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특수교사와 학부모 및 대학생의 스페셜올림픽(Special Olympics)에 대한 인식도 조사

Title
특수교사와 학부모 및 대학생의 스페셜올림픽(Special Olympics)에 대한 인식도 조사
Other Titles
The Study on Recognition of Special Olympic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and college students
Authors
이용실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양자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학부모 및 대학생의 스페셜올림픽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여 스페셜올림픽의 저변확대를 통한 통합스포츠(unified sports)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향후 스페셜올림픽의 참여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인들의 스페셜올림픽 참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특수교사와 학부모, 미래의 지도자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각 대상별로 스페셜올림픽 참여자 50명, 비참여자 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한 300부의 응답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로는 정신지체인을 위한 특수올림픽 지도서(2000)와 김성기(2000)의 연구에서 사용된 참여실태 설문지를 참고로 하여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제작, 사용하였다. SPSS 12.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Crosstabs)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특수교사, 학부모, 대학생의 스페셜올림픽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스페셜올림픽의 참여 유무와 연령에 따라 인식도의 차이가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스페셜올림픽 참여자들이 비참여자 보다 스페셜올림픽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고, 20대와 40대의 인식이 높았다. 둘째, 특수교사, 학부모, 대학생의 스페셜올림픽에 대한 세부영역별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 스페셜올림픽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그 중에서도 특수교사는 스페셜올림픽 인식의 세부영역 중 참가자격, 경기종목, 대회유형, 대회운영, 구성원, 주요활동 영역에서 가장 높은 인식도를 나타냈다. 대학생은 역사와 참가선수의 등급분류 영역에서 가장 높은 인식도를 보였으며 학부모는 이념·목적, 효과의 영역에서 가장 높은 인식도를 나타냈다. 스페셜올림픽에 참여하지 않은 대상자 중에서는 특수교사, 대학생 순으로 높은 인식도를 나타냈고 학부모는 스페셜올림픽 인식의 세부영역 모두에서 가장 낮은 인식도를 나타냈다. 셋째, 스페셜올림픽의 참여실태를 조사한 결과 스페셜올림픽에서의 역할은 특수교사의 경우 코치·트레이너의 역할이 가장 많았고, 학부모의 경우는 선수의 가족으로서, 대학생의 경우는 100%가 자원봉사에 참여하여 차이를 나타냈다(p<.01). 스페셜올림픽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학부모와 대학생의 경우 지인의 권유로 인한 이유가 가장 컸고, 특수교사의 경우는 코치세미나가 가장 큰 동기가 되었다(p<.01). 스페셜올림픽의 참여활동은 대회를 통한 참여가 가장 많았고, 참가 종목에 국제종목은 축구와 인라인롤러가 가장 많았고, 국내종목은 육상, 인라인롤러, 축구, 수영, 스노우슈잉, 배구 등의 순서로 참가율이 높았다. 참여 횟수는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연 1회 또는 2회 참여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스페셜올림픽 참여 후에 대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대상자 모두 보통이상의 만족수준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스페셜올림픽에 참여한 특수교사, 학부모, 대학생들의 인식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참여하지 않은 특수교사, 대학생의 인식도는 현장에서의 경험과 이론교육으로 인해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적장애인에게 효과적인 스페셜올림픽에 대한 참여기회 확대와 활성화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특수교사, 대학생 특히 학부모에게 체계적인 교육의 기회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cognition on Special Olympic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and college student, and based upon the findings it seek ways how to promote unified sports and increase Special Olympics participation. The methods of study questionnaire were engaged by the Special Olympics Guide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2000) and Kim Seong-Ki's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with 1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100 college students and 100 parents, and each group had 50 Special Olympics participants and 50 non-participants.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12.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Crosstab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and among different age groups (p<.001). Special Olympics participants showed a higher recognition on the Special Olympics, especially those in the twenties and forties. Second, there was also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ecial Olympics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as to knowledge on the Special Olympics (p<.001). Among respondents wa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group that showed the highest knowledge on the Special Olympics including eligibility, kinds of games and matches, operation and major activities. College students earned the highest mark in the questions on classification of disabilities and the history of the Special Olympics while parent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terest in the goal and philosophy of the Special Olympics and its benefits. Among non-participant group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the highest knowledge, followed by college students and parents. Especially, parents ranked the lowest in all questions of the Special Olympics knowledge. Third, the study showed that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games as a coach or trainer, and parents as just a family member and 100 percent of college students as a volunteer (p<.01). Majority of parents and college students said they joined the games by recommendation of acquaintances whi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motivated by coach seminars (p<.01). Most of participants were engaged in the Special Olympics by participating in the games. They participated in soccer and inline skating the most when the games took place in overseas countries while they said they played filed games, inline skating, soccer, swimming, snowshoeing, volleyball, etc. in order of preference when they took place in Korea. And many participant said they joined the games once or twice a year,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Further, all of participants said the games were good or satisfactory, even though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showed that respondents with the Olympic experiences showed a higher recognition. Non-participants said they knew the Olympic from experience in the field and classroom education. Therefore, we should increase opportunities of people's participating in the Olympic and develop ways how to promote it, and we should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learn the Olympic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especially to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