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夢遊錄硏究

Title
夢遊錄硏究
Authors
김정자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몽유록은 내용이나 형식면에 있어서 소설과는 판이한 성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대체로 소설로서 간주되어 왔다. 이는 아마 몽유록이 몽자류 소설이나 당대 전기소설과 같은 일련의 소설작품들과 동일한 환몽구조를 가지고 있는데서 연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몽유록은 환몽소설, 전기체소설, 우언류, 당대전기와 동형 등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어 왔는데, 이는 단지 몽유록의 어느 부분적인 특징에 대한 호칭일 뿐이며, 몽유록 전체의 성격을 단적으로 드러내주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왜냐하면 호칭 자체가 통일되어 잇지 못하다는 것은 바로 몽유룍의 성격이 단적으로 규명되지 못하였다는 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몽유록을 소설로 보았을 때 그것이 지니고 있는 이러한 자체적인 모순에 대하여는, 이미 단편적으로 그 문제성이 지적된 바 있어, 그동안 몽유록의 성격 규명에 대한 논의가 여러번 있어 왔으나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성과에 이르지 못한 감이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그 장르적 성격에 입각한 기존연구 검토를 통하여 지금까지 몽유록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명칭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밝히고, 아울러 그 문제점으로 등장되는 몽유록의 장르적 성격 규명의 필요성에 의거하여, 몽유록과 동일한 환몽구조를 가지고 있음으로서 혼선을 빚고 있는 여러 문학형태들 중에서 각 각 몇 편씩을 선정하여 인물, 사건, plot, 서술방법, 환몽구조의 성격등을 상호 비교 연구함으로써 몽유록과 소설류의 작품들 사이에는 완전히 하나의 경계가 그어진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몽유록의 성격이 교술적 성격을 농후하게 띠고 있음을 입증하기 위해 몽유록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역사적 사실과의 관계를 밝히기로 한다. 그러면, 이조 초기에 이러한 새로운 문학형태를 출현시킨 동인은 무엇인가. 하나의 작품이 탄생되기까지에는 문학적 배경으로서의 선행 문학의 영향과 그 당시의 사회적 제상황, 그리고 이를 수용하는 작가의 태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몽유록의 출현동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러한 모든 면으로부터의 영향의 가능성을 검토해 보아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몽유록의 환몽구조적 형태는 당시 이미 널리 읽히고 있던 태평광기 소재의 여러 당대 전기소설이나 전등신화 또는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은 금오신화 등으로부터 연유하는 것이라고 본다. 또 그 교술적 성격은 고려의 가전체에서 이미 그 시험적 단계를 거친 것이며 이러한 형식적 토대가 마련된 위에 사고자 전쟁 등 사회적 제상황이 불만의 요소로 등장하여 몽유록 출현의 직접적 원인이 된 것이라고 본다. 그밖에 교술 장르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사실과의 관계다. 교술장르는 작품외적 사실이 뒷받침되지 않을 때 성립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이미 사실과의 관계가 밝혀졌거나, 또는 굳이 밣기히 않더라도 이해가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작품은 제외하고 「달천몽유록」 「대관재몽유록」「금생이문록」 등 3편에 대하여 작품과 사실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기로 한다.;Mongyurok has been regarded as a novel with its characteristic structure of fantasy and dream, compared with a romance and a series of novels of Tang dynasity, although it, has a quite different qualities from novels'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s. This provides the reason why Mongyurok has sorted as a romance, parable or story of dream, however such names could not cover all its characters, which shows that Mongyurok could not be specified in terms of one specific name. Again this provides the evidenc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ngyurok has not been clarified fully. Regarding and specifying Mongyurok as a novel has given rise to disputable self-contradic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sometimes but did not reach satisfying conclusion. For this point, this paper deals with the names applied to Mongyurok and its validity of application by discussing the qualities in terms of classified genre on the basis of discussion and studies ever presented, also deals with another forms of literature which has been often confused with Yiongyurok for its similar structure of fantasy and dream and then be attempted to show a certain boundary which would divide Mongyurok from other forms of novel, in terms of character, event, plot, way of descrip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of fantasy and dream by the comparision of examplified novel and deals also with the relation between Mongyurok and historical events deeply connected with it which would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Didaktik of Mongyurok. what in the beginning of the Lee dynasty did give birth to this new genre? Since any births of literary works are represented compositely by the influence of pre-existed literature as the literary background, social situation of the contemporary and the writer's attitude toward it, the appearance of Mongyurok should be examined from all these possible effects. Fantasy-Dream-Structured form is thought, to be developed from the romance widely read at the time of Tang dynasity, Jundeungsinwha which had much effect upon Keumosinwha.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daktik had passed through the testing period of Korea dynasty in the form of personified novel, which resulted afterwards in the basis of literary form. For this, many factors of complaints arised from the social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such as wars, domestic disturbances etc, acted directly upon the birth of Mongyurok. Most important, thing to not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s and Mongyurok, especially in Didaktik which should be supported by the facts beyond the fiction of literary work. Thus this paper shows the relationship in the three works of Talchon-Mongyurok, Taeguanje-Mongyurok and Keumsaengyimunro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