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인화-
dc.creator김인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9Z-
dc.date.issued1974-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2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0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263-
dc.description.abstractThere are some people who like music, while others have no interest at all. It is probable that there is some who ing well or play on a musical instrument skillfully and who can do neither of the two, but show a very deep understanding of music appreciation. Likewise, there may be an example that a person who has a talent in musical and art activities etc. but not in physical exercises. All the phenomena like these are caused by the ability of each individual, specially by the aptitude most of all. Even if the studies of this area in music lag far behind other areas, a few measuring tools are being studied in other countries beginning with the Seashore Musical Talent Tests. But there are only four Musical Achievement and Musical Talent Tests in Korea. Among those tests, Standardization Musical Talent Test made by Hwang, Eung Yun & Yoo, Duk Hee is applicable to musical aptitude test and its characteristic is to use the actual sound. It is constituted of eight subtests that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of abilities required for musical talent. In this study, the writer inspected (verified) the followings to find how much the test is predictable, students' distribution of musical tal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the academic subjects which seems to have influence on the future success besides some basic factors that compose the musical talent, by executing that "Musical Talent Test" on the group majoring in music. 1. The comparison between students' I.Q.s of each major area, the records of the academic subjects (the mean scores) and the results of music courses and musical talent tests. 2.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Musical Talent Tests and I.Q. or the achievements of the academic subjects (the mean scores). 3. The verific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hievement of music courses and the Musical Talent Te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0 2nd grade students of Y. High School majoring in music, in Seoul. The results in brief are as follows: 1. The I.Q. mean score of the students in this study is 105. Students whose I.Q.s are higher tend to show good results in the achievement of music courses, and the results of Musical Talent Test represent the same ranking with that of I.Q. of each major area (string, composition, piano, voice, wind-instruments). 2. When the writer verified the result of the Musical Talent Test for the I.Q.s of the subjects and for the achievement of the academic subjects with the "X^(2) method", the higher the I.Q. are, the higher the results of the Musical Talent Test are, and the higher the records of the general study courses are, the better the results of the Musical Talent Test are. On the contrary, the lower the I.Q. and the records of the general study courses are, the lower the results of the Musical Talent Test, are. 3. As the subtests of the Musical Talent Test are evidenced to have the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the music courses (-.03~.66), it can be concluded that this Musical Talent Test will be a guide for the students who are to major in. music in the future. 4. Synthesizing the above facts, it is clear that the Musical Talent Test is of value as a predictable tool to distinguish the talents of the student s majoring in music. Therefore, one should not depend upon or judgment of the music educators' sense as in the past, but through the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 to develop the students' musical talent without, the erroneous diagnosis in guiding them.;우리들 주위에는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또 음악에 전연 무관심한 사람도 있다. 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 악기를 잘 다루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자신은 아무것도 안하지만 음악감상에는 매우 깊은 이해를 보이는 사람도 있다. 또 음악이나 미술 등 예능활동에는 능하면서도 운동에는 전혀 그렇지 못한 예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모두 각 개인이 지니고 있는 능력, 그중에서도 특히 적성에 기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음악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이 방면의 연구가 매우 뒤진 편이지만 1919년에 발표한 시쇼어(C.E.Seashore)의 음악재능검사(Musical Talent Test)를 비롯하여 외국에서는 꽤 많은 측정도구가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겨우 네가지 음악학력 및 음악재능검사가 있을 뿐이다. 이 중 음악적성검사에 해당하는 황응연·류덕희가 제작한 “표준화 음악재능검사”는 실음을 사용한 것이 특색이고 음악 재능으로서 요구되는 능력가운데 가장 중요하다고 인정되는8개 영역을 소검사로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음악재능 검사”를 음악을 전공하는 집단에 실시하여 이 검사가 어느 정도 예언적인 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하며 동시에 그들의 음악재능의 분포를 파악하고 또 음악재능을 구성하는 몇가지 기본적 요인 외에 앞으로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리라고 생각되는 지능, 일반교과, 등 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각 전공별로 지능(IQ), 일반교과 성적(평균), 음악교과 성적 및 음악재능검사의 결과를 비교해 보고, 둘째, 음악재능검사 결과(종합)와 지능 및 일반교과 성적(평균) 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셋째, 음악재능검사와 음악교과 성적 간의 상관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시내 특수학교인 Y 고등학교 2학년 중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 전원 120명이다. 여기에서 나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 학생의 평균 IQ는 105이다. 대체로 IQ가 높은 학생들이 일반교과 성적 및 음악교과 성적에 있어서도 높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음악재능검사의 결과의 비교에 있어서도 IQ에 있어서의 각 전공 과정의 순위(현악, 작곡, 피아노, 성악, 관악)와 동일한 순위를 보여주고 있다. 2. 본 연구의 대상 학생의 IQ와 음악재능검사 결과를 x2 검증하고 또 일반교과 성적과 음악재능검사 결과를 x2 검증한 결과, IQ가 높은 경우 일수록 음악재능검사 결과가 높고, 일반교과 성적이 높은 경우일수록 음악재능검사 결과도 높은 것이 검증되어 나왔다. 반대로 IQ가 낮은 경우 일수록 음악재능검사 결과도 낮고 일반교과 성적이 낮은 경우 일수록 음악재능검사 결과도 낮은 것이 검증되어 나왔다. 3. 음악재능검사의 소검사들이 대체로 음악교과들과 의의있는 상관관계(-.03~.66)가 있는 것이 검증되었으므로 미래 음악을 전공 시키려는 학생들에게 이 음악재능검사가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와같은 것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같이 음악재능검사가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을 가려내는 예언적인 도구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아 종래와 같이 우수한 음악교육자의 Sense에만 의존하여 판단하는 데에만 그치지 말고 이와 같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측정을 통해서 지도상의 오류를 없애어 음악재능을 계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논리적 배경 6 A. 음악적성(재능) 6 1. 개념 및 정의 6 2. 음악적성(재능)의 측정도구 8 B. 음악적성 측정의 연구동향 32 1. 음악적 능력의 요인분석 32 2. 음악재능과 지능과의 관계[파오손면;p34] 34 3. 음악재능과 학력과의 관계 38 4. 음악재능과 환경 및 기타 변인과의 관계 43 III. 연구문제 48 IV. 대상, 도구 및 방법 49 A. 대상 49 B. 도구 50 C. 방법 및 절차 51 V. 결과 53 A. 지능(IQ), 일반교과 성적(평균), 음악교과 성적 및 음악재능검사의 결과 비교 53 B. 음악재능검사 결과(종합)와 지능 및 일반교과 성적(평균)간의 관계 분석 59 C. 음악재능검사와 음악교과 성적 간의 상관도 검증 60 VI. 논의 및 제언 63 참고문헌 67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56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음악재능검사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예언적 타당도 분석을 중심으로-
dc.format.page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7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