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촉각적인 이미지

Title
촉각적인 이미지
Other Titles
Tactile-sensing Image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덕현
Abstract
이 글은 본인 작업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작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본인의 작업은 디지털 시대에 발생하는 시각적 불완전함이 유발하는 혼란에 대응하고자 이를 올바르게 인지할 수 있는 시각과 관점을 찾으려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주목되는 이미지나 시각현상 등을 포착하여 공간 속에서 실체화하는 작업을 통해 그러한 문제를 선명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형태의 연작으로 구체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디지털방식에 이르는 시각테크놀로지의 발전과정과 이에 따라 변화해 온 이미지 지각방식에 대해 서술하고, 디지털이미지의 특징과 현 디지털시대에 이루어지는 지각의 변화에 대해 살펴본 다음, 그러한 문제의식을 작업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현 21세기에 사람들이 이미지의 홍수 속에 살며 매 순간마다 이미지에 노출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 원인은 현재까지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는 시각테크놀로지에서 찾을 수 있다. 시각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전은 매번 인류에게 이전보다 확장된 지각체험을 가능하게 하였고 여기에 보급매체의 발달과 맞물려 이제 ‘이미지’들은 우리의 일상생활 어느 곳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다. 그와 함께 변화해 온 이미지의 패러다임은 사람들이 본래 이미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에 영향을 주어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에 수정을 가하였다. 특히 디지털매체의 출현은 21세기 사회, 문화, 경제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오며 시각문화에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 이는 기존의 이미지생산방식을 확장, 발전시키는 결과를 낳으며 이미지의 패러다임을 크게 바꿔 놓았다. 기존의 이미지 안에서 우리가 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는 매개되고 합리화된 관계였지만 디지털이미지는 세계를 보는 방식, 그리고 주체와 대상 사이에 새로운 관계유형들을 만들어낸다. 이는 디지털의 ‘비물질적’인 특성으로 발생된다. 0, 1의 이분법의 신호로 이루어진 디지털은 비물질적이고 그렇기 때문에 어느 모양이든 창조해 낼 수 있으며 우리가 지각하는 차원과는 전혀 다른 공간의 차원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디지털방식을 이용한 기술은 이미지 생산의 한계를 없애고, 사실적 표현력과 자연스러운 변형을 통해 이미 확립돼 있던 세계와의 관계에 혼란을 가져왔다. 무엇보다 디지털이미지는 현실적인 시간과 공간의 다차원적인 이미지를 모방하여 실제적으로 재현해낸다. 디지털이미지가 3차원적 이미지를 재현했다면 우리는 3차원으로 지각하며 2차원적 이미지를 보여준다면 우리는 2차원으로 인식한다. 이에 본인은 ‘보는 행위’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었고 우리가 디지털이미지에 둘러싸여 있는 세계를 어떻게 보는가에 대해 살피게 된 것이다. 사실 기존의 익숙해진 이미지의 기준과 공식을 크게 벗어나지 않게 만들어지는 디지털이미지를 지각하는 방식은 역시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기존의 광학적 이미지와 다른 존재 양식을 갖고 있는 디지털이미지이기에, 그리고 무엇보다 현재의 거의 모든 이미지는 디지털이미지화 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은 시각의 불완전함을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세계를 파악하는 가장 핵심적인 수단인 시각의 이러한 불완전함은 우리를 실재와 가상 사이에서 방황하게 하며 결국 현대사회에서 실재 세계와 우리가 맺는 관계를 훨씬 더 모호하게 만든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인은 디지털매체의 본질을 제대로 인식함으로써 현 시대를 온전하게 파악하는 것은 디지털시대에 방황하지 않고 올바른 시각과 관점을 찾는 출발점이라 보고 본인이 파악한 디지털이미지의 특징을 아날로그적으로 실체화하여 본인과 관객들이 그러한 문제의식을 보다 선명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형태의 작업을 진행하였다.;This writing was prepared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about a work, by more systematically describing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cept in my work. My work was begun with the intention of seeking for new sight and perspective in order to cope with confusion caused by visual incompleteness, which occurs in the digital era. This study grasped the characteristics in a generation form of digital image for the works, which become its starting point, and accordingly described on the works in a series of the form, which allowed the current phenomenon to be recognized more clearly through the work of substantiating by borrowing image or phenomenon, which is noted. Consequently, prior to explaining the work, this study mentioned about the developmental process in visual technology, which made the present image era, and about the digital technology, and accordingly examined about the image perception method, which has been changed, and about the perception of digital-image era, which is compared with before. Thu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cept in work were examined. A cause, for which people in the current 21st century, came to face a situation of being exposed to image every moment while living in the middle of flood in image, can be found in visual technology, which has been repeated the abrupt development even so far. The progress in visual technology, which led to photograph, movie, television, and digital, allowed mankind to be able to face image every time available for experiencing the more expanded perception than before. In addition, engaging with development in the supply media, the images now can be faced any where in our daily life. And, the paradigm in image, which had been changed together, had influence upon people's thought about the original image, thereby having modified a method of looking at the world.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digital media brought about a big change over the whole in society, culture, and economy for the 21st century, and was positively introduced to visual culture. This caused the result that allows the existing image-producing method to be greatly expanded and developed, and changed paradigm in image, above all. Our relationship with the world within the conventional image was the one that mediated and rationalized. However, the digital image makes a new method of seeing the world, and a type of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subject and the object. This is generated by 'immaterial' characteristics in digital. Digital, which comprises a signal in dichotomy of 0, 1, is immaterial, thereby being able to create any shape, and exists in the dimension of space that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dimension that we perceive. Accordingly, the digital technology leads to removing the limitation of the productible image, which had been restricted before, and above all, brings about confusion in the already-established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rough the realistic expression ability and the natural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the digital image, which comes to exist in dimension different from reality, imitates the multi-dimensional image such as two-dimension and three-dimension, and actually came to reproduce. Given saying that the digital image revived the three-dimensional image, we perceive it as three-dimension. And, given showing with the two-dimensional image, we recognize it as two-dimension. Thus, the person in question came to have a doubt about 'seeing behavior,' and came to examine about how we see the world, which is surrounded by the digital image. In fact, there was no special change, too, in a method of perceiving the digital image, which is made in order not to escape largely from the standard and formulation in image, which had come to be familiar with the existing images. However, due to being digital image of having the existence mode tha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ptical image and because almost all the current images are, above all, becoming digital image, this method is seen to function as a factor of amplifying incompleteness in sight. Owing to this incompleteness in sight, which is the most core means of grasping the world, we come to wander between substance and virtuality. And, ultimately, it can be said to make our relationship with the substantial world much more ambiguous in modern society. Accordingly, the person in question aimed to seek for new sight and perspective that supplement the incomplete sight in digital era. First of all, I thought that entirely grasping the current period by rightly recognizing the essence of digital era is the starting point of an attempt for seeking for new sight and perspective proper for the digital period. I performed the work of substantiating into the analogue wide by borrowing image or phenomenon, which is no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 Through this, I proceeded with the work in a form that allows the person in question and the audience to recognize more clearly the features, which had been hidden in the digital im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