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낯설어진 자화상

Title
낯설어진 자화상
Other Titles
Unfamiliar Self-portraits
Authors
김혜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인종
Abstract
오늘날의 이미지는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재생산된 시각으로, 과거의 어떤 사회구조에서보다 많이 생산되고 있다. 우리는 어지럽게 변화하는 방대한 이미지들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미지는 우리의 의지와 무관하게 수용된다. 사람들은 이런 이미지를 자신을 드러내는 도구로 사용한다. 우리는 자신을 드러내고자, 타인의 욕망에 자신의 욕망이 동일시된 이미지를 생산한다. 그리고 타인에게 보여지기 위해 생산한 이미지를 스스로 타자가 되어 본다. 우리는 이미지를 생산하는 주체인 동시에 스스로에게 보여지는 객체가 된다. 이미지가 보여진다는 것은 우리가 어떤 것을 보았을 때, 그것이 무엇인지 인식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모든 이미지는 사물의 보는 방법이 있으며, 그 이미지에 관한 판단이나 지각은 우리 자신의 견해에 의존하고 있다. 읽을 수 있는 이미지란 것은 결국 이미지가 기호가 되어 인식되었음을 뜻한다. 기호는 이미지와 우리의 사이를 연결하여, 이미지를 의미로써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결국 스스로의 사진을 보는 것을 자신을 기호로 읽는 것이다.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은 이미지를 끊임 없이 생산하게 한다. 그리고 이미지의 과도한 생산은 이미지의 피상성을 드러내어 우리에게 낯설어진다. 이미지에 의존적인 현대인에게 이미지의 낯설어짐은 곧 ‘스스로의 낯설어짐’이 된다. 본 연구는 본인의 이미지에서 느낀 낯설음을 자화상의 형식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반짝임, 반복, 해체 등의 표현은 구체적인 얼굴의 형상이 인식되는 것을 방해한다. 인식되지 않아 지워진 얼굴에서는 내제되어 있던 욕망이 드러난다. 본인은 ‘나의 이미지’를 타인이 봐주길 바라며 생산한다. 그리고 ‘나’는 타자가 되어 ‘나의 이미지’를 본다. 수 없이 반복되고 조각난 ‘나의 이미지’를 타자가 되어 볼 때, 이미지는 ‘나’에게서 멀어져 낯선 것이 된다. 본인은 낯설어진 이미지를 볼 때, 스스로를 규정할 수 없는, 알 수 없는 존재가 되어버림을 느꼈다. 이 알 수 없는 존재인 ‘나’가 바로 본인의 자화상이다. 얼굴 이미지를 제시하는 것은 한 사람의 정체성을 드러내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현대의 매체를 통해 생산된 얼굴 이미지는 오히려 개인의 정체성을 지우고, ‘나의 이미지’는 ‘나’를 지시하지 못한다. 본인은 인위적으로 얼굴을 지우는 작업을 통해 낯설어진 나를 표현하였다. 얼굴은 가면을 통해 자신을 숨기고 의식적인 면에서 지워지며, 반짝이는 껍질, 반복, 해체의 표현을 통해 시각적으로 지워진다. 자화상에서 ‘나’는 지워지고, 욕망의 기호의 생산만 남는다. 이미지는 스스로를 소외시키고, 낯설게 한다. 이것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며, 본인의 자화상이다. 작업에서 표현된 자화상은 눈 앞의 표면적 이미지일 뿐으로, 해체되고 은폐, 거부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개인의 정체성은 고정되지 못하고 떠돈다. 그러나 고정되지 못하다는 것은 항상 새로운 것을 생성한다는 말이다. 생성은 또 다른 가능성이다. ‘낯설어진 나’ 자체가 ‘나’의 모습이 되며, 이것은 어느 방향으로도 열린 가능성으로서의 ‘나’가 된다. 본인의 자화상은 지워짐을 통해 항상 변화하는 가능성으로 존재하게 된다.;Images are newly made or re-made viewpoints, and these images are being created today more than in any other past social structures. We're surrounded by enormous amount of images changing at a dizzying speed, and they are received regardless of our will. Humans use images as a tool to express themselves. We create images in which our own desires are identified with others' desires to reveal ourselves. And we see the images we created to show ourselves as strangers. We are the subject creating images, and simultaneously, have become the object that is shown to ourselves. I create ‘my images.’ This is made from a stranger's eyes. When ''I'' look at ''my images,’’ I become a stranger myself, and see the images made from a stranger’s viewpoint. At this mo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my images'' become estranged and unfamiliar. That an image is seen means that when we see something, we can recognize what it is. All images embody ways to see things, and the judgement or perception on those images depend on our own opinions. Visible images mean after all that images are recognized as symbols. Symbols connect images and us and help us grasp images as meanings. However, the images of digital media have no original copy and their symbols represent nothing. It seems like we see and recognize images, but digital images are just imagination by computing numbers. Because digital images represent no reality, they have only signifier without signified, and symbols without things to indicate. The virtual images of digital media exist in the forms of dots, and in the flow of dots we cross the reality and the virtual world, and imagination and symbols are mixed. We use our imagination and receive the symbols of images with some meanings. However, imagination cannot be settled because it's mixed, and there are some moments when they just go past by in the flow of meanings. In these moments, images become and reveal themselves as unsubstantial symbols. The images in the forms of symbols are familiar just as the images we always see, but at the same time look unfamiliar. Humans' desires to express themselves produce images endlessly. The excessive production of images rather exposes the superficiality of images and become unfamiliar to us. And the unfamiliarity of image becomes the very ''unfamiliarity to their own selves'' to the modern people who are dependant on images. This study expresses the unfamiliarity from my own images of digital media through the form of self-portraits. I wanted to express the self-portraits which were exposed through the glittering desires inherent in symbolized unfamiliarity, repetition, and deconstruction, and therefore which became strange because the face was erased. I produce ''my images'' hoping others would see them. And when I see the images myself, ''I'' become a stranger. When I see ''my images,’’ which were repeated endlessly and fragmented as a stranger, they become estranged from ‘me’ and become unfamiliar. When I saw the unfamiliarized images, I felt that I had become a being I couldn’t’t define myself, and something I couldn’t’t understand. This ‘‘I’’ an incomprehensible being is the very self-portraits of mine. Presenting a face image is the most universal way to display a person’s identity.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mass produced face images of digital media get rid of an individual's identity, and “my images” don’t indicate “myself.” I expressed the unfamiliarized myself by erasing my face intentionally. Faces hide one’s own self with masks, are rubbed out from the consciousness, and also from the visual world through the expressions of glittering skin, repetition and deconstruction. Self-portraits become a symbol with “myself” erased, and only the production by desires remains. Digital images alienate themselves and make themselves unfamiliar. This is the true picture of modern people in a digitalized society, and my self-portrait. The self-portraits expressed in my work are just superficial images, and represent themselves as being deconstructed, concealed, and rejected. An individual’s identity cannot be fixed but drifts. However, this characteristic of media isn’t necessarily negative because of the absence of identity. Unfixed things create new things. Creation is another possibility. “Unfamiliarized I” itself becomes “me,” and this is ''me'' with an open possi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