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옥-
dc.creator박영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9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1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9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ncient Korean poetry "Hyang-ga" which had been flowered in the period of Silla Dynasty. In studying "Hyang-ga", there have been sufficently studied in relation with Buddhism which was transmitted to the early Silla Dynasty and had been peaked in accordance with that of "Hyang-ga". On the superficial level, as many Korean scholars have shown, buddhistic elements may have been interwoven into "Hyang-ga." However, this study discloses that shamanism is deeply rooted in the soils and typically dominated the magico-religious life of the primitive society. In order to make clear that this study also expounds tha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Buddhism and its process of settlement. In this way this study shows that the early Buddhism is typically intermingled with Shamanism. Shamanism may be defined as a religious phenomenon of Siberia and Central Asia, as Mercea Eliade maintains, which the magico-religious life centers on the shaman who is believed to communicate with "the spirits" or "the gods" and to posses magical powers. In this respect, this study reveals how shamanic powers were able to be followed by singing "Hyang-ga"through the analysis of the pieces of four "Hyang-ga" which well f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고대시가인 향가를 이해하는데 있어 향가 연구가 그 자체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보편적인 문학 일반의 연구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인접 학문 즉, 신화학, 종교학, 예술론 등의 제학문을 연구방법으로 삼을 수 있다. 여기서는 배경적 연구의 한 방법으로 종교적 입장에서 향가를 고찰해 보았다. 이 방면에 관한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가 불교적인 측면에서였다. 신라시대에 불교가 성행했으므로 당연히 불교적인 색채가 나타나겠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역시 민중 속에 뿌리 박혀 있는 신앙은 원시종교로서의 무교라 볼 수 있다. 그래서 II장에서는 삼국시대의 원시종교라 할 수 있는 무교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III장에서는 불교의 전래시기와 성격 그리고 토착화 과정을 살펴 무교와의 관계를 밝혔다. 삼국시대에 우리 나라에 전래된 불교는 불교 본연의 자세가 아니라, 원시 종교와 습합되어 현세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신라시대에 불교가 전래되었으나 신라인들의 의식 속에 전통을 내리고 있는 종교는 역시 무교라 보겠다. 무교는 무를 통하여 신에게 빌어 자기들의 소원을 이룰려고 하는 원시적 축술종교로서 실생활에서 복을 부를려고 하는 것이다. 문학도 그 시대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이런 종교적인 현상이 향가에도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는 향가를 부름으로써 축술적 효험이 나타난 작품 제 수를 중심으로 분석을 하면서 어떻게 축술의 효험이 나타날 수 있었나를 살펴보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원시종교로서의 무교 5 A. 원시종교의 특징 5 B. 무교와 원시종교 9 III. 무교와 불교 14 A. 불교의 전래과정 14 B. 불교의 토착화 18 IV. 향가에 나타난 주술성 23 A. 원가 23 B. 혜성가 33 C. 도솔가 40 D. 처용가 48 V. 결론 54 참고문헌 58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770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향가의 배경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무교 사상을 중심으로-
dc.format.page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7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