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혜원-
dc.creator정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7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3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1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393-
dc.description.abstract미래사회는 통신네트워크, 디지털 영상, 팩시밀리 등 상호 연관된 미디어를 선진화된 기술로써 하나의 시스템을 구축한 정보화 사회이다. 가상공간(cyberspace)의 형성은 현재의 물리적 공간을 대체하여, 원격근무 형태의 바탕이 되며, 그러한 업무형태의 출현은 가족 형태변화와 주거의 의미와 기능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동일한 외관, 동일한 평면형의 고정된 도시 주택선(像)은 이와 같은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우므로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주택 형식의 개발을 요구한다. 새로운 주택 형식의 개발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이 아니고, 현재의 주택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데에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주거유형의 디자인에 앞서 전통사상과 함께 미래사회의 변화양상, 그리고 과거와 현재의 주거공간의 특성과 한계를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하는 유연한 주거유형의 디자인 사례제시를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미래학자들의 미래예측에 관한 문헌과 건축가들의 주택에 관한 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사회 다각적 방향에서 미래사회구조의 변화양상을 알아보고, 현대주택의 문제점과 한계성을 제시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밝혔다. 둘째, 문제 해결을 위한 이론적 접근으로 고대사회로부터 내려오는 천부경과 역학, 음양오행사상 등에서 한국 전통문화 형성의 바탕이 되는 일원론적 세계관과 합일적, 순환적 특성을 파악하고 전통건축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셋째, 문제해결을 위한 조형적 접근으로 전통의 세계관이 가시화된 가변성, 연속성, 중심성, 다의성 등의 개념과 그 개념들이 구체화되는 원리를 문헌고찰과 한국 전통건축 사례분석을 통하여 정리함으로써 최종디자인을 위한 조형개념과 원리를 정립하였다. 넷째, 조형개념과 원리를 실제 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하여 가변적인 공간구조방식과 평면의 가변적인 구획방법, 그리고 구성요소의 가변적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디자인 과정에 들어가기 위한 기본 토대를 마련하였다. 다섯째, 단위공간으로 구성되는 결합방식과 결합된 평면 내부의 가변적인 공간구획을 연구하여, 거주자의 가족 형태와 주택 목적과 기능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는 디자인 사례를 제시하고 가변성, 연속성, 중심성, 다의성 등의 조형개념이 그 안에서 어떻게 형상화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여섯째, 단위공간의 조합으로 구성된 개개의 주호가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조합주택의 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하고, 단위공간 조직의 평가와 한계를 밝힘으로써 연구를 마감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단순한 단위공간의 조합으로 복합적인 조형성을 창출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입면 부재의 반복적 사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전체적인 통일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알게되었다. 단위공간의 조합으로 형성된 개개의 주호는 내부의 가변적인 구획 방식으로 다원적인 가족 형태와 다양한 인간 행태를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구획의 양상에 따라 가변성, 연속성, 중심성, 다의성 등의 건축 개념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사상과 개념을 도입하여 미래주거의 유형을 디자인하는 데에 의의를 지니며, 주거문화의 변화의 주택 내 가변성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The future society is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at constructed the one-system by the advanced technology through mutual related media such as the communicative network, the digital image, the facsimile, etc.. The formation of cyberspace will be the foundation of the remote service through substituting for physical space, and this emergence of service form will bring the change of family form and the meaning and function of residence. Since the fixed city residence images of identical facade and plan are hard to cope with this social change, it is requiring the development of residence types that prepares the future society. The development of new residence types is not a work to make something out of nothing, it starts form the diagnosis of the present residences's problems. So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ing to present the examples of the design of pliant residence types based on analyzing the traditional theories, the changing phase of future society and the characteristic and limitation of past and present residence space in advance to the design of future residence types. First, by considering the futurologist's documents about future predictions and architects' documents about reside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ing aspects of the future organization of society from society's multilateral directions, and by presenting the current residence's problem and limitationg shows the relevance of this study. Second, as the theoretical approach to solve problem, this study grasps the monistic world view and the unitary and circulating characteristic which background the form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e Chunbukyung, the science of Divination from ancient society, and the idea of the Male and Female principles and the Five Elements and considers the relation to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Third, as the formative approach to solve problem, this study establishes the formative concept and principle for the final design through consideration of documents and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ypes, the embodied space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Variability, the Sequentiality, the nature of Center, and the Polysemy which show the traditional worldview. Fourth, to apply the formative concept and principle to the real design, this study gives the basic foundations of design process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variable construction method, the variable division method of plane, and the variable instance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Fifth, by inquiring the variable space division of plane which united with the union method spatial unit, this study presents the design types which could vary flexibly according to the family form of inhabitant, the purpose of residence and function, and considers how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organization such as the Variability, the Continuation, and the polysemy could form in those. Sixth, this study presents the designs of model types of united residence which formed through the mutual connection with individual residences consisting of the spatial unit's unity and finished this through revealing the assessment and limitation of spatial unit organization. This investigator could make the complex formations through the union of simple spatial units and could understand to give the unification through the repeated use of the same flat unites by this study. This study discovers that the individual residence consisting of the spatial unit's unity could accommodate the plural family types and various human behaviors by the variable division method of the interior and find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organization such as the Variability, the continuation, the nature of Center, and the polysemy can be appeared in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s of division. This study has meaning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traditional thoughts and concepts, and hopes for contributing to the changes of residence culture and the increase of the Variability in resid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1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2. 미래사회의 주거형태 변화 4 2.1. 사회환경의 변화와 주거 기능의 전이 4 2.2. 가변적인 주거형태의 필요성과 지향하는 방향 5 3. 한국 전통사상과 건축개념 8 3.1. 천부경 9 3.1.1. 천부경의 생성 9 3.1.2. 천부경의 주해 11 3.2. 역학 15 3.3. 음양오행론 18 3.4. 전통사상에 기초한 건축 개념 20 4. 한국 전통건축의 공간조직의 특징 23 4.1. 가변성 23 4.2. 연속성 25 4.3. 중심성 27 4.4. 다의성 30 5. 디자인 과정 34 5.1. 가변형 공간구조방법 고찰 34 5.1.1. 가변적인 구조방식 34 5.1.2. 가변적인 평면구획 38 5.1.3. 가변적인 구성요소 41 5.2. 단위공간의 계획 45 5.2.1. 단위공간의 규모 45 5.2.2. 조합에 따른 다양성 46 5.2.3. 공간구성의 구조 48 5.3. 가변적인 공간조합 디자인 50 5.3.1. 2개 단위공간의 조합디자인 50 5.3.2. 3개 단위공간의 조합디자인 57 5.3.3. 4개 단위공간의 조합디자인 63 5.3.4. 5개 단위공간의 조합디자인 69 5.4. 단위공간의 조합을 통한 조합주택 디자인 안의 모형사례 제시 76 5.5. 종합 및 평가 82 6. 결론 85 참고문헌 87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525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미래주거유형 디자인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전통사상에 의한 공간적 가변성 적용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9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실내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