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8 Download: 0

지도에 내재된 의미의 은유

Title
지도에 내재된 의미의 은유
Other Titles
A Study about Metaphorical Expression of Inherent Meaning in Map
Authors
최요중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인종
Abstract
인류는 주체와 공간에 대한 관계를 지도라는 도상으로 표현하고 그것을 매개체로 함께 소통해왔다. 지도는 전체를 볼 수 없는 세상을 하나의 실체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가시화해 주며, 그러한 지도의 이미지는 세상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도상으로 자리 잡고 사람들의 인식 속에 스며든다. 오늘날의 지도는 과학의 발전에 힘입어 지리학적 사실성을 묘사하는 객관적인 모습을 띄고 있다. 때문에 지도는 일반적으로 객체화된 지식의 도구로 활용되거나 일종의 도표로 이해된다. 그러나 지도의 사실적인 모습 이면에는 다분히 주관적이고, 복합적인 의미 혹은 사회문화적 담론이 내포된 상징적 이미지가 존재한다. 개념화된 표면으로서의 지도 내면에는 실제 땅과 누적된 시간, 역동적인 에너지가 살아 숨 쉬고 있다. 본인은 개념적으로 이미지화 된 지도 속에 녹아있는 사건과 기억, 시간을 되짚어본다. 도상으로서의 지도는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다. 개인의 감성적 기억의 매개체로 인식되기도 하고, 사회문화적 상징성을 내포하기도 하며, 상상과 실제가 혼재하는 복합적 이미지로서 인식되기도 한다. 그러한 맥락 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아프리카와 한반도의 지도가 작업의 소재로 등장한다. 아프리카 지도는 미지의 세계와 사회정치적으로 개념화된 도상으로서의 상징성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대상이며, 한반도 지도 역시 사회정치적으로 대상화된 도상이며 또한 본인의 실제적 삶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두 대상은 경계라는 요소를 통해 본인에게 강한 인상을 주기도 한다. 지도 속 경계는 개념화된 이미지로서의 지도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실제 땅에서는 발견 할 수 없는 지도 속 인위적 경계를 통해 세계는 구획되어 명명되고 실체로서 이해되어진다. 아프리카 지도 속 직선의 경계와 한반도를 반으로 가르고 있는 경계는 지도의 표면적 이해를 넘어 사회적 텍스트로서의 지도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한다. 땅을 객체로서 대상화시키는 도구로 지도를 활용함에 따라 문화적 다양성과 본래적 자연의 모습, 실제의 소소한 삶들도 면으로 재단되거나 경계 지어진다. 따라서 본인은 권위적이고 표면적인 지도 바라보기가 아닌 다양한 담론으로서의 지도표현을 하고자 했다. 작업의 재료로 등장하는 나무, 광목천, 버려진 옷, 흙 등은 고정된 대상으로서가 아닌 유동적이고 변화 가능한 모습을 보여준다. 자연스럽게 갈라져가는 나무 덩어리에 잉크와 먹물로 검은 아프리카 대륙을 상징적으로 새겨 넣기도 하고, 재단한 천을 바느질로 이어 붙여 아프리카 대륙을 형상화하기도 한다. 조각 천을 쌓아 누적된 흔적을 간직한 덩어리로 표현하기도 하고, 힘없이 흐느적거리는 한반도지도를 켜켜이 쌓아 유리판으로 응축시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객관적인 대상이라고 인식되는 지도의 모습이 물질로 전환되어 제시됨으로 인해 가시화 된 대상 이면의 함축적 의미들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또한 주관적 방식으로 재해석된 은유적인 모습으로 인해 촉각적, 시각적 자극을 일으켜 대상을 재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는 객관화된 도상이라 믿는 지도 이미지의 은유적 표현을 통해 가시화되는 표면적인 이미지 이면에 존재하는 실체에 대한 고찰을 유도하며, 기지의 세계에 상상적 요소가 더해져 깊이 있는 이해로 확장되는 자유로운 인식의 성찰에 의의가 있다.;Mankind used to expr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ject and space by means of icon, called ‘map,’ and has communicated with one another through such a medium. Map enables us to visualize the world, though its whole entity we cannot see, so much as to be perceived as one reality. And such an image of map settles on as an icon that embodies the appearance of the world, and shall instill into the minds of the people. Today’s map is filled with objective appearance that depicts the true nature of geographic phenomena owing to developments of science. Therefore, map in general is being utilized as either a tool of objectified knowledge or being understood as a kind of directing post. But, there is symbolic image in which perhaps subjective and compositive meanings or socio-cultural discourses are contained in the other side of factual features of a map. Inside the map as the conceptualized surface, actually earth, cumulated time, and dynamic energy are breathing in a vigorous fashion I retrace the historical events, memories, and times that melted down in the map where conceptions thereof have been depicted as by images. The map as an icon contains a variety of meanings. It will be recognized as a medium to carry individual’s emotional memory, or holds socio-cultural symbols, or perceived as composite images in which imagination and reality are coexisted. In such a context, the maps of Africa and Korean Peninsula are appeared on the stage as the material being subjected to further work. The map of Africa is the object to show the typical symbolism of the unknown world, and also an icon that has been conceptualized in socio-political aspect. And the map of Korean Peninsula is an icon, which has been objectified in socio-political aspect,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as my own substantive space for life. Two objects often give strong impression to me through the factor, called ‘border.’ The border in the map is an important factor that explains the map, which has been conceptualized as an image. Actually, the world has been zoned and named and understood by means of artificial borders in the map, which cannot be discovered on the earth. The border in the map of Africa, which is a simple line, and also the border that divides the Korean Peninsula into half provoke our interests in the map as a text for social study beyond superficial understanding. According to use of the map as a tool to objectify the earth to make it the object, cultural diversity and intrinsic features of nature, and minor events or trivial affairs in run-of-the-mill life are to be cut in terms of plane or be demarcated. Therefore, I tried to express the map as diverse discourses, not merely looking at such authoritative and superficial map. Tree, cotton cloth, discarded clothes, and earth, etc., which are used as materials for artistic works, exhibit a flexible and changeable outer appearance, not as the fixed subjects. Onto the tree trunk having natural cracks, I symbolically engrave Africa Continent in black using calligraphy drawing inks, or embody Africa Continent by doing needlework on those cloths that have been cut out. By piling up those fragmented clothes, I express it as a lump that keeps cumulated traces, or by laying in piles of flaggy and fluttering maps of Korean Peninsula, I condense it as with glass plate. Because the look of map that is perceived as the objective thing in general is presented having been transformed into a material, people shall think of the implied meanings in the other side of subject, which has been visualized. In addition, people will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having aroused tactile and visual stimuli due to metaphorical features, which have been interpreted in a subjective manner. This research will be meaningful from the point of self-questioning of free consciousness that will be extended to in-depth understanding by having added imaginative factors to the existing world, and, at the same time, by inducing close review on reality that exists in the other side of superficial images, which will be visualized through metaphorical expression of the map images that are to be believed as an objectified ic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