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동서문학의 일원적 질서를 의식한 새로운 전통관 확립을 위한 하나의 시론

Title
동서문학의 일원적 질서를 의식한 새로운 전통관 확립을 위한 하나의 시론
Authors
왕희자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전통문제가 보다 진지하게 논의되기 시작한지 사반세기 가까이 흘렀고, 그간 이에 관한 글들이 백수십편(논총, 제이십사집, P.22)이나 발표 되었다. 전통의식은 무엇보다 자국문화에 대한 깊은 자각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라고 볼 때 우리 문학전통에 대한 진지하고 활발한 논의는 일단 환영해야 할 일인줄로 안다. 그러나 그 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오늘 우리에게는 여전이 이 문제가 미해결인채로 남아 있는 느낌이다. 말하자면 앵글이 빗나간 구도같다고나 할까. 모두들 열심히 뭔가 얘기하고 있지만, 전통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에선 거리가 먼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지금까지 발표된 글들을 대별하면 대략 다음의 두 점으로 집약시킬 수 있을것 같다. 첫째, 근대문학을 기점으로, 전통의 단절이냐 계승이냐 하는 문제. 둘째, 우리의 문학전통을 은근·끈기, 한, 풍류 등 몇 개의 비문학적인 어휘로 정의하려는 태도. 첫째 문제는 1962년 사상계사가 주최한 <신문학오십년 심포지움>에서 (3회에 걸친) 상당한 격론이 벌어졌던 일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결과는 「기형적인대로 내용에서는 계승이고, 형식에서는 단절이라고 할 수 밖에 없다는」 사회자의 애매한 결론이었다. 그러나 문학을 내용과 형식으로 분리시켜 생각하는것 자체가 낡은 수사학적 발상법이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전통이란, 그 민족의 언어와 역사와 예술이 존속하는 한, 단절될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 논자의 견해인 것이다. 다음 둘째의 태도에 대하여는 더욱 회의적일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문학정신처럼 다양하고 창조적인 정신을 그처럼 비예술적이고 비창의적인 몇 개의 용어로 정의 하려는 것은, 예술에 대한 일련의 폭력이요 차라리 무지로 밖에는 생각되지 않기 때문이다. 논자는 종래의 이런 관점을 떠나서 문학을, 전통을 보다 본질적인 면에서 보고싶은 것이다.왜냐하면 문학을 하는 자세란 결국 자기에게 주어진 삶을 가장 성실하게 살아가는 한가지 방법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세계 속에 던져진 하나의 개체로써, 가족의 일원으로써, 자국의 한 국민으로써, 동양문하권의 일원으로써, 인류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써, 우리에게 소중 모든 것을 아울러 추구하는 자세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념에서 논자는 T. S. Eliot의 전통관(질서관)에 깊이 동의하는 바이며, 이른바 그의 「호머(Homer) 이래 유럽 문학 전체와 그 일부를 이루는 자국문학 전체의 동시적 존재, 동시적 질서의식」을 다소 수정하여 우리는, 현존하는 동·서의 고전 전체와 그 일부를 이루는 한국문학 전체를 일단 우리의 문학전통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생각인 것이다. 세계문학과 한국문학과의 이러한 유기적이고도 필연적인 관계를 대우주와 소우주와의 질서관계로, 서론에서 언급한 바 이TEk. 이러한 질서의 개념, 전통의식하에 논자는, 우리의 문학유산중에서 가능한 많은 「시신」(Poetic God)을 찾아내기 위해 애썼다. 그래서 문헌신화이전, 우주의 Chaos 상태로부터 더듬어 보았던 것이다. 그리고 몇 편 안되는 취급작품이지만 여기서 발견된 초시간적인 시신들은 모두 오늘 우리에게 전통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바이다. 우리가 전통을 문제삼고 고전에 관심을 기우리는 궁극의 목적은 결국, 현재(시정신, 시세계)를 보다 풍요하게 하여, 한 편의 불후의 명작을 창조해내기 위함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Almost a quarter century elapsed sirce a subject of tradition has been discussed in ever serious manner. Articles about this subject of tradition has been published more than 140 odds pieces. When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consciousness of tradition stnrts from a self-awakering of the culture of the mother country, sincere and active discussion about our tradition of literature ought to be welcome. Despite so much discussion in the past, this problem remains still perfing and leaves much room for our further study. To depict it in another words, it is comparable to an ill composition wrought by off-angle. This problem is being earnestly discussed by all, yet it seemes to be deviated from the nucleus. Roughly sorting out the existing srticles about the problem, they can be summarized into two category. Firstly, the problem lies in two schools:one is a school who hold that the tradition was interrupted from and another who hold that the tradition was succeeded of the base point of modern literature. Secondly, the attitude of attempting to define our tradition of literature by using such vocabulary as politeness, steadiness, sigh and elegance. As for the first problem, a cemprehensive and serious discussions have been raised at the symposium of "Modern Literature, 50 Years," held by Sa Sang Kae Magazine (on three occasions) in the year of 1962. Result concluded from the symposium by the presider was abscure, thus summarizing " Succession of substance and interruption of style." But it is a outdated rhetonic comception to thirk of seperation the substance and style of literature. This is my view that the tradition in not to be interrupted as long as the language, history and arts of one's people continue to exist. Secondly the attitude is very sceptical. Spirit of literature features variety and creativity. To trying to define it with a couple of words of non-artistic, non-creative expression, it cannot be interpreted but a violence to afts and rater exposure of ignorance. I want to look into literature and tradition from the light of its essence separated from the conventional view as such. Attitude of the man of literature is, in fact, nothing but a way of living the life endowed most sincely. It is to fruther pursuit the most precious things all in the capacity of an individual, a member of family, a member of nation, a member of Oriental cultrual sphere, and member of human race. With this conviction deep in my faith, I accept profoundly th tradition by T.S.Eliot. We should willingly accept as our tradition the whole Korean literature calssic and the classic Literature of East and West by revising to some extent the simultaneous existence and the simultaneous order consciousness stemming from the whole Europe literature and since Homer and also a part of respective literature of own countries. I mentioned in my introduction the organic and inevitable relation of the world and Korean literature in parallel with the relation of order between the cosmopolitan and minor universe. I, equipped with the order concept and consciousness of tradition, rerdered my utmost endeavour to drawing out as much "Poetic God" as possible out of the inherited property of literature by further looking into the mythological story and Chaos of univerde. Thus I am convirced that the poetic gods that we could found in the unmemorable days, convey the tradition to us today. The ultimate gool of keeping the tradition in out point, and rendering our deep concern to the classics lies in enriching our todays(Poetic world, Poetic spirit) and bringing forth permanent exquisite creative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