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기웅-
dc.contributor.author박현정-
dc.creator박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8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9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7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 상황에서 나타나는 무용수의 심리적 속성 중 하나인 정서표현성의 본질을 밝히고 구인(construct)을 탐색하여 정량화된 측정도구를 개발하려는 목적아래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정서표현성의 구인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측정도구 개발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무용정서표현성(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이란 무용(춤) 동작을 통해 무용수 내면의 정서를 외적으로 표출하려는 성향을 일컫는다. 이러한 무용정서표현성의 구인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정서표현성에 관련된 문헌의 수집과 함께 무용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54명을 대상으로 무용정서표현성에 대한 반응을 도출하기 위하여 자유롭게 응답할 수 있는 7문항의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개방형 설문결과 응답한 원자료는 71개의 세부영역에서 29개의 일반영역으로 압축되었으며, 최종적으로 5개의 구인을 도출해내었다. 5개의 구인으로는 첫째 무용수가 느끼고 체험한 내면의 정서를 비언어적 방법인 춤 동작을 통해 전달, 표현하는 능력인 동작의 의미성(movement meaning), 둘째 무용수가 무용 미(美)에 대해 반응하는 능력으로서 다른 사람과 확실히 구별되는 독자적인 특성인 개성(individuality), 셋째 무용수가 정서표현 상황에서 나타나는 표현에 대한 자발적·자유선택적인 행동의 근거로서 춤에 대한 욕구 혹은 동작을 통한 표현에의 강력한 동기인 표현충동(expressive impulse), 넷째 무용수의 동작 기술과 이를 얼굴표정, 신체동작, 마임, 제스처 등의 행동을 통해 외적으로 드러내는 역량인 연기력(acting ability), 마지막 다섯째로는 무용수의 정서표현을 이끄는 동작에 대한 이해능력 차원으로 정의내릴 수 있으며, 동작의 강약, 템포, 크기, 흐름 등의 속성을 포함하는 의미인 동작성(movement disposition)으로 분류되었다. 무용정서표현성 구인탐색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근거로 무용정서표현성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인 무용정서표현성 검사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Churchill(1979)의 다문항 측정도구 개발절차에 따라 문항 개발이 이루어졌다. 최초 예비문항 84문항으로부터 58문항이 선별되어 제작되었으며, 58문항을 대상으로 하는 본 설문 문항의 적합성 검증을 위하여 1차로 무용전공자 334명에게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술통계 및 4차례의 신뢰도 분석, 5개의 요인별 신뢰도 분석을 통해 58문항 중 39문항이 도출되었으며,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4차례에 걸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요인 23문항이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하여 2차로 449명의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인 χ²은 498.429(df=220, p=.000), χ²과 자유도의 비 값인 Q는 2.266, 원소 간 평균차이 RMR은 .049, 기초적합도 지수인 GFI는 .914, 조정적합도 지수 AGFI는 .892, 표준부합치 NFI는 .925, 비표준부합치 TLI는 .950, 비교적합도 지수인 CFI의 값은 .957, 요인 간 평균차이인 RMSEA는 .053으로 나타나 조정적합도 지수인 AGFI값을 제외한 모든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5요인 23문항의 모형을 최종으로 채택하였다. 최종 문항은 동작의 의미성(4문항), 개성(4문항), 연기력(5문항), 표현충동(5문항), 동작성(5문항)으로 최종 신뢰도인 Cronbach의 α는 .897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검증된 23개의 최종문항은 준거로 사용된 정서표현성 척도(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EES)와 버클리 정서표현성 질문지(Berkeley Expressivity Questionnaire)(BEQ)와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공인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측정도구로서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무용정서표현성 측정도구가 다른 표집에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되느냐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본을 392명과 391명으로 나누어 실시한 교차타당도 결과 모형의 적합도 측정 Q값이 1차 분석에는 2.746, 2차 분석의 경우 2.061로, 신뢰도 계수인 Cronbach의 α값은 1차 .923, 2차 .906의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 측정도구로서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무용정서표현성 측정도구는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고 무용수라는 특수한 대상을 위하여 과학적으로 검증된 도구이기에 무용수의 정서표현성을 양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라 사료된다.;A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 was taken to illuminate the constructs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followed by developing a test which can aptly measure the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the identification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constructs, a 7-item un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54 university students. Data was subjected to a qualitative analysis, rendering 5 conceptual factors; movement meaning, individuality, expressive impulse, acting ability and movement disposition.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5 subconstructs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58 test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ccordingly. The preliminary test data obtained from 334 university students was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and a series of reliability analyses. The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α) of the test proved to be .897.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construct validity fou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39 items, resulting in 23 items of 5 factors; movement meaning, individuality, expressive impulse, acting ability and movement disposit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449 dance majors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5 factor model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χ², Q, RMR, GFI, AGFI, NFI, TLI, CFI, RMSEA. The concurrent and cross validity indices proved the objectivity and validity of 23 items of 5 fa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무용정서표현성의 구인 = 8 1. 무용정서의 개념 및 특성 = 8 2. 표현성의 개념 = 11 3. 무용정서표현성의 개념 및 구인 = 14 B. 무용정서표현성의 측정 = 21 1. 정서표현성 측정도구 = 21 2. 무용정서표현성 측정도구 = 24 Ⅲ. 무용정서표현성 구인 탐색 = 27 A. 연구목적 = 27 B. 연구방법 = 27 1. 연구대상 = 27 2. 연구도구 = 28 3. 연구절차 = 30 4. 자료처리 = 32 C. 연구결과 = 34 1. 춤을 잘 추는데 필요한 무용수의 소질 = 34 2. 춤의 표현을 이끄는 요소 = 37 3. 정서표현성이 높은 무용수의 특징 = 39 4. 정서표현성이 높은 무용수의 능력요소 = 42 5. 정서표현성이 높은 무용수의 심리상태 = 44 6. 동작을 통한 정서표현의 방법 = 47 7. 정서표현을 위한 춤 동작의 특징 = 49 D. 논의 = 52 Ⅳ. 무용정서표현성 측정도구 개발 = 58 A. 개발의 목적 = 58 B. 요인구체화 = 60 C. 문항개발 = 61 D. 문항선정 = 61 E. 예비검사실시 = 63 F. 문항분석 = 64 G. 문항의 신뢰도 검증 = 66 H. 구인타당도 검증 = 72 I. 공인타당도 및 교차타당도 검증 = 82 J. 논의 = 88 Ⅴ. 종합논의 및 결론 = 93 참고문헌 = 97 부록 1 = 110 부록 2 = 112 부록 3 = 113 부록 4 = 114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479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무용정서표현성 구인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ucture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Constructs and the Test Development-
dc.creator.othernamePark, Hyun Jung-
dc.format.pageⅶ,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체육학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