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가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가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on Father-Son intimacy : Focusing on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Authors
이유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을 예언하는 경로를 밝히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남자 청소년 297명(평균연령: 15세)과 그들의 아버지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Hovestadt와 그의 동료들(1985)이 개발한 원가족 척도(Family of Origin Scale: FOS)를 기초로 최현미(1997)가 제작한 원가족 분위기 척도(FOS-5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혼만족도는 Roach, Frazier와 Bowden(1981)이 개발한 MSS(Marital Satisfaction Scale)을 번안하여 수정한 유은희, 박성연(199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삶의 만족도는 Pavot 와 Dinner(1993)가 제작한 SWLS(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사용하였고, 지지적 양육행동과 심리통제에 관한 문항은 Barber(2005)가 개발한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부-자간 친밀감은 Walker와 Thompson(1983)이 개발한 친밀감 척도를 바탕으로 지지영(2001)이 재구성한 정서적 친밀감 문항과 Barnes와 Olson(1982)이 제작한 PACI (Parent-Adolesence Communication Inventory)를 수정한 오미경(1997)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상관관계 분석 및 AMOS 7.0을 사용한 구조방적식 모형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으로 설정한 경로모형에 대한 검증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와 결혼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지지적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를 통해 지지적 양육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지적 양육행동은 부-자간 친밀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와 결혼만족도 및 통제적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결혼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결혼만족도는 통제적 양육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통제적 양육행동은 부-자간 친밀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가 삶의 만족도를 통해 통제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아, 삶의 만족도는 부-자간 친밀감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와 결혼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원가족의 경험이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나 삶의 만족도, 그리고 양육행동을 통해 현재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는 아들이 성장하여 형성하게 되는 가족관계에 현재 가정에서의 양육경험이나 가정분위기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서 부모-자녀관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nd father-son intim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7 adolescents and their father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such as parenting behavior, farther-son intimacy, farther' marit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the farther's origin of upbringing. Data were analysed by sim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7.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father's marriag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the farther-son intimacy through the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Third,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farther-son intimacy through only marital satisfaction and controling parenting. However,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does not directly affect either controling parenting or supportive parenting. In conclusion,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father’s satisfaction in life and marriage and thereby supportive or controling parenting behavior predicting farther-son intim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