으로는 그의 최초의 장편소설「12월 12일」을 “가족과의 단절”이라는 관점 아래에서 살펴 보았다. 그 결과「12월12일」에서는 적빈으로 인한 오해에서 <나>와 그의 가족과의 관계가 단절된데에서 나온 단순한 단절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취락단위에서부터 개인화로의 전이를 이룬 것이다. 내적지향에서는 「날개」를 대상작품으로 택하여, “도피의 순간과 self-identity에의 끊임없는 추구”라는 주제 아래에서 접근하여 보았다. 즉 개인화를 이룬 그는 거기에서 생긴 고독과 무력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도피의 방법과 자기동일화의 방법을 동시적으로 택한 것이다. 「날개」에서 <아내>는 <나>의 분신으로서 의식과 현실을 상징하는 존재이다. 따라서 무의식을 표상하고 있는 <나>와의 합일은 필연적인 것이다. 그러나 상은 그런 self-identity에의 추구를 도피의 순간에서 꾀하였기 때문에 실패하고 만 것이다. 왜냐하면 현실과 의식을 표상하고 있는 <아내>의 위치가 무의식을 표상하고 있는 <나>의 존재보다 언제나 우위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self-identity에 실패한 상의 관심은 타인에게로 향하여 진다. 타인지향형에서의 대상작품은 「종생기」이다. 여기에서는 두 번의 “속임수”가 나타나는데, 첫 번째 속임은 정희의 상에 대한 속임수이다. 이는 이상의 종생을 끝맺게 해 준다. 그러나 잔존하는 또 하나의 이상은 정희에게서 받은 복수를 세상사람들에게로 향한다. 즉 정희를 제압하여 세인들에게 자기, 이상을 경천동지의 경륜을 품은 사람으로 보이려고 하였지만 그게 실패로 돌아가자 택한 방법이 그의 인색한 맵시의 절약법이요, 또 하나는 부적응성(unconformity)이다. 즉 천재의 부적응성이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그의 괴벽과 난해성에 직결되는 것이므로 스스로를 소외된 존재로 놓는 행위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그의 소외과정을 이 세상에서 무엇이 그렇게 되어야만 할 것이 그렇지 못할 때 그것을 소외된 상태로 본 Fromm의 소외개념에 비추어 본다면 그는 자기 가족으로부터 시작해서 자기자신으로부터도, 그리고 타인으로부터도 소외된 존재임을 알 수 잇다. 왜냐하면 그러한 것들은 모두 그의 의지에 반하여 나타난 것들이기 때문이다.;Alienation is basically a western conception. When we trace the history of alienation in the west, we can find it we wed to express the disorder, psychotic are mental. And yet, I think Lee Sang was destined to feel his alienation consciousness from childhood. As a child, he had to live seperates from his family. It Bight be in anticipations, his corruption with relation to others which he had faced in this literature continuously. LEE Sang persistent If the seclustion into his own interior life. His entrance to the 1930s' literary world may have been inevitable 1 when we consider the hopeless social conditions at that time. I examined the process that the alienation consciouness Lee Sang received as his fate has been transferring down through hib prose works, that is,[Syb I Wol Syb I](1930). [Nal Gae](1936), and [Chong Saeng Gi] (1937) in relation to Riesman's social personality. Riesman's social personality consists of the traditional directedness 1 the inter directedness, and the of her directedness. I chose his first prose work, [Syb I Wol Syb I] as the subject of stud from a viewpoint of the tradetional directedness .And I examined it under the theme of the ""severance from his family"" As the result. 1 found there is a simple severance feeling roused from their reciprocal misunderstanding being founded in their indigence. That means the transfer from a settlement unit to an individual. From a viewpoint of the inter directedness, I chose [Nal Gae] as the subject of study. And I tried to approach it under the fame of ""the moment of evasion and the contious persuit for self - identity"". He who becames an individual that is choose the way of evasion and self - identify ·simultaneously to escape from the loneliness and powerlessness which roused from the process of individual location. In the work of [Nal Gae] ,<A Nae > is an existence representing the consciousness and the reality as my another self. Therefore it if natural to be united with <I > representing the unconsciousness. But tee Sang was forced to fail because he tried to pursue the self - identity in a moment of evasion. Because the status of<A Nae:> representing the consciousness and the reality is always superior to <my> existence representing the unconsciousness. And the interest of Lee Sang who failes to do self - identity leans toward others. The subject of study In the other directedness is [Chong Saeng Gi]. Here appear two ""tricks"". One is the one that Geong Hee deceives Lee Sang. This ends up Lee Sang's finishing life. But surviving nether Lee Sang takes revenge on others in stead of' giving vent to his Indignatoon to Cheong Hee. He tried to control Cheong Hee and to be revealed himself as a man with an astotutdina statecraft. But it failed. So he chose. other ways One is his stingy frugality way of handsomeness 1 another is his unconformity. That is unconformity of genius. But both of them are connected with his abstruseness and eccentri city directly .So he made himself an alienated existence. By the wavy when we examine his alienation process as this by alienation conception that when some liking ought to be so, is not, he thinks it to be in state, we can know Lee Sang was alienated from big family his own self, and others . Because all of this appeared against his wil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소외」의 문제 1 B. 30년대와 이상에 있어서의 소외 12 C.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그 범위 16 II. Riesman의 사회적 성격과 관련 시켜본 소외 과정 20 A. 전통지향(traditional directed)-「12월 12일」 20 1. 가족과의 단절 20 B. 내적지향으로의 전이 27 1. 도피의 순간과 Self-identity의 끊임없는 추구 33 C. 타인지향으로의 전이 52 1. 종생에의 귀결 53 III. 결론 58 참고문헌 60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125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상소설에 나타난 소외과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2월 12일, 날개, 종생기를 중심으로-
dc.format.page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7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