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부모의 양육행동, 남녀 아동의 완벽주의 및 성취동기간의 관계

Title
부모의 양육행동, 남녀 아동의 완벽주의 및 성취동기간의 관계
Other Title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Perfectionism as related to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Authors
김경미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 남녀 아동의 완벽주의 및 성취동기가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남녀 아동의 완벽주의가 부모의 양육행동과 성취동기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338명의 남녀 아동들이다. 성취동기는 Hermans(1970)이 개발한 Prestatie Motivate Test를 번안한 홍성흔(2002)의 척도를, 부모의 양육행동은 김기정(1984)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의 완벽주의는 김희영(2008)의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이 척도는 Flett, Hewitt, Boucher, Davison과 Munro(2000)가 개발한 아동 · 청소년 완벽주의 척도(Child and Adolescent Perfectionism Scale, CAPS)를 한국의 문화적 실정에 맞게 번안 · 수정한 이재연(2004)의 질문지를 수정 · 보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의 경우는 부모의 수용적 양육행동만이, 여아의 경우는 아버지의 수용적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수용적 및 통제 · 과잉기대적 양육행동이 성취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남아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수용적으로 지각할수록, 여아는 아버지를 수용적으로 지각하고 어머니를 수용적, 통제 · 과잉기대적으로 지각할수록, 높은 성취동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아동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남아와 여아의 성취동기에,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남아의 성취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남아는 자기지향적 및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여아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성취동기가 높았다. 셋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수용적, 통제 · 과잉기대적 양육행동은 남아의 자기지향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를 수용적, 통제 · 과잉기대적으로 지각할수록 남아의 자기지향적 및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은 높게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아버지의 수용적, 통제 · 과잉기대적 양육행동은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에, 아버지의 통제 · 과잉기대적 양육행동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 그리고 어머니의 수용적, 통제 · 과잉기대적 양육행동은 자기지향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아버지를 수용적, 통제 · 과잉기대적으로 지각할수록 여아는 높은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를, 통제 · 과잉기대적으로 지각할수록 높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를 보였다. 또한 어머니를 수용적, 통제 · 과잉기대적으로 지각할수록 여아는 높은 자기지향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남아의 경우 자기지향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행동과 성취동기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여아의 경우,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아버지의 수용적 양육행동과 성취동기간의 관계에서, 그리고 자기지향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행동과 성취동기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여아의 자기지향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어머니의 통제 · 과잉기대적 양육행동과 성취동기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부-자녀, 모-자녀 관계를 모두 고려함으로써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각 아들과 딸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아동의 완벽주의를 통한 간접적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건강한 발달에 미치는 커다란 영향력을 강조하였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 children's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cluding a mediating role of children's perfectionism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338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rs(174 boys and 164 girls)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such as Kim(1984)'s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Flett, Hewitt, Boucher, Davison & Munro(2000)'s Child and Adolescent Perfectionism Scale(CAPS), and Hermans(1970)'s Prestatie Motivatie Test. All of questionnaires were rated by children themselves. Data was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s the level of paternal and maternal acceptance was higher, boys showe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For girls, as the level of paternal acceptance, maternal acceptance and control/over-expectation was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of girls was increased. Second, as the level of boys'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of boys was increased. In case of girls, as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was increased. Third, when the level of paternal and maternal control/ over-expectation was higher,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f boys was increased. For girls, as paternal acceptance was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increased and as paternal control/over-expectation was hig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increased. Also as maternal control/over-expectation was higher,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f girls was increased. Finally, mediating roles of children's perfectionism in relation of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were examined.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f boys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parents' accepta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case of girls, self-oriented perfectionism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parental accepta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maternal accepta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Also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maternal control/over-expect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