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7 Download: 0

현행사제천의 음악구조분석

Title
현행사제천의 음악구조분석
Authors
길애경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 궁정 연례악중 대표적인 관악곡 “수제천”의 음악적 구성 및 특색을 분석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그 예술미의 형식을 실증적으로 파악코자 하는데 본논문의 목적이 있다. 수제천은 일정한 악보에 의하여 전해오지 않았음은 물론이거니와, 현재도 대체적인 선율선을 유지하면서 그때 그때 음의 길이와 미세한 장식을 주자의 즉흥으로 다소 달라진다. 이러한 음악양식은 근대 5선보 위주의 서양음악과는 판이하게 다르지만, 서양에서도 중세기 이전은 물론이고, 20세기의 현대음악에서도 중요시 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수제천의 정형화된 측면, 즉 선율의 중심적인 선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 자료로써는 KBS 국악 라이브러리의 녹음 테이프와 국립국악원 발행 「한국음악-수제천」을 위주로 했다. 수제천의 장단 다수는 원칙적으로는 일정하며, 각 음에 반각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그러한 한 박의 시간이 약 6초(M.M.10)로 국악원 보에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알수 있듯이, 극도로 tempo가 느리고 또 일정하지가 않아, 수제천의 리듬은 Pulse를 이탈하여 유장한 선율미를 강조한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리듬의 자유성에서 장구의 역할에 대한 여러 가지 특색이 발견된다. 수제천은 원칙적으로 Unison이기 때문에 장식음을 무시하고 중심적인 선율을 잡아(부표I에 표시되어 있음) 분석하기로 했다. 그리고 그 구성음의 출현회취와 백분율(부표II의 A, B), 음정의 출현회취를 살폈다. 선율형은 A①, A②, E①, B②, A'①, A②', B', C 등의 형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검토하였다. 방법은 1·2장이 남을 주음으로한 계면조, 3장은 태를 주음으로 한 계면조로 볼 수 있는데 양자간에는 전조적인 과정이 있고 그 계기는 완전4도 음정이라 하겠다. 전곡의 선율을 개시하면, 1장과 2장은 처음 시작 음형만 다를뿐 완전히 동일하며(우리 귀에 익숙한 A형의 선율형으로 그 기본을 이구로, 극적인 감동을 주는 B형이 고음으로 나타난다.) 3장은 고음역에서 색닥른 선율로 되어있고, 1·2장의 형식을 벗어나 고조된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크라이막스를, 단순화와 반복으로 이룩되는 정중동의 미를 살리고 있는 것이다. 4장은 종지형으로서 특색이 있는데 선율은 몹시 단순하고 정적이지만 지금까지의 흐름에 비하여 종지가 급격히 이루어지면서 몹시 희귀하게 나타난 황과 임의 완전4도 진행으로 끝난다. 수제천의 악기편성은 우리 궁정악에 있어서 대표적인 관악편성법인 피리, 대금, 소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의 일곱가지로 되어 피리의 성능을 최고로 살리며, 대금과 소금의 고음역에서 복잡한 장식음을 쓰고 있는 아쟁은 저음역에서 중심음을 위주로 진행하면서, 기악적 heterophony의 극치를 이룬다. 매각의 끝 박(소절)에서 피리가 쉬는 소연음이 나타나는데, 다른 악기들이 피리가 끝난 음을 연장하여 피리의 여음처럼 되고 다음 각에서 시작할 피리의 음을 앞당겨 내고 있을 때, 피리가 들어옴으로써 소연음이 끝나는 것이다. 매장의 끝에는 이러한 연음이 한 각이나 차지하는데 본고에서는 이것을 대연음으로 불렀다. 수제천은 여러 가지 형식미와 법칙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유연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고 있어, 하나의 완성된 예술미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ttempt realistic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beauty and musical style of SUJECHEON, one af the famous royal orchestral pieces in our musical heritage by analyzing its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t present, it is almost, impossible to trace the original note of SUJECHEON. Therefore, there is no way to play SUJECHEON reviving its fine variation except keeping its main melody line. The fine variations cannot help being played only depending upon the player's own improvised ammusement. Such musical styl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western music using the strict musical notations but the style is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one even in the 20th century as well as mediaeval western music. In this article, the major subject, is to study about, standardized aspect of SUJECHEON, which is the fixed portion of melody. And "THE KOREAN MUSIC-SUJEGHEUM" published by the Korean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and the magnetic tape of the library of the Korean Broadcasting Station are used as references. SUJECHEON'S JANG DAN(rhythmic pattern in Korean music) follows refular pattern principally, but one Ban Gak(the half of JANG DAN) in each movement is included. And also "THE KOREAN MUSIC-SUJECHEON" shows that the duration of one pulse takes about 6 seconds. Considering its slow and irregular tempo. SUJECHEON's rhythms try to pursue the beauty of space and line, deviating from nomal pulse. Therefore we can derive the various role of JANGGU from such an unrestricted rhythm. Because SUJECHEON is a unison in principle, regardless of the fine variations, in this article, only the main melody is studied (See the attached Ⅰ). Both the frequency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a certain sound usage (See the attached Ⅱ) and the frequency of a musical interval are studied, too. The pattern of rhythm is devided into eight, A(1), A(2), B(1), B(2), A'(1), A'(2), B' and C.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is studied respectively. The mode of movement 1 and movement 2 is GEMYEONJO (WU-mode) used MAM (C) as a tonic and the mode of movement 3 used LIM (B^(b)) as a tonic. There is a modulation between the two and its epoch is occurred by a perfect 4th. Taking a bird's eye view of this composition, movement 1 is different from movement, 2 only in the pattern of beginning melody. The other parts of movement 1 is equal to thet of movement 2. Those consist of both the pattern of melody which is familiar to us and the pa4tern B of melody which gives us dramatic emotion. The movement 3 is modulated with a different melody in the high register and gives off an exciting atmosphere deviated from the pattern of movement, 1 and movement 2. In the other hand, this climax gives off the pretended stillness of simplicity and repetition. The movement Ⅳ which is a cadance has a characteristics. Its melody is much more simple and statical than the above descrived. The cadance rapidly finishes in the playing of HWANG (C) and LIM (B^(b)) which played in rareness. Like the other important orchestral pieces, the musical instrument of SUJECHEON is composed of seven such as PIRI, DAEGEUM, SOGEUM, HAEGEUM, AJAENG, JANGGU, JWAGO. The delicate variation by DAEGEUM and SOGEUM in high register completing with main melody by AJAENG in low register, with unique role of PIRI, is resulted in the beauty of heterophonical perfection. PIRI is not played at YON-UK the ending pulse in each GAK. At this time the other instruments excapt PIRI cooperate in prolong the PIRI's last tone. Therefore that melody is heard as if it were an echo of that which PIRI played. And the other instruments anticipate the very tone which PIRI is going to in next GAK. At the end of each movement, such YON-UM takes almost one GAK. This composition, having various style and regularity leads to a complete artistic beau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