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효경-
dc.creator정효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9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1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69-
dc.description.abstract지표상의 교통현상은 인간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사회현상을 포함한다. 지리학 분야에서 교통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Ullman에 의해서 이다. 지리학에서 교통연구는 공간구조 특히 공간과 공간과의 관계를 연속작용으로서, 그것이 일정한 System과 pattern을 갖고 있는데서 근대지리학의 발달과 더불어 주목을 끌게 되었다. 1960년대 들어와 활발해진 계량지리학에서는 지표상에 일어나고 있는 교통현상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색을 구명하게 되었다. 교통현상은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인적, 물적 공간이동의 제현상이다. 따라서 교통지리학의 목적은 교통현상의 공간적(지역적) 연구에 있다. 이 연구에서의 대상지역은 우리나라에서 교통의 양적, 질적면에서 다양성이 뛰어나고 도시구조의 지역분화가 비교적 현저한 서울시를 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종점조사(Origin Destination Survey)를 통하여, 서울시 교통의 양과 질적인 공간분포의 분석을 통해 지역성을 파악하고, 도시구조와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두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1974년 2월 서울시의 위탁으로 KIST가 실시한 서울특별시 통행실태 조사보고서를 기초로 했다. 이 자료에서의 조사방법은 가정방문조사와 우편에 의한 가정조사방법을 사용했다. 또 그 외 자료로는 서울시 상주인구조사 결과보고, 전국 기업체총람, 서울시작교총람, 용도별 지역 등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분석방법은 발생교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 거리, 토지이용으로 보았다. 발생교통과 인구와의 관계를 살피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거리와 교통량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교통량분포 pattern을 분석키 위해 교통 potential을 산출하여 각지역간의 상호작용을 보았다. 그 외 교통의 지향성을 보기위해 목적별 분석을 하였다. 또 도시구조와의 관계를 보기위해 흡수되는 구체적 장소 즉 학교, 기업체, 시장, 주택지역 등을 선택하여 집중도 및 밀도를 구했다. 이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생 교통량은 대개 지역의 거주인구와 깊은 관계를 가지며, 발생교통률은 거주인구가 많은 지역에 높게 나타난다. 반면 거주인구 1인당 발생 교통률은 중심부는 높고, 외곽지역에서는 낮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발생 교통량과 거리와는 반비례의 관계를 가지므로 교통량은 중심부에서 그 탁월성을 보였다. 3. 교통의 목적은 대부분 통학과 출근이 차지하며, 이들의 발생지역은 주로 외곽의 주택지로써 그 흡수지역은 중심부와 그 인접지역에서 높았다. 4. 흡수 교통량 분석에 따른 도시 기능지역 분화의 측면을 보면, 상업 업무지역은 중심부에 형성되며 주택지역은 외곽지역에 형성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 공업지역 역시 외곽지역에 형성되며 영등포지역은 또다른 하나의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5. 학교 및 시장의 분포는 주택지역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분석에 의하면 학교의 경우는 학생의 통행과 관련되며, 시장의 경우는 주부들의 통행으로 고려하여 자연시 주택지역에서 발생흡수가 많다고 보았다. 6. 기업체 및 백화점은 상업 업무지역인 중심부와 교통 발생 흡수지역과 일치를 보였다. 기업체의 경우는 수출업체 및 외국인 투자의 증가와 관련이 되며, 필연적으로 이러한 지역분화는 교통량의 집중지역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Transportation phenomena comprise of all the changing spaial patterns created by movements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in man-environmental relationship . In this sense ,the main object of transportation geography lies on the study of spatial processes and patterns of transportation phenomena. In this paper Seoul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area. Using the origin-destination survey data , traffic patterns which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urban spatiak structure were analyzed based on the areal distribution of the traffic. The main material used was ""Report on Actual Transportation of Seoul"" reported by KIST in 1974, which was made by home visiting enquates and mail enquetes. The others were derived from ""Population Census of Seoul(1974)"" ""Total Lists of the Industries in Korea"" ,""Total Lists of Schools in Seoul"" and various maps. Three factors including population, distance and Land use were evaluated for the analysis of traffic patter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enerated trips and the population as well as between the distance and the traffic capacity, By producing the traffic potentials, transportation distribution and the regional Interaction were observed. And according to trip purposes, the direction of the traffic was analyzed. tas ly,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 with the urban structure, several specified functional areas such as the schools. the industries, the markets and the residential sections were selected. Their concentration and density were cartographically analyzed. From the above method and anai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Number of the generated trips In each district was closely related to the number of inhabitants in the district.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the generated trips per inhabitant was the greatest in the central part of Seoul and it became smaller toward the peripheries. 2. As the generated trips and the distance were related inversely, the traffic capacity was the greatest in the central part. 3. Regarding with the kind of trip purposes , most of them were for attending schools and commuting for work. Their generated districts dominated in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peripheries and the pulled districts tended to lie high in the central part. 4. In a capacity analysis of pulled trips, It identified that the capacity pattern of commercial district dominated in the central part while the residential pattern concentrated In the peripheries. The industrial pattern also occurred In the Youngdeungpo where is a hub of industry. 5. The distributions of schools and markets were closely related tn the residential area. As the trips for attending schools were related to the commuting of the students and the trip for markets to the shopping of the housewives, both generated and pulled tripls were originated in the residential area. 6. The distribution of various enterprises and the department stores coincided with the commerial district in the central part in terms of both generated and pulled trips. Irn the case of the enterprises the trips showed the close relations with the increase of export trades and foreign investments. Such localization of traffic pattern virtually correspended with the concentrated area of traffic capac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연구방법 5 A. 대상지역 5 B. 조사방법 13 C. 자료 및 분석방법 14 III. 발생 교통량 분석 16 A. 인구와 발생교통량과의 관계 16 B. 거리와 발생교통량과의 관계 23 C. 발생교통량중 흡수교통량 34 D. 교통량의 목적별 지향성 분석 42 IV. 흡수 교통목적과 도시구조와의 관계 52 A. 최다 흡수교통량과 도시기능지역 52 B. 학교분포와 통학목적과 비교 55 C. 기업체분포와 출근목적과 비교 56 D. 시장 및 백화점 분포와 Shopping 목적과 비교 61 E. 주택지역과 추가목적과 비교 64 V.결론 68 참고문헌 71 영문초록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857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서울시 도시교통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7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