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애-
dc.creator김경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5Z-
dc.date.issued1974-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2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0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275-
dc.description.abstract조명과 인관생활과는 밀접한 관계에 있다. 우리 감각기관중에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은 조명상태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며 나아가 조명상태에 따른 감각의 변화가 인간심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주택조명환경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조명의 근본적인 “시스템”은 일정한 공간과 광원과 공간속에서 존재하는 물질의 광학적 특성과 이를 받아들이는 인간의 주관적인 감각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상호관계에서 우리는 조명효과를 결정하는 조도, 광속발산도분포, 정반석, 광의 스팩트럼분포 및 조명률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케 되었다. 사실 이들간의 관계는 유기적인 것이어서 일정한 조명효과를 얻기 위하여서는 이들간의 적절한 배려가 필요하게 되며, 특히 이들 조명요건 가운데 조도는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서 사람이 물건을 보거나 또는 작업을 할 때는 적절한 밝음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주택의 조명상태는 조명실태조사결과 각실의 평균조도가 필요조도의 1/3~1/4정도 밖에 미치지 못하는 매우 어두운 상태에 있다. 이는 시감능률에 영향을 미치고 피로와 기분에도 관련이 크므로 인간이 활동하는데 능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실내가 시각적으로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활동하고 안락한 생활을 하기 위하여서는 용이하고 기분좋은 시각에 기초된 조도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주택조명설비에서 방의 조도는 전등의 크기만으로 관계하는 것이 아니라 전등으로 부터의 광속중 실제로이용되는 공속의 비율인 조명률이 결정적으로 관계한다. 조명률은 등의 가설간격, 등기의 종류, 방지수, 감광보상율을 일정히 하면 실내면의 천정재 및 벽재의 반사율에 의해서 결정되며 반사율이 높을수록 조명률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천정재 및 벽재의 반사율은 방의 조도를 크게 좌우하게 되며 또한 이들 재료의 밝기와 색채는 주거분위기를 안정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게된다. 본 연구결과에서 내장재 즉, 천정재 및 벽재의 반사율과 색채가 조명효과와 심리적효과에 다음과 같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1. 천정재의 경우 반사율 75%인 밝은 색의 재료를 사용한 방은 반사율 10%인 어두운 색의 재료를 사용한 방보다 조도를 30% 증가시켜 준다. 2. 벽재의 경우 반사율 50%인 밝은 색의 재료를 사용한 방은 반사율 10%인 어두운색의 재료를 사용한 방보다 조도를 35% 증가시켜 준다. 3. 천정재 반사율 75%, 벽재의 반사율 50%인 적절한 반사율의 재료를 사용한 방은 전정재 반사율 10%, 벽재의 반사율 10%인 어두운 색의 재료를 사용한 방보다 조도를 75% 증가시켜 준다. 4. 주거공간엣는 상부에 밝은 재료로 한색계를 사용하는 것이 심리적인 안정감을 준다. 그러므로 반사율이 낮은 내장재는 반사율이 높은 내장재 즉 적절한 밝기의 내장재와 색채를 고려하므로써 조도를 증가시킴은 물론 광속발산도분포도 좋아지므로 매우 큰 조명효과를 얻게된다. 심리적으로도 활동의욕을 일으켜 작업능률을 높이게 되며 또한 조명설비의 비용을 50%이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It has been often pointed out that lighting has a great deal to do with our daily life. It is self-evident that lighting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human eye which is an indispensable part of our sense organs, and, what is more, that the changes of sense dependent upon the lighting circumstances have such a decisive influence upon mentality that lighting circumstances of the housing might be justly considered. The basic system of lighting consists at a time of optical characteristics formed by a given space, lightsource, materials existing tin the space, and of human subjective reception-attitude. Such notions as illumination, distribution of luminous radiance, specular reflection, spectral distribution, and coefficient of utilization, which decide the effect of lighting, are developed from the reciprocal relations of these conditions. These conditions are, in fact, so closely related that they should be given a proper consideration; especially the illumination is the most required when we see things around or when we are working.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of illumination of Korean housing at present, however, the average illumination is 25-30% lower than is needed. It is pointed out in the investigations that the low illumination brings abourt the reduction of visual efficiency, fatigue, and depreciation of animation, ads well. And this causes to lower the efficiency of human activity and prevents forming a visually agreeable atmosphere of the interior of the residence. The illumination based on easy and agreeable sense of sihgt is therefore quite necessary for a lively and comfortable life. It is generally known in installing lighting fixtures that the illumination of a room does not depend upon the size of lamps but upon the coefficient of virtual utilization of light fluxes from the lamp. The coefficient of lighting is decided by the interior reflectance of ceiling coverings and wall coverings when installation space of lamps, kind of lamps, room index, and depreciation factor are constant. The coefficeient of utilization rises as the reflectance increases. In other words, the illumination of a room is greatly dependent upon the reflectance of ceiling coverings and wall coverings, and the lightness and colors of these materials play an important part in forming a comfortable interior atmosphere of the residence. In this article, the following facts are pointed out that the interior furnishing materials, i.e., ceiling coverings and wall coverings have a great influence upon lighting and psychological state of mind: 1. In the case of ceiling coverings, the room using light color materials of 75% reflectance shows an illumination 30% higher than the room using dark color materials of 10% reflectance. 2. In the case of wall coverings, the room using light color materials of 50% reflectance shows an illumination 35% higher than the room using dark color materials of 10% reflectance. 3. The room using the ceiling coverings of 75% reflectance and wall coverings of 50% reflectance shows of 75% higher than the room using dark color materials of 10% reflect. ance ceiling covering and wall covering of so much reflectance. 4. Housing space, with light-cold color materials used on the above side offers a psychologically stable state of mind. What we can tell from the above facts is, therefore, that to get a high effect of lighting is to increase the illumination and widen the distribution of lumineus radiance, taking into account the lightness and colors of the interior furnishing materials. To heighten the illumination is reported to psychologically encourage the desire to work, and to be economical at the same time, for it reduces more than 50% of the expense of the lighting fixt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최적조명요건의 이론적 배경 4 A. 효과적인 조명요건 4 B. 주택조명의 요건 21 III. 한국주택의 조명실태 29 A. 실태조사 29 B. 실태조사결과 29 IV. 각종주택내장재의 반사율측정 39 A. 내장재 39 B. 반사율 측정[파오손면;p.42] 41 V. 검토 50 VI. 결론 56 참고문헌 58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079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주택에 있어서의 내장재가 조명효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7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